• Title/Summary/Keyword: 지진공학

Search Result 2,12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ource Parameters of the Southern Yellow Sea Earthquake Occurred on July 25, 1994 (1994년 7월 25일 발생한 황해남부 지진의 지진원 요수)

  • 김성균;김민선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2 no.1
    • /
    • pp.113-118
    • /
    • 1998
  • 1994년 7월 25일 발생한 황해남부 지진(Mb=5.5)의 지진원 요소들을 결정하였다. 지진원 요소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 지진에 대하여 이전의 연구에서 얻어진 지진발생기구를 사용하였다. 지진발생기구에 의하면, 이 지진은 거의 동서방향의 압축응력장에 주향이동성분이 가미되어 발생한 것을 암시한다. 지진원 요소들은 단주기 및 장주기 P파에 대한 원지장 스펙트럼으로부터 계산되었다. 지진모멘트(M0), 코너주파수(f0), 지진원 반경(r) 및 응력강하량($\Delta$$\sigma$)은 각각 M0 = 3.18$\times$1024 dyne-cm, f0=0.3 Hz, r=3.7km, $\Delta$$\sigma$=27bar로 구해졌다. 지진모멘트로부터 산정한 모멘트 규모는 5.6으로 나타났다.

  • PDF

일본 및 중국에서 발생한 지진이 한반도에 미친 영향

  • ;Yoshinobu Tsuj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10a
    • /
    • pp.160-163
    • /
    • 1995
  • 일본 병고현 보부지진은 우리나라는 물론 전세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최첨단 과학기술과 경사대국의 재력을 가진 나라들도 이 자연의 무서운 파양역에 아직은 무력함을 이 지진 참사가, 그것을 단적으로 증명해 준다. 지금까지는 한반도이 환태평양 지진대에서 다소 떨어져 있어서 큰 지진이 발생할 염려가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통념이었다. (중략)

  • PDF

Approaches for Earthquake-driven Multiple Leakage Detection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지진발생 후 상수관망 다중지점 누수관로 탐지기법의 개발)

  • Choi, Jeongwook;Jeong, Gimoon;Lim, Gabyul;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01-401
    • /
    • 2019
  • 상수관망시스템은 정수처리 된 용수를 수요처에 공급하는 사회기반시설물이며, 주로 지하에 매설되는 시설물의 특성상 관로에 누수가 발생하였을 경우, 정확한 발생지점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특히, 지진에 의해 시스템 내 다중지점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장기간 경제적 손실과 사용자의 불편이 예상되므로 신속히 누수지점을 파악한 후, 피해 관로의 적절한 교체 혹은 보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으로 인해 상수관망에 발생한 다중 누수관로의 정확한 탐지를 위해 다양한 누수탐지 기법을 제안하고 모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가상의 다중 누수 시나리오를 모의한 후, 시스템 내 설치된 수압계와 유량계의 누수발생 전, 후 모니터링 값을 이용하여 1)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Calibration 기법, 2) 수리해석을 통한 누수지점 역추적 기법, 3)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Pattern 학습법 등을 적용하였다. 동일한 다중 누수 시나리오를 각 누수탐지 기법에 적용함으로써 누수지점 산정 결과에 대한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지진재해 발생에 대비하여 상수관망시스템의 지진피해 복구 연구를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Base Isolation Performance and Phenomenological Model of E-Shape Steel Hysteretic Damper (E-Shape 강재이력댐퍼의 수치모델과 기초격리구조물의 지진응답)

  • Hwang, Inho;Ju, Minkwan;Sim, Jongsung;Lee, Jong Seh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5A
    • /
    • pp.685-690
    • /
    • 2008
  • Recently, as large structures become lighter and more flexible, the necessity of structural control for reducing excessive displacement and acceleration due to seismic excitation is increased. As a means to minimize seismic damages, various base isolation systems are adopted or considered for adoption. In this study, a base isolation system using hysteretic damper is shown to effectively protect structures against earthquakes. A mechanical model is determined that can effectively portray the behavior of a typical E-shape device.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results for a hysteretic damper indicates that the model is accurate over a wide range of operating conditions and adequate for analysis. The seismic performance of hysteretic dampers are studied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ystems as a base isolation system. A five-story building is modeled and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systems subjected to three different earthquake is compared. The results show that the hysteretic damper system can provide superior protection than the other systems for a wide range of ground motions.

Construction of Tsunami Inundation Map for Real-Time Quantitative Response (실시간 정량 대응을 위한 지진해일 침수예상도 작성)

  • Bae, Jae-Seok;Yoon, Sung-Bu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2 no.5
    • /
    • pp.287-294
    • /
    • 2010
  • In this study, a method to construct tsunami inundation map corresponding to the earthquake location and magnitude was proposed for tsunami real-time quantitative response. This proposed procedure can be introduced as in the followings: Potential tsunami source locations expected to cause damage in an interested area was identified. And numerical simulations were performed for various earthquake magnitudes. Based on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inundation maps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each source location and magnitude of tsunami generating earthquake. In this study, inundation maps for Imwon harbor were constructed for the 11 source locations and 7 earthquake magnitudes on a trial basis.

Tsunami Force Acting on Coastal Structures (지진해일에 의해 해안구조물에 작용하는 힘)

  • Hong, Seong-Soo;Ha, Tae-Min;Cho, Yo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2
    • /
    • pp.171-177
    • /
    • 2011
  • Tsunami forces acting on coastal structures have not been relatively much paid attention by researchers. However, they should be appropriately reflected in design of coastal and harbor facilities. The temporary and permanent tsunami shelters have to be chosen to resist stably against unexpected tsunami forces. There have been only few numerical studies on the tsunami forces acting on coastal and harbor structures. In this study, a practical prediction of tsunami forces is carried out by using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tability Chart for Yield Seismic Coefficient of Soil Slope Using Limit Analysis (한계해석을 이용한 토사면의 항복지진계수 산정도표 제안 연구)

  • Choi, Sang-Ho;Kim, Jong-Mi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6 no.3
    • /
    • pp.47-57
    • /
    • 2010
  • Yield seismic coeffici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stimation of permanent displacement of a soil slope subjected to earthquake using Newmark's sliding block theory. However, yield seismic coefficients currently used in practices are not mechanically rigorous since most of them are estimated using limit equilibrium methods considering equilibrium condition only. Therefore, estimation of permanent displacement of a soil slope based on existing yield seismic coefficient may cause problems. Limit analysis estimating the range of mechanically rigorous solution is thought to be effective in evaluating the validity of existing yield seismic coefficient. In this study, a simple stability chart for yield seismic coefficient useful in practices is proposed by considering various slope conditions including stability number, slope inclination, strength parameters, etc.

Seismic Risk Map of Korea Obtained by Using South and North Korea Earthquake Catalogues (남.북한 지진 목록을 이용한 한국지진위험도)

  • 김소구;이승규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4 no.1
    • /
    • pp.13-3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서기 2년부터 1977년까지 남.북한 역사지진(A.D 2-1904)과 초기 계기 지진(1905-1977) 목록을 이용하여 남한 지진 규모로 재조정된 지진목록을 작성하였다 역사 지진은 과거의 협소한 인구분포로 인해 지진 기록의 누락이 많앗다 지진 위험도를 작성하기 위해 지진 발생분포와 지체구조의 특성을 고려하여 4개의 지진구(seismic province)를 설정하였다. 각 지진구에서 최대 잠재 지진결정은 Gumbel의 최대치 이론을 이용하였다 제 1수정 점근 함수 분포에서 유한 상한 값(finte upper boundary) 의 존재는 각 지진구에서 발생할 최대 잠재 지진의 진원(source)이 유한하다는 사실과 잘 일치한다. 따라서 이를 근거로 각 지진구에서 10년 , 20년, 30년, 50년 이내에 2% 5% 10% 초과 확률을 갖는 최대 규모지진을 추정하였다 또한 각 지진구에서 유한 지진원은 과거에 발생했던 큰 규모의 특정 지진과 지진 지체구조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하였다. 연구결과 조선시대(1392-1904) 의 지진위험도에서는 경주 울산지역과 서울과 평양지역을 따라 높은지반 가속도 값을 보이며 경주지역에서 0.24g의 최대 지반 가속도 값으로 나타났다 계기 지진목록(1905-1998)을 이용한 한반도의 지진 위험도에서는 경주, 울산, 대구 지역에서 0.10-0.12g 의 최대 지반가속도 값을 보였다. 그리고 계기 지진 목록(1905-1998) 만을 이용하여 작성한 서울.경기 지역의 지진 위험도에서는 김포, 잠실 , 성남 지역의 한강을 따라 분포하는 충적층과 강남지역의 지반 운동이 한강 이북의 대보 화강암 지역에 비해 비교적 높은 0.09-0.10g의 지반 가속도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 PDF

Computation of Hypothetical Tsunamis on the East Coast in Korea (공백역 지진에 의한 동해안의 지진해일 산정)

  • 최병호;홍성진;이제신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6 no.3
    • /
    • pp.73-86
    • /
    • 2002
  • Prognostic characteristics of hypothetical tsunamis in the East Sea are discussed based on numerical model simulations of linear long wave theory and wave ray for 28 source zones of tsunamigenic earthquake selected by the seismic gap theory. As a result, the propagation patterns of tsunamis due to hypothetical earthquake are presented and analyses also lead to selection of the geographical zones with low risk of tsunam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