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진공학

Search Result 2,12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dam break scenario process by earthquake (지진으로 인한 댐붕괴 시나리오 작성절차에 관한 연구)

  • Park, Ki Bum;Choi, Gwang Bok;Yang, Jun Seok;Ahn, Seung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98-298
    • /
    • 2019
  •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규모가 큰 태풍의 내습이 발생하고 있다. 2018년 7월23일 발생한 라오스 댐붕괴 발생으로 인해 6,600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으며, 2008년 중국 쓰촨성 지진에 의해 댐 수백개가 균열이 발생하는 위험한 상황에 이르는 등 댐 붕괴에 따른 대규모 재난의 위험상황은 항시 존재하고 있다. 는 상황에서 댐의 붕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댐 붕괴 상황에 대한 대비책으로 저수지 댐의 안전관리 및 재해예방에 관한 법률 제3조와 자연재해 대책법 제37조에 총저수용량 30만톤 이상의 저수지에 대해 비상대처계획 수립을 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 경주와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이상의 지진이 발생하여 지진에 의한 재난의 위험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진에 의한 댐붕괴에 대한 적절한 시나리오와 분석이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지진붕괴에 의한 EAP의 작성은 단순히 만수위 상태에서 댐의 붕괴시간이 급격히 붕괴되어 범람되는 분석을 하였다. 그러나 지진에 의한 댐의 붕괴에 이르는 지진의 규모는 댐 주변의 건축물, 교량, 심지어 대피소도 붕괴 및 범람에 안전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될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EAP는 단순 범람만을 통해 위험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작성되어 있어 이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에 의한 댐 붕괴 EAP 작성시 고려되어야 할 건물의 노후도, 교량, 공공시설물 등이 붕괴될 위험을 판단하고 이에 따른 범람도면의 작성과 시나리오가 작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행정안전부에서 제시된 지진 시 댐 붕괴 조건에서 고려되어야 할 시나리오의 구성요소에 대해 검토하였다.

  • PDF

Digital Signage Life Guard for Reducing Human Casualties at Ports Caused by Earthquake Tsunamis (항만 지진해일 인명피해 감소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 라이프가드)

  • Sang-Ho Lee;Ji-Whan Hong;Hyun-Jin Park;Dae-Seok Sim;In-S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72-1073
    • /
    • 2023
  • 본 논문은 지진해일로 인한 인명피해를 감소시키고 항만 미관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항만 지진해일 인명피해 감소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 라이프가드"를 제안한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진 해일 발생 시 라이프가드 내부 공간을 개방해 해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한다. 둘째, 라이프가드 외부 디스플레이에 항만 홍보, 작업 정보, 지진해일 대피안내, 광고 영상을 재생한다. 셋째, 안전 통합관제센터 SW와 근로자/일반인용 모바일 앱을 통해 라이프가드의 동작 제어, 현황 조회를 수행한다. IoT기술과 연동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통해 일상 안전 정보 제공 및 비상시 인명 보호를 통한 높은 안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샌프란시스코 지진의 교훈

  • 이한선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2 no.4
    • /
    • pp.11-14
    • /
    • 1989
  • 지진이 아주 드문 우리나라에서는 외국의 지진이 타산지석으로 여겨질 수도 있겠으나 일단 한번 큰 지진이 일어났을 경우 미리 대비책을 세워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사이에느 얼마나 큰 차이가 있는가를 이번의 지진피해와 83년전의 것 즉 1906년의 샌프란시스코 지진피해를 비교함으로 밝히고자 한다.

  • PDF

On numerical analysis for tsunami run-up on slope beach (경사 해빈에서 지진해일 처오름에 관한 수치적 고찰)

  • Lee, Woo-Dong;Kim, Taeyoon;Hwang, Taegeon;Ko, Cha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83-83
    • /
    • 2022
  •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이 지진해일의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지진해일의 발생, 전파 그리고 수리현상을 해석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해안지역에서 직접적인 피해를 입히는 지진해일의 충격파, 처오름, 월파, 침수 등에 관한 연구에 유사한 파형 특성을 가진 고립파를 많이 사용한다. 고립파는 비선형성과 분산이 균형을 이루는 가정에서 Korteweg-de Vries(KdV) 방정식을 만족하는 안정적인 이론파이다. 고립파의 파형분포는 수심에 의해 결정되고, 일정 수심 이상에서는 지진해일을 대신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심이 낮은 천해에서는 주기와 파장이 비현실적으로 짧아짐으로 지진해일을 대신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해일의 처오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1:20 불투과성 경사면이 포함된 수치파동수조를 구성한다. 먼저, 일본 NOWPHAS(Nationwide Ocean Wave information network for Ports and HArbourS)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2011 동일본 지진해일과 고립파의 파형분포를 비교한다. 그리고 다양한 파형의 지진해일 생성할 수 있게 개발된 조파방법을 수치파동수조에 도입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한다. 수치해석결과, 지진해일의 처오름 높이가 고립파에 비해 최대 1.8배, 최소 1.13배, 평균 1.56배 증가한다.

  • PDF

Three-dimensional Modeling Seismic Analysis of Circular Water Reservoirs considering Differential Settlement Effects (부동침하 영향을 고려한 원형 배수지 구조의 3차원 모델링 지진 해석)

  • Lee, Sang-Youl;Choi, Hyung Bae;Ahn, Kwang Sik;Jeong, Gyo-Cheol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1 no.1
    • /
    • pp.43-53
    • /
    • 2021
  •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1,300 ton stainless water reservoirs was undertaken to consider differential settlement effects of the reservoir when subjected to earthquake loads. The earthquake load for large (>1,000 ton) water reservoirs are further determined using a specification established from th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The structural behavior of water reservoirs with differential settlements can be heavily dependent on seismic loading effects. Stress and displacement distributions are induced for various load combinations, including for with and without differential settlements. From numerical examples, the induced maximum displacements of the water reservoirs largely increase with differential settlements compared to those without differential settlements.

Feasibility Study of Seismic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for Multi-unit NPP with Seismic Failure Correlation (다수기의 확률론적 지진안전성 평가를 위한 지진손상 상관계수의 적용)

  • Eem, Seunghyun;Kwag, Shinyoung;Choi, In-Kil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34 no.5
    • /
    • pp.319-325
    • /
    • 2021
  • The 2011 East Japan Earthquake caused accidents at a number of nuclear power plants in Fukushima, highlighting the need for a study on the seismic safety of multiple NPP (Nuclear Power Plant) units. In the case of nuclear power plants built on a site that shows a similar seismic response, there is at least a correlation between the seismic damage of structures, systems, and components (SSCs) of nuclear power plants. In this study, a probabilistic seismic safety assessment was performed for the loss of essential power events of twin units. To derive an appropriate seismic damage correlation coefficient, a probabilistic seismic respons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external event mensuration system program, we analyzed the seismic fragility and seismic risk by composing a failure tree of multiple loss of essential power events. Additionally, a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considering the seismic damage correlation between SSCs as completely independent and completely dependent.

Study of tsunami sensitivity analysis to fault parameters for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nalysis (확률론적 지진해일 재해도 분석(PTHA)을 위한 단층 파라미터에 대한 지진해일의 민감도 분석)

  • Jeong, Hyun-Kee;Kim, Byung-Ho;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17-217
    • /
    • 2021
  • 우리나라 동해 연안에 영향을 미쳤던 역사지진들과 일본에서 진행된 동해에서의 대규모지진에 관한 조사검토회에서 2014년에 보고된 동해 동연부와 남해 남연부 측에 있는 60개의 지진공백역들에 대한 단층매개변수들이 공개되어있어 수치실험을 통해 지진해일의 재해도를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층매개변수 값들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기에 이를 대비한 지진해일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단층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는 방법 중 한 가지는 해당 변수들을 조정하여 Case 모델들을 다양화하는 것이다. 이 때 매개변수의 변동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기에 단층매개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이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지진해일에 대한 위험성에 대비하기 위해 선정된 연구지역에 대하여 단층매개변수들을 조정한 경우별 모델들을 사용한 수치모형 실험을 실행한 후 도출된 지진해일 처오름높이 및 처내림높이 결과를 분석하여 각 단층매개 변수의 지진해일에 대한 민감도를 결정하는 것이며, 최종적으로 확률론적 지진해일 재해도분석(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nalysys : PTHA)을 실시할 때 기준이 되는 로직트리를 작성할 때 명확한 근거를 제시한다. 단층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은 일본(Goda et al., 2014), 미국(Sepúlveda and Liu, 2016), 뉴질랜드(D. Burbridge et al., 2015) 등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현재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민감도 분석 과정은 먼저 역사 지진해일과 우리나라 근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진해일의 단층매개변수 조사한 후 파향선추적모형(wave ray-tracing)의 결과를 정리하여 대상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단층을 선정하고, 선정한 단층들의 단층매개변수 값을 일정한 기준을 두고 조정하여 실시한 지진해일 수치모형 실험에서 계산한 결과값을 분석하여 민감도를 결정한다.

  • PDF

On Overtopping Characteristics of Tsunami due to Waveforms (파형에 따른 지진해일의 월파특성에 관한 고찰)

  • Lee, Woo-Dong;Kim, Jung-Ouk;Park, Jong-Ryul;Hur, D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42-146
    • /
    • 2017
  • 지진해일의 수리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사한 파형특성을 가진 고립파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고립파의 근사파형은 실제 지진해일에 비해 상당히 좁은 파형분포를 가지고 있다. 이에 수치모의에서는 기존의 고립파 근사식을 개량하여 고립파형의 지진해일을 수치적으로 생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해일의 파형분포에 따른 월파특성을 수치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개량된 고립파 근사식을 2차원 N-S solver에서 적용하였다. 이것에 기초하여 수치파동수조에 직립호안과 그 배후에는 월파수조를 설치하고, 지진해일 월파량을 측정하였다. 수치해석결과로부터 직립호안 주변의 공간파형과 마루 위의 유속분포로부터 파형분포에 따른 월파현상을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고립파 근사이론 대비 개량된 고립파의 체적비에 따른 월파량 변화를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지진해일의 체적비가 증가할수록 월파량이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Revaluation of Tsunami Risk at the Site of Ulchin Nuclear Power Plant (울진 원자력발전소 부지에 대한 지진해일 위험도 재평가)

  • 이해균;이대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4 no.1
    • /
    • pp.1-7
    • /
    • 2002
  • In the past, safety assessment on the site of Ulchin Nuclear Power Plants against tsunamis was carried out with probable maximum earthquake magnitude and related tsunamigenic fault parameters. Recently, however, based on the seismic gap theory, some seismologists warned about earthquakes of larger magnitudes than had been expected. In this study, we revaluated tsunami risk with a finite difference model based on linear and nonlinear shallow water equations. Firstly, we simulated the\`83 tsunami and compared the calculated water surface profile with the observed wave heights. Secondly, we evaluated the rise and drop of sea water level at the site of Ulchin Nuclear Power Plant with fault parameters of the past '83, '93 tsunamis and some dangerous faults. Finally, we showed that the cooling water intake facility of Ulchin Nuclear Power Plants would be safely operated in disastrous tsunam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