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점 가속도

Search Result 14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Implementation of 3D Mouse using Accelerometer (가속 센서를 이용한 3D 마우스의 구현)

  • Lee, Ji-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498-50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가속 센서의 데이터로부터 얻은 정보를 특정 알고리즘을 통해 3D 공간상에서 좌표를 매핑(Mapping)하는 3D 마우스를 제안한다. 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가속도 값을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로 전송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3D 마우스는 손에 든 가속도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여 손이 움직이기 전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속도 데이터를 토대로 움직인 후의 위치를 추출하여 3D 공간 상에서의 마우스를 구현하였다. 10명의 사용자에게 마우스를 동일한 시작점에서 정해진 목표지점까지 움직이도록 실험해 본 결과 평균 2.23번 만에 성공하였다.

Speed Prediction Models for Freeway Merging Area (고속도로 연결로 접속부에서의 속도 추정 모형)

  • 신치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3 no.3
    • /
    • pp.99-120
    • /
    • 1995
  • 가속차선이 교통류의 운영상태와 안전에 기여하는 바는 벌써부터 인식되어 왔으나 이 변속차선이 유입형 연결로 접속부 전체의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하거나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현장 자료를 바탕으로 한 실험적 연구는 진행되어 오지 못하엿다. 현재 널리 참고되고 있는 1985년 USHCM의 접속부 운영상태 분석 방법론은 단지 차선 1의 교통량을 예측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데 가속 차선의 길고 짧음에 따라 접속부 바로 전 차선 1의 교통량 분포가 크게 변화한다는 사실(많은 현장 관측을 통해 확인)은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접속부 운영 상태가 같은 교통량 조건하에서도 크게 차이가 나나다는 것을 뜻하며 가속차선의 존재를 무시한채 운영과 관련한 MOE를 도출하는 것이 서비스수준 산정 방법으로 충분한 것인가 하는 의문을 자연히 낳게 한다. 본 논문은 가속차선이 고속도로 연결로 접속부의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다루고 있다. 가속차선의 독립적인 역할과 영향을 체계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미국내 여러 지역에서 8개의 고속도로 연결로접속부를 선택하고 각 지점에 접속부의 상하류 지역을 포함하는 2,000ft 구간내에 다섯대의 카메라를 설치, 지점별로 약 3시간 동안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193개 자료수의 분석을 통해서 다중 회귀 모형을 구성하는 독립변수로 가속차선의 길이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결론지었으며, 접속부 운영의 질, 특히 속도를 추정하기 위한 모형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관점과 방법론은 1994USHCM 고속도로 연결로 분석 방법론 설정에 일부분 반영되고 잇으며 특히 교통운영과 흐름의 방식에서 유사한 엇갈림 구간의 분석 방법과 일관성 있는 분석 체계 마련을 위해서 서비스수준 산정 절차 정립에 엇갈림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Leak Location Detection of Underground Water Pipes using Acoustic Emission and Acceleration Signals (음향방출 및 가속도 신호를 이용한 지하매설 상수도배관의 누수지점 탐지연구)

  • Lee, Young-Sup;Yoon, Dong-Jin;Jeong, Jung-Ch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23 no.3
    • /
    • pp.227-236
    • /
    • 2003
  • Leaks in underground pipelines can cause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problems. One of relevant countermeasures against leaks is to find and repair of leak points of the pipes. Leak noise is a good source to identify the location of leak points of the pipelines.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methods to detect the leak location with leak noise, such as listening rods, hydrophones or ground microphones, they have not been so efficient tools. In this paper, acoustic emission (AE) sensors and accelermeters are used to detect leak locations which could provide all easier and move efficient method. Filtering, signal processing and algorithm of raw input data from sensors for the detection of leak location are described. A 120m-long pipeline system for experiment is installed and the results with the system show that the algorithm with the AE sensors and accelerometers offers accurate pinpointing of leaks. Theoretical analysis of sound wave propagation speed of water in underground pipes, which is critically important in leak locating, is also described.

A study of acceleration analysis system (가속도 분석 시스템에 관한 연구)

  • Jang, Mi-Ho;Jung, Ho-Young;Cho, Won-Cheol;Lee, Tae-Sh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601-604
    • /
    • 2008
  • Acceleration analysis system transfers DSS into acceleration value utilizing Quantera that receives the measurement from the accelerometers installed in the whole nation. When earthquake occurs, the system gives accleration values in certain locations in a map where the accelerometers are installed. And it suggests a measure to fix the problems related to abnormal operations of accelerometers.

  • PDF

연안 카페리선박의 고박안전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Yu, Yong-Ung;Kim, Seung-Yeon;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78-79
    • /
    • 2020
  • 국내 연안의 카페리선박의 고박안전성은 화물의 중량과 적재된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선체가속도를 기반으로 한 작용 외력과 고박장치의 고박력 비교를 통해 평가하고 있다. 국내 기준상의 선체가속도는 선박의 특성 및 항해조건의 반영이 없이 적용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안 카페리선박의 선체가속도를 분석하고자 부산-제주를 통항하는 DWT 6,800톤급 선속 15.5 knots의 선박을 기준으로 선체의 4개 지점에서 총 12회의 가속도 계측을 수행하였고,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가속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가속도 비교 결과를 통하여 고박안전성 평가에 적용되어야 하는 가속도 적용 및 고박안전성 평가 방법에 대한 검토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ailpipe Noise Prediction of an Accelerating Vehicle (가속주행하는 차량의 배기 토출 소음 예측)

  • Kim Bong-Ki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91-294
    • /
    • 2000
  • Analysis of the contribution of each pass-by noise source to the overall pass-by noise is an important issue for reduction of pass-by noise. A technical approach for predicting tailpipe noise is used to identify the contribution of tailpipe noise to the pass-by noise in this study. Simulation program with a time domain engine modeling program called 'WAVE' and wave propagation theory of moving noise source are employed. Since the Doppler phenomenon causes a frequency shift during a pass-by noise test, the Doppler correction and time delay effects are incorporated into the estimation of tailpipe noise. The developed program can furnish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tailpipe to pass-by noise.

  • PDF

Picture Analysis of Motor Control's Property about the Motion of Stop-jirugi and Push-jirugi (끊어 지르기와 밀어 지르기 동작의 운동 제어적 특성에 대한 영상 분석)

  • Ahn, Jeong-De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8
    • /
    • pp.244-252
    • /
    • 2008
  • This research differentiate the technique of Jungkwon-jirugi, one of the basic movements of Taekwondo, into two movements stop-jirugi and push-jirugi and gives analysis of the impulse, acceleration and velocity in the point of motor control. For this, we tried graphic analysis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high speed camera which was made from USA in 2005 and took pictures at 250 frames per second. W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acceleration wave of push-jirugi was a period longer than stop-jirugi, meaning that the push-jirugi motion asserts force for a longer time. Second, the acceleration and velocity graph shows that the highest velocity occurs on the point when the acceleration begins to decrease right after reaching its maximum. Third, according to the image analysis using the high speed camera, we could find out that the shoulder is pushed a little even in the stop-jirugi motion.

지반특성에 따른 면진 및 비면진구조물의 가속도응답 영향평가

  • Yoo, Bong;Lee, Jae-Han;Koo, Kyung-Hoe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d
    • /
    • pp.392-397
    • /
    • 1996
  • 지반특성에 따라 지진발생시 면진구조물과 비면진 구조물의 응답특성이 어떠한가를 평가하기위해, 1940 El Centro 지진을 입력지진으로 하고, 면진구조물로는 가압경수형 원자로격납건물을 이용하여 수평(NS) 및 수직지진입력에 대한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0.5Hz 수평면진 구조물의 경우 수평방향 가속도응답은 지반특성에 무관하게 거의 변화가 없으며, 또 2Hz 이상에서 비면진구조물의 수평지진가속도응답보다 현저히 낮은 가속도응답을 갖는다. 면진베어링의 수직방향 21Hz 고유진동수는 풍화암의 경우 수직방향 가속도응답에 영향을 주지 않으나. 경암의 경우 원자로지지점에서의 수직방향 가속도응답을 전반적으로 증가시킨다. 비면진 구조물의 경우 지반의 강성이 약할수록 가속도응답이 비교적 큰 폴라크레인위치에서 수평 및 수직방향 가속도응답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직방향의 가속도응답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valuation of Driver's Psychophysiological Load at Freeway Merging Area (고속도로 합류부에서 운전자의 심리.생리적 작업 부하 연구)

  • 김주영;장명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2
    • /
    • pp.69-79
    • /
    • 1999
  • This study evaluated the chance of driver's Psychophysiological load of occipital lobe at freeway merging area and compared with basic driving section. Ten persons of 8 men and 2 women were investigated at 3 basic section and 3 merging areas on the Youngdong freeway. It is found that driver's load in acceleration lane before merging is 2.21 times higher than the basic driving section. Further, driver's load for merging was maintained fur 4 seconds after merging. Particularly, driver's highest loading point in merging behavior was found to be 80m from the gore area.

  • PDF

Hybrid Monitoring using Wireless Sensor Nodes of Steel Plate-Girder Railroad Bridges (무선센서노드를 이용한 강판형 철도교량의 하이브리드 모니터링)

  • Hong, Dong-Soo;Park, Jae-Hyung;Kim, Jeong-Ta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110-11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무선센서노드을 이용하여 강판형 철도교량의 전형적인 손상유형인 거더부의 휨강성 저하와 지점부의 볼트풀림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모니터링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첫째, 본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가속도 및 임피던스기반 무선센서노드를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둘째, 가속도 및 임피던스 신호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손상모니터링이 가능한 기법들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가속도 및 임피던스기반 무선센서노드를 모형 강판형 철도교에 설치하고, 일련의 손상 시나리오에 따른 하이브리드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무선센서노드 및 모니터링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