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적자본 측정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 유통업체의 지적자본의 측정지표 개발방향 (A Study on the Index Development for Intellectual Capital of Korea Distribution Comanpy)

  • 김수환
    • 유통과학연구
    • /
    • 제4권1호
    • /
    • pp.5-26
    • /
    • 2006
  • 지금까지 제시된 지적자본의 공통요소들은 브랜드나 상표 그리고 정보기술 등과 같은 유형적인(intangible) 지적자본 요소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특히 기업가치창출의 근간이 되는 인적자본, 즉 내부고객에 대한 부분도 많은 부분 간과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지식자산의 측정에 관해서 국내기업이 당면한 문제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자산의 감사와 측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조직이 필요한 지적자본의 내역과 경쟁기업과의 지식격차를 정확히 판단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지식발굴 노력의 부족과 잦은 부서 이동, 고용조정 등에 따라 지식이 유실되고 축적되고 있지 못하다. 셋째, 조직내부의 정치적인 역학관계로 인해 경영활동의 실패사례가 사실대로 기록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며, 그나마 축적된 지식도 체계적인 관리가 부족하여 활용도가 저조하다. 넷째, 부문별 벤치마킹을 통해 선진사례나 지식이 이전되고 경영활동은 개선되었으나 타부서로 이전되지 않아 최선의 실행사례(best practice)가 자산으로 공유되지 못하고, 지식창출을 위한 중복투자가 발생한다. 다섯째, 지나친 성과중심형 지표들로 인해 성과를 창출해 내는 조직구성원들에 체화된 역량과 태도, 만족부분을 간과함으로 인해 미래 성과창출의 원동력이 되는 관리지표를 개발하는데 한계를 드러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국내 기업들의 지식경영, 혹은 지적자본 경영체제가 닫혀진 조직문화와 경영시스템의 미비, 그리고 전담조직의 부재와 최고경영층의 관심부족으로 인해 조직적, 인간적 지식인프라가 완성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지식경영의 성숙기에 접어든 외국의 지적자본 측정요소와 국내 유통업체의 현실을 고려한 지적자본 측정지표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적자본과 연구개발평가의 이론, 기존 연구결과의 분석 등 기존에 발표된 문헌분석을 통해 국내 유통업체에 적용가능한 측정지표를 도출해보고, 적용가능한 범위를 고찰하고자 한다.

  • PDF

지식기반경제와 국민지적자본의 효율성: 한.미.일.중을 중심으로 (Knowledge-based Economy and the Efficiency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Focusing on Korea.US.Japan.China)

  • 김선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58-171
    • /
    • 2008
  • 최근 지식기반경제로의 진입과 함께 지적자본의 효율성 측정에 관한 문제는 미시적 측면은 물론 거시적 관점에서도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0년-2005년 기간 동안 한국, 미국, 일본, 중국을 중심으로 각 국가별 지식기반경제에 있어서 국가경제 성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 즉, 국민지적자본의 효율성계수와 부가가치지적계수를 측정하여 상호 비교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의 경우 국민지적자본의 효율성계수와 부가가치지적계수가 각각 1.480과 6.585로 4개국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4개국 중 가장 높은 1인당 GDP 41,541 달러와 연결됨으로서 가장 효율적으로 국민지적자본을 활용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 경우는 국민적자본의 효율성 계수는 1.321인 반면 이에 상응하는 부가가치지적 계수는 4.733으로서 지식기반경제의 이행정도와 국가 경제규모에 걸맞게 국민지적자본을 활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 가장 낮은 국민적자본의 효율성(1.271)에 비해 매우 높은 부가가치지적계수(5.695)를 보인 반면, 중국의 경우는 비교적 높은 국민지적자본의 효율성(1.438)에 가장 낮은 부가가치지적계수(3.815)를 보임으로서 여타 국가들과 대조를 보였다.

지적자본 가치평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Development for Intellectual Capital Valuation)

  • 김효근;문윤지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4권1호
    • /
    • pp.69-87
    • /
    • 2002
  • 지식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기업에게 가장 중요한 경쟁적 자원은 지식이 되었고, 이에 기업은 미래 조직의 생존과 직결된 '지적자본'(intellectual capital)이라는 잠재적 지식을 평가하고 향상시켜야만 하는 실정이 되었다. 지금까지 유형자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던 이러한 지적자본을 평가하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지적자본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들이 제시되어 왔지만, 기존에 제안되었던 지표들은 검증되지도 않은 채 여러 기업들에 의해 채택, 모방되고 있다. 또한 지적자본을 평가할 수 있는 체계적인 모델이 부재함으로써 지적자본을 평가하고자 할 때마다 기업들은 매번 처음부터 다시 작업해야 함으로써 많은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기존에 제시된 지표들을 검증하고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체계적인 가치평가 모델을 개발하고자 실증연구를 진행한 결과, 최종적으로 3개 차원, 10개 구성요인, 22개 평가항목, 82개 지표로 구성된 지적자본 가치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는 향후 기업이 자사의 지적자본을 측정할 수 있는 토대가 되리라고 생각된다.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지적자본 측정지표 개발 : E연구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Measurement Indicators for Intellectual Capital in Public Research Institute)

  • 이찬구;김동영;박상규;황영하;한경희;김용구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1-76
    • /
    • 2005
  •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intellectual capital (IC) indicators which are the most available for the E institution, a typical type of public research institute in Korea. In this paper, we basically adopted the "Intangible Assets Monitor" proposed by Sveiby and comprising three kinds of intellectual capital, namely human capital, internal structure capital and relationship capital, as a research framework. For this work, we firstly identified 12 categories and 27 components of intellectual capital for E institution. Next, we extracted 37 main indicators and 94 sub ones from these categories and components as a whole. As a result, it may be the first time in Korea for E institution of develop its own IC indicators which are slightly, or sometimes totally, different from ones for private companies in the perspective of their organizational attributes and characteristics.

  • PDF

지적자본(知的資本) 측정모형(測定模型)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Intellectual Capital Measuring Model)

  • 이의현;천명섭
    • 산업융합연구
    • /
    • 제3권1호
    • /
    • pp.145-168
    • /
    • 2005
  • This study on intellectual capital which is in spotlight as an important factor has meaning that it provides information on intellectual capital to interested parties(stockholders, employers, employees, customers, etc.), suggests intellectual capital measurement indices for strategic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and presents intellectual capital management process which is useful in companies practically by designing and verifying intellectual capital measurement model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intellectual capital.

  • PDF

부가가치지적계수($VAIC^{TM}$) 모형을 이용한 한국 금융서비스 분야의 국제경쟁력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s Financial Service Sector using $VAIC^{TM}$ Model)

  • 박재식;이학노
    • 통상정보연구
    • /
    • 제16권3호
    • /
    • pp.97-119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Pulic 등의 부가가치 지적계수(Value Added Intellectual Coefficient, VAICTM)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의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의 지적자본 효율성을 측정하고, 지적자본을 구성하는 인적, 구조적, 물적 자본과 금융기관의 경영성과 간의 상관관계 및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금융회사중 부가가치 지적계수(VAIC) 및 인적자본 효율성 계수(HCE)는 은행, 보험, 증권 순으로 높았다. 한편, 아시아 주요국 및 세계 10대 은행들과 비교해 볼 때 한국을 포함한 선진국 은행들이 개도국 은행보다 VAIC와 HCE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한국은 호주 등에 비하여 VAIC 및 HCE가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들어 그 수치가 하락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금융서비스 분야의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노력할 사항을 제기하고 있으며 한국 금융산업이 해외시장 진출을 추진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공공 연구기관의 지적자본 측정 (Measurement of Intellectual Capital in Public Research Institute)

  • 이찬구;김명순;김동영;박상규;이성국;김용구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57-782
    • /
    • 2005
  • This paper aims to measure the intellectual capital (IC) of the E institute, a typical type of public research institute and to analyse the measurement results. Regarding the research framework, we basically adopted the 'Intangible Assets Monitor' proposed by Sveiby and comprising human capital, structural capital and relational capital. For this work, we firstly identified 37 intellectual capital indicators which are slightly, or sometimes totally, different from ones for private companies in the perspective of their organisational attributes and characteristics. Then, based on these 37 indicators, we measured a current state of the intellectual capital in 2003 and 2004 respectively and identified the range of variation between two years. Through this work, we try to show that the core competitiveness of the public research institute came from not tangible assets such as land, building and facilities, but intellectual capital including human competences, the rational organisational system and the stakeholder's satisfaction. As a result, it may constitute the first time in Korea for the E institute to measure its own intellectual capital for two years as well as to publish the findings of measur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