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연 모델

Search Result 1,469, Processing Time 0.04 seconds

Effects of Tropospheric Delay Models for GPS Time Transfer (GPS 시각 전송에서의 대류층 지연 모델 영향 비교)

  • Yu, D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139-141
    • /
    • 2014
  • This paper shows effects of tropospheric delay models among delay features occurred when GPS code signal is transferred for GPS Time Transfer. GPS time transfer uses CGGTTS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mat. For geodetic GPS receiver, ROB has provided r2cggtts software which generates CGGTTS data from RINEX data and all laboratories participated in TAI link uses the software and send the CGGTTS results periodically. Though Saastamoinen model and Niell mapping function are commonly used in space geodesy, r2cggtts software applied NATO model and CHAO mapping function to the tropospheric delay model. Hence, this paper shows effects of two tropospheric delay models implementing Saastamoinen model and Niell mapping function for the time offset.

  • PDF

자율운항선박의 육상제어 지연모델 고찰

  • Im, Jeo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42-43
    • /
    • 2020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자율운항선박(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MASS)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육상원격제어 시스템(Shore Remote Control System, SRCS)은, 비상 시 육상에서 원격으로 자격을 갖춘 원격제어사관(Remote Control Officer, RCO)이 MASS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SRCS 개발을 위해서는 SRCS 운영 중에 발생 가능한 제어지연(control delay)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SRCS의 설계에 요구되는 제어지연 특성을 분석하고 정량화하기 위한 제어지연 모델을 구축하는데 있다. 먼저, SRCS의 제어지연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통하여 제어지연의 특징을 분석하여 최적의 SRCS에 요구되는 다양한 제어특징을 검토하였다.

  • PDF

Delay Characteristics and Sound Quality of Space Based Digital Waveguide Model (공간 기준 디지털 도파관 모델의 지연 특성과 합성음의 음질)

  • 강명수;김규년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8
    • /
    • pp.680-686
    • /
    • 2003
  • Digital waveguide model is a general method that is used in physical modeling of musical instruments. Wave motion is analyzed by time or by space in digital waveguide model. Because sampling is made via time, it is general that musical instrument model is described by wave motion of time. In this paper, we synthesized the musical instrument sound by adding instrument body model to the spatial based string model. In this way, we could improve sound quality and process musical instrument model's tone control variables effectively. We explained about delay error that happens in string and body in space based sampling and showed method to process fractional delay using FD (Fractional Delay)filter. Finally, we explained the relation between tone quality and number of delays. And we also compared the result with time base digital waveguide model.

A Scheduling Model Based on Delay-Bandwidth Normalization (지연시간-대역폭 정규화 기반의 스케줄링 모델)

  • Park, Kyeong-Ho;Hwang, Ho-Young;Min, Sang-L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176-180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과거의 사용량 정보와 서비스 지연시간이 상호 의존관계를 가지는 지연시간-대역폭 정규화 개념을 설명하고, 이에 기반한 스펙트럼 형태의 스케줄링 모델을 제시한다. 이 모델에서는 각 응용이 자원을 획득할 수 있는 권한을 주기적으로 축적하며, 서비스를 받을 경우 그 권한을 소비하게 된다. 사용되지 않고 축적된 권한은 추후의 스케줄링에서 자원 획득 가능성을 높여 지연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낸다. 이 때 과거의 축적된 정보를 주기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과거의 사용 정보를 부분적으로 망각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감쇄 정도에 따라 지연시간-대역폭 정규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기본적 모델의 세부사항을 조절함으로써 이 모델이 GPS, virtual clock, decay usage 등의 스케줄러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무관해 보이는 스케줄러들이 연속적인 스펙트럼상에 존재함을 설명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모델의 특성을 관찰하였다.

  • PDF

Accuracy Verification of the SBAS Tropospheric Delay Correction Model for the Korean Region (한반도 지역 SBAS 대류층 지연 보정 모델의 정확도 검증)

  • Kim, Dong-uk;Han, Deok-hwa;Kee, Chang-don;Lee, Chul-soo;Lee, Choong-hee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0 no.1
    • /
    • pp.23-28
    • /
    • 2016
  • In this paper, we verified accuracy of the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tropospheric delay correction model for the Korean region. We employed the precise data of the tropospheric zenith path delay (ZPD) which is provided by the international GNSS service (IGS). In addition, we compared the verification results with that of the Saastamoinen model and the Hopfield model. Consequently, the bias residual error of the SBAS tropospheric delay correction model is about 50 mm, whereas the Saastamoinen model and the Hopfield model are more accurate. This residual error by the tropospheric delay model can affect the SBAS user position accuracy, but there is no problem in SBAS accuracy requirement. If we modified the meteorological parameters for SBAS tropospheric model to appropriate in Korean weather environment, we can provide better SBAS service to the Korean user.

Comparison of Time Offsets by Tropospheric Zenith Path delay models and Mapping Functions in GPS Time Transfer (GPS 시각 전송에서의 대류층 천정지연 모델과 매핑 함수에 따른 시각오프셋 비교)

  • Yu, Dong-Hu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6
    • /
    • pp.1317-1322
    • /
    • 2014
  • This paper shows effects of tropospheric delay models and mapping functions among delay features occurred when GPS code signal is transferred for GPS Time Transfer. GPS time transfer uses CGGTTS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mat. For geodetic GPS receiver, ROB has provided r2cggtts software which generates CGGTTS data from RINEX data and all laboratories participated in TAI link use this software and send the CGGTTS results periodically. Though Saastamoinen zenith path model and Niell mapping function are commonly used in space geodesy, r2cggtts software applied NATO zenith path model and CHAO mapping function to the tropospheric delay model. Hence, this paper shows effects of two tropospheric delay models by implementing Saastamoinen model and Niell mapping function for the time offset.

An Internet Time Synchronization Model using Dynamic Linear Model (동적선형모델을 적용한 인터넷 시각동기 모델)

  • Yu, Dong-Hui;Hwang, So-Young;Kim, Yong-Ho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0C no.6
    • /
    • pp.711-716
    • /
    • 2003
  • We propose a new Interet time synchronization model using danamic linear model and int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transmission delays. SNTP(Simple Network Time Protocol) has been widely used as a time synchronization method on the Internet. While SNTP provides a very simple usage, SNTP may not provide the stable services, since SNTP does not consider the several essential error factors. In order to overcome the instabitily of SNTP, we analyze the process of time estimation of SNTP and find the difference between forward transmission delay and backward transmission delay operates the main error on the estimation of an time offset.

Delay Analysis on Secure Data Communications (안전한 데이터 통신에서의 지연 분석)

  • 신상욱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7 no.4
    • /
    • pp.24-36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기밀 통신 시스템에서의 지연 분석을 위해 대기 이론ㅇ르 이용하여 시큐리티와 성능사이의 tradeoff를 정량화하고, 시큐리티 메커니즘과 프로토콜에 의해 야기된 지연을 줄이기 위한 최적화기법으로 전처리, 메시지의 분할과 압축, 압축과 암호의 통합, 사용자 인증과 접근 제어의 통합을 고려한다. 그리고, 시큐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큐리티 메커니즘으로 DES를 이용한 경우, RAS 의 디지털 서명, IDEA와 RSA의 결합을 고려하고, 각각에 대해 대개 이론의 M/M/1모델, M/E/1모델, M/H/1 모델을 적용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평균 지연을 분석한다.

Comparison of Tropospheric Signal Delay Models for GNSS Error Simulation (GNSS 시뮬레이터 오차생성을 위한 대류층 신호지연량 산출 모델 비교)

  • Kim, Hye-In;Ha, Ji-Hyun;Park, Kwan-Dong;Lee, Sang-Uk;Kim, Jae-Hoo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6 no.2
    • /
    • pp.211-220
    • /
    • 2009
  • As one of the GNSS error simulation case studies, we computed tropospheric signal delays based on three well-known models (Hopfield, Modified Hopfield and Saastamoinen) and a simple model. In the computation, default meteorological values were used.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GIPSY result, which we assumed as truth. The RMS of a simple model with Marini mapping function was the largest, 31.0 cm. For the other models, the average RMS is 5.2 cm. In addition, to quantify the influence of the accuracy of meteorological information on the signal delay, we did sensitivity analysis of pressure and temperature. As a result, all models used this study were not very sensitive to pressure variations. Also all models, except for the modified Hopfield model, were not sensitive to temperature variations.

Development of Fair Scheduler for Quality Improvement in Wireless Differentiated Service (차등화 서비스의 성능 개선을 위한 보상 기법)

  • Jung, Jong-Hwa;Ha, R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136-138
    • /
    • 2002
  • 지연 차등화 모델은 각 클래스의 지연 차별 변수에 따라 차등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각 클래스의 패킷별 평균 대기시간이 지연 차별 변수에 비례한다. 유선 환경의 지연 차등화 모델인 WTP를 무선 환경에 적용시킨 WWTP는 큐의 처음 패킷의 블록으로 인한 큐의 전송 중단 현상을 개선하였다. 이로 인해 클래스별 서비스 불공평성이 줄어든다. 그러나 여전히 채널 오류기간에 비례하여 전송의 편중과 중단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본 논문은 WWTP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편중과 중단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보상 정책을 제안하는 스케쥴러를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은 에러 기간동안 에러 프리 서비스를 가상적으로시뮬레이션하여 정상 서비스와의 차이를 알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보상 정책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지연 차등화 모델인 WWTP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중단을 개선하면서 정상적인 채널상태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