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 학습

Search Result 1,69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Investigation of Food Safety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for Analyzing Food Safety Risk Factors in the Elderly (노인들의 식품안전 위험요인 규명을 위한 식품위생 지식, 태도, 행동 조사)

  • Choi, Jung-Hwa;Lee, Yoon-Jin;Lee, Eun-Sil;Lee, Hye-Sang;Chang, Hye-Ja;Lee, Kyung-Eun;Yi, Na-Young;Kwak, Tong-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5 no.5
    • /
    • pp.746-75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od safety knowledge, food safety attitudes, and handling behavior in the elderl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58 individuals over 65 years old in urban and rural areas.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analysis and ${\chi}^2$ test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From the results on elderly's food safety knowledge, the item 'tangerines should be washed before eating' was correctly answered by urban subjects (75.4%) than rural subjects (49.7%). 'Is it okay to cook meat left on the sink since afternoon in the evening' showed the lowest correct answer rate in both urban (23.1%) and rural (31.9%) subjects. For the item related to food keeping, 'Bacterial cells do not multiply in Samgyetang when it is kept in a refrigerator right after boiling thoroughly', 58.5% of urban and 54.6% of rural elderly answered correctly. Most elderly people showed a tendency to think that boiled foods might be safe to eat. Secondly, for food safety attitudes, urban elderly had more proper attitude regarding the item, 'Namul is very tasty only when mixed with bare hands' (disagree rate 34.9%) than rural elderly (P<0.05)'. On the other hand, rural elderly had more positive attitudes regarding the store principle "first in, first out" compared to urban elderly (P<0.001). Thirdly, regarding food safety behaviors, only 67.9% of urban and 58.7% of rural elderly responded that they washed their hands right after answering the telephone while cooking. Exactly 33.8% of urban and 39.6% of rural older people replied 'defrost meat on top of sink or table' as the defrost method for frozen foods, showing that elderly did not recognize the risk of foodborne illness during improper defrosting at room temperature.

Operation and Perception on Dietary Life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of Elementary School in Chungbuk Province (충북지역 초등학교 영양교사의 식생활 교육과 영양상담 운영실태 및 인식)

  • Kim, Myoung-Sil;Kim, Hye Jin;Lee, Young 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2 no.12
    • /
    • pp.2049-206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ore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activation pla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etary education operating situation, 58.9% underwent direct education, and 89.5% underwent food life education through traditional food culture succeeding business operation. The results from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regarding dietary education are as follows. The activation level by education types was as low as 2.24 points, the necessity was as high as 4.54 points, the difficult point in performing food life education was 'overwork' with 4.43 points, and the teaching activity ability level was 'can effectively prepare a teaching guidance plan' at 2.96 point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nutrition consultation operating situations, 62.8% underwent it and all of the students as well as some parents and teachers performed it. The consumed time per consultation for effective nutrition consultation was 10~20 minutes, the required education equipment and data were 'consultation program' with 40.3%, and the important content during consultation was 'contents related to eating habits' with 70.5%, which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The theory of lesson plannig and the instructional structuration : A case study for urban units in Japanese high school (수업설계론과 수업구조화 - 일본 고등학교 도시단원을 사례로 -)

  • ;Sim, Kwang Tae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29 no.2
    • /
    • pp.166-182
    • /
    • 1994
  • Kyonggi Province in the late Chosun dynasty was a center of superior government offices including 'Han' River water-road transportation and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an 'X'-shaped arterial road network. Because of these reasons, Kyonggi Province had a faster inflow of commodities, informations and technics compared with the other province. At this period of time, every local 'Eup' (name of administrative district) had not been affected by their above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had their own autonomy. For this reason, every 'Eup' could be developed as a town, even if its size was small when it had sufficient internal growing conditions. Moreover, the markets ('Si-Jon') in big towns and periodical markets which were spread over the Kyonggi Province played role of commercial functions of town. And because military bases for the defence of the royal capital in Kyonggi Province also took parts of a non-agricultural city role, Xyonggi Provinc had much more possibilities of growing as a town rather than the other provinces. The towns of the late Chosun Dynasty were, except the capital and superior administrative districts which were governed by the 'You-Su', small towns which had only about 3, 000-5, 000 people. Most of the town dewellers were local officials, nobles, merchants, craftmen and slaves. And the farmers who lived near town became a pseudo-towner through suburb agriculture. Among these people, the merchants were leaders of townization. The downtowns were affected by the landform and traffic roads. The most fundamental function of towns were administrative. The opcial's grade, which was dispatched to the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 ('Kun' or 'Hyun'), was decided by the size of population and agricultural land of each county. Large county which was governed by a high ranking opcial had more possibilities to develop as a large town. Because they supervised other opcials of lower rank and obtained more land and population for the town. The phonomena of farm abandonmen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1598 stimulated the development of towns for commercial function. The commercial functions of towns were evident in the Si-Jon or Nan-Jon (names of markets) in the big cities such as Hansung and Kaesung, meanffwhile in the local areas it was emerged in the shape of periodical market networks as allied with near markets (which were called as Jang-Si) or permanent markets which were grown up from periodical markets. These facts of commercial development induced the birth of commercial town. Kyonggi Province showed the weak points of its defense system during both wars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Manchu's Invasion in 1636). The government reinforced its defense system by adding 4 'You-Su-Bus' and several military bases. Each local districts ('Eup'), where Geo-Jins were established, were stimulated to be a town while Jin-Kwan system were, adjusted and enforced. Among Dok-Jins(name of solitary military bases), Youngjongjin was grown up as a large garrison town which only played a role of defense. The number of towns that took roles of non-agricultural functions in Kyonggi Province was 52. Among these towns, 29 were developed as big towns which had above 3, 000 people and most of these towns were located on the northwest-southeast axes of 'X'-shaped arterial trafic network in the Chosn Dynasty, This fact points out that the traffic road is one of the important causes of the development of towns. When we make hierarchy of the towns of Kyonggi Province according to its population and how many functions it had, we can make it as 6 grades. The virst grade town 'Hansung' was the biggest central town of administration, commerce and defdnse. The 2nd grade town includes 'Kaesung' which had historical inertia that it had been the capital of the Koryo Dynesty. The 3rd grade towns include some 'You- Su-Bus' such as Soowon, Kanghwa, Kwangju and also include Mapo, Yongsan and from this we can imagine that the commercial development in the late Chosun Dynasty extremely affected the townization. The 4th-6th grade towns had smiliar population but it can be discriminated by how many town functions it had. So the 4th grade towns were the core of administration, commerce and defense function. 5th grade towns had administrative functions and one of commercial and defense functions. 6th grade towns had only one of these functions. When we research and town conditions of each grades as the ratio of non-agricultural population, we can find out that the towns from the 1st grade to 4th grade show difference by degree of townization but from the 4th grade to 6th grade towns do not show big difference in general.

  • PDF

Roles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Nurse-Educators (미래 간호교육자의 역할과 이를 위한 준비)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39-49
    • /
    • 1981
  • 기존 간호 영역 내 간호는 질적으로, 양적으로 급격히 팽창 확대되어 가고 있다. 많은 나라에서 건강관리체계가 부적절하게 분배되어 있으며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적절한 건강관리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어 수준 높은 양질의 건강관리를 전체적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시급하다. 혹 건강관리의 혜택을 받는다고 해도 이들 역시 보다 더 양질의 인간적인 간호를 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간호는 또한 간호영역 자체 내에서도 급격히 확대되어가고 있다. 예를들면, 미국같은 선진국가의 건강간호사(Nurse practitioner)는 간호전문직의 새로운 직종으로 건강관리체계에서 독자적인 실무자로 그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의사의 심한 부족난으로 고심하는 발전도상에 있는 나라들에서는 간호원들에게 전통적인 간호기능 뿐 아니라 건강관리체계에서 보다 많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기대하며 일선지방의 건강센터(Health center) 직종에 많은 간호원을 투입하고 있다. 가령 우리 한국정부에서 최근에 시도한 무의촌지역에서 졸업간호원들이 건강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법적 조치는 이러한 구체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기존 간호영역내외의 이런 급격한 변화는 Melvin Toffler가 말한 대로 ''미래의 충격''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역동적인 변화는 간호전문직에 대하여 몇가지 질문을 던져준다. 첫째,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이러한 새로운 영역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길러내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셋째 내일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등이다. 1.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미래의 간호원은 다음에 열거하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지금까지의 것과는 판이한 환경에서 일하게 될 것이다. 1)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컴퓨터화되고 자동화된 기계 및 기구 등 새로운 기술을 많이 사용할 것이다. 2) 1차건강관리가 대부분 간호원에 의해 제공될 것이다. 3) 내일의 건강관리는 소비자 주축의 것이 될 것이다. 4) 간호영역내에 많은 새로운 전문분야들이 생길 것이다. 5) 미래의 건강관리체계는 사회적인 변화와 이의 요구에 더 민감한 반응을 하게 될 것이다. 6) 건강관리체계의 강조점이 의료진료에서 건강관리로 바뀔 것이다. 7) 건강관리체계에서의 간호원의 역할은 의료적인 진단과 치료계획의 기능에서 크게 탈피하여 병원내외에서 보다 더 독특한 실무형태로 발전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미래 간호영역에서 보다 효과적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미래 간호원들은 지금까지의 간호원보다 더 광범위하고 깊은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한다. 보다 발전된 기술환경에서 전인적인 접근을 하기위해 신체과학이나 의학뿐 아니라 행동과학 $\cdot$ 경영과학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훈련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행동양상면에서 전문직인 답게 보다 진취적이고 표현적이며 자동적이고 응용과학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훈련을 받아야 한다. 그리하여 간호원은 효과적인 의사결정자$\cdot$문제해결자$\cdot$능숙한 실무자일 뿐 아니라 소비자의 건강요구를 예리하게 관찰하고 이 요구에 효과적인 존재를 발전시켜 나가는 연구자가 되어야 한다. 2. 미래의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간호교육은 전문직으로서의 실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석이다. 이는 간호교육자야말로 미래사회에서 국민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기는 능력있는 간호원을 공급하는 일에 전무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그러면 이러한 일을 달성하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우선 간호교육자는 두가지 측면에서 이 일을 수정해야 된다고 본다. 그 하나는 간호교육기관에서의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엣서이다. 우선 간호교육기관에서 간호교육자는 1)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교육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2) 효과적인 교과과정의 발전과 수정보완을 계속적으로 진행시켜야 한다. 3) 잘된 교과과정에 따라 적절한 훈련을 철저히 시켜야 한다. 4) 간호교육자 자신이 미래의 예측된 현상을 오늘의 교육과정에 포함시킬 수 있는 자신감과 창의력을 가지고 모델이 되어야 한다. 5) 연구 및 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의사결정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도록 해야한다.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교육자 자신들이 능력있고 신빙성있으며 간호의 이론$\cdot$실무$\cdot$연구면에 걸친 권위와 자동성$\cdot$독창성, 그리고 인간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는 자질을 갖추도록 계속 노력해야 한다. 3. 미래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내일의 도전을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전략을 논함에 있어 우리나라의 실정을 참조하겠다. 전문직 간호교육자를 준비하는데 세가지 방법을 통해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간호원 훈련수준을 전문직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단계로 면허를 높이는 것이고, 둘째는 훈련수준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사 및 석사간호교육과정을 발전시키고 확대하는 것이며, 셋째는 현존하는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첫째와 둘째방법은 정부의 관할이 직접 개입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하고 현존하는 교과과정을 발전시키고 그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서만 언급하고자 한다. 미래의 여러가지 도전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자를 준비시키는 교육과정의 발전을 두가지 면에서 추진시킬 수 있다고 본다. 첫째는 국제간의 교류를 통하여 idea 및 경험을 나눔으로서 교육과정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서로 다른 나라의 간호교육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생각과 경험을 교환하고 연구하므로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발전체인(chain)이 형성되는 것이다. ICN같은 국제적인 조직에 의해 이러한 모임을 시도하는 것인 가치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국가간 또는 국제적인 간호교육자 훈련을 위한 교육과정의 교환은 한 나라안에서 그 idea를 확산시키는데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충분한 간호교육전문가를 갖춘 간호교육기관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그렇지 못한 기관과의 연차적인 conference를 가지므로 확산시킬 수도 있으며 이런 방법은 경제적인 면에서도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그 나라 그 문화상황에 적합한 교과과정 개발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는 둘째전략은 현존간호교육자들이 간호이론과 실무$\cdot$연구를 통합하고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당면하는 여러가지 요인-전인적인 간호에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지 못하고 임상실무경험의 부족등-을 보충하는 방법이다. 이런 실제적인 문제를 잠정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1) 몇몇 대학에서 방학중에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직 간호교육자들에게 필요하고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도록 한다. 따라서 임상실무교육도 이때 실시할 수 있다. 2) 대학원과정 간호교육프로그램의 입학자의 자격에 2$\~$3년의 실무경험을 포함시키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교수와 학생간의 진정한 동반자관계는 자격을 구비한 능력있는 교수의 실천적인 모델을 통하여서 가능하게 이루어 질수 있다고 믿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