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 음식문화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3초

지역 음식문화의 기록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광명시 자연마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ocumenting of Local Food Culture : Focused on the Natural Village of Gwangmyeong City)

  • 조해영;이영학
    • 기록학연구
    • /
    • 제60호
    • /
    • pp.195-237
    • /
    • 2019
  • 지역의 음식문화는 지역 고유의 특성과 지역 구성원의 삶의 모습 및 가치관이 반영되어 있어 지역성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는 영역 중 하나이다. 이러한 음식문화는 음식과 관련된 기억 및 풍습 등 무형의 형태를 지니는 특성이 있으므로, 기록하여 보존하지 않으면 소멸될 가능성이 큰 영역이다. 본고에서는 국내외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 음식문화의 기록화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수집 생산된 기록을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였다. 따라서 지역 음식문화 기록화 방안과 기록화된 지역의 문화적 자원을 관리하고 학술적 문화적 방면에서의 활용방향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전통: 디아스포라와 민족 음식의 세계화: 고려 사람의 이산이 가져온 구소련에서의 고려 음식의 세계화에 대한 고찰

  • 송창주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제3권2호
    • /
    • pp.126-142
    • /
    • 2010
  • 소련에서 이산에 의한 고려 사람들의 음식문화의 확산에 대한 논의는 현재 추진하고 있는 '한식의 세계화'에 시사하는 점이 많을 것이다. 따라서 본 내용은 1991년 소련이 해체되기 전후 두 차례에 걸쳐서 약 1년간 소련의 여러 지역을 여행하고, 또 소련이 해체된 후 1999년에 다시 이 지역에서 잠시 거주했던 필자의 경험과 이 지역 사람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얻은 자료, 문헌연구 등을 바탕으로 고려 음식이 어떻게 구소련 전 지역으로 퍼지게 되었는지 그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용 음식 문화 콘텐츠 개발 모델과 전망 (Developing Model of Food Cultual Contents for Smart phone application)

  • 최정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9-290
    • /
    • 2011
  • 많은 사람들은 낮선 지역을 여행하면 대개 그 지역의 유명한 음식이 무엇인지 한번 먹어봤으면 하는 욕구를 가진다. 또 고유한 전통식을 제대로 만들어 파는 곳이 어디인지, 외국어로 쓰여진 메뉴판을 해독하거나 특정 음식을 어떻게 주문해야 하는지 난감한 경우에 처한 경우도 많다. 본 연구는 이런 어려움과 아쉬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모바일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작 과정을 통하여 요리와 음식문화가 어떻게 상업성이 있는 콘텐츠로 가공, 개발되는지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콘텐츠는 10국에 현재 거주하거나 장기 거주한 적이 있는 다수의 음식 전문가들이 언어, 문화, 식품과 음식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는 집단 지성 체계로 협력 제작하였기에 다양한 지역, 풍성한 아이템, 깊이 있고 정확한 정보라는 양적, 질적 수준을 모두 충족시켜 유저들의 호응을 끌어냈다는 점에서 앞으로 개발될 많은 앱용 문화 컨텐츠의 제작 모델 역할을 하리라 생각된다.

  • PDF

소비자의 지식이 향토음식 스토리텔링에 의한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nsumers' Knowledge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s By the Storytelling about the Local Food)

  • 송영애;전기흥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5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지식 수준에 따른 향토음식 스토리텔링에 의한 행동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각 지역의 전통적인 식문화를 담고 있는 향토음식과 관련된 스토리텔링 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연구가 음식 스토리텔링의 필요성 제기, 음식 스토리의 소재 발굴, 미식 관광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향토음식 스토리텔링이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향토음식과 관련된 지식에 기초하여 스토리텔링의 속성과 향토음식의 구매지역을 조절변수로 두었다. 최종적으로 지식의 정도가 낮으며, 구매지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스토리텔링의 속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각 지역을 대표하는 향토음식의 스토리텔링을 발굴 또는 창작할 경우 향토음식의 문화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토리텔링 개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부산의 장소성과 향토음식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A Study on the Humanities of the Placeness and Local cuisine in Busan)

  • 류진아
    • 지역과문화
    • /
    • 제6권4호
    • /
    • pp.1-21
    • /
    • 2019
  • 이 연구는 인문학과 지역문화의 관점에서 부산의 지역적 특성과 역사적 특성이 상호작용하여 탄생한 향토음식을 통해 부산의 장소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장소는 단순히 좌표에 표기되는 공간상의 지점이 아니라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경험과 정서적 면까지도 포함하는 의미체이다. 장소는 가시적 환경과 환경에 대한 인간의 반응인 문화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장소에 대한 이해는 개인의 지리와 문화·역사까지를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장소성과 함께 한 지역의 특수성을 말하는 것 중에 하나가 향토음식이다. 향토음식은 그 지역의 특성과 주민들의 선호에 따라 변화될 수 있어 고정불변한 것은 아니다. 부산의 향토음식은 부산이 위치한 장소적 특징을 반영하면서 부산의 역사적 체험까지를 함께 담고 있는 음식이라 할 수 있다. 장소성과 역사성을 가진 부산의 대표적인 향토음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 번째로, 바다와 접해있는 항구로서의 장소적 특성을 잘 말해주고 있는 멸치회와 곰장어 구이이다. 두 번째로, 수산물과 곡물을 이용해서 만든 동래파전과 산성막걸리이다. 세 번째로, 일제강점기 때 새롭게 탄생한 어묵과 활어회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1·4후퇴 때 부산으로 피난 내려와 정착해서 살던 피난민들이 만든 음식인 밀면과 돼지국밥이다. 한 지역을 대표하는 향토음식은 단순하게 먹고 즐기고 소비되는 상품으로서의 수준을 넘어 그 지역의 장소적 특성과 역사적 특성을 함께 담은, 즉, 그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잘 말해주는 하나의 상징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징물은 한 지역의 특성을 살피고 정체성을 규정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

맛길따라 - 길따라 맛따라 - 강원도 편

  • 김동수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제6권1호
    • /
    • pp.68-81
    • /
    • 2013
  • 우리나라는 뚜렷한 4계절을 가지고 있고 계절별 생산되는 음식재료가 달라 맛있고 다양한 음식이 많이 존재한다. 또한 국토는 좁지만 지역별로 특성화된 음식이 있어 여행 중에 그 음식을 찾아 여행하는 것 또한 큰 즐거움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를 움직이는 특산물의 80%가 식품으로 지역에서는 매우 중요한 소득산업이요 농어민 소득증대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지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역별 주요한 특산식품이나 최근 들어 새롭게 개발된 지역 특화식품을 소개코자 한다. 한정된 지면으로 가진 자료를 모두 소개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나 권역별로 몇 차례 나누어 연재하고자 한다.

  • PDF

맛길따라 - 길따라 맛따라 - 경기도편

  • 김동수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제6권2호
    • /
    • pp.166-180
    • /
    • 2013
  • 우리나라는 뚜렷한 4계절을 가지고 있고 계절별 생산되는 음식재료가 달라 다양하고 맛있는 음식이 많이 존재한다. 또한 국토는 좁지만 지역별로 특성화된 음식이 있어 여행 중에 그 음식을 찾아 여행하는 것 또한 큰 즐거움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를 움직이는 특산물의 80%이상이 식품으로 지역에서는 매우 중요한 소득산업이요 농어민 소득증대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지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역별 주요한 특산 식품이나 최근 들어 새롭게 개발된 지역 특화식품을 소개코자 한다. 한정된 지면으로 가진 자료를 모두 소개하는데는 한계가 있어 권역별로 몇 차례 나누어 연재하고자 한다.

  • PDF

음식관광의 참여활동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Food Tourism's Activities on Visiting Intention)

  • 이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417-425
    • /
    • 2010
  • 본 연구는 음식관광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음식과 관련된 참여활동이 방문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음식관광객을 유인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지는 250부를 배포하여 248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관광의 분석에서 음식관광을 경험한 사람은 43.5%, 18.5%는 경험은 없지만 관심이 있고, 그 형태는 유명한 맛 집 방문과 음식문화축제 참여로 나타났다. 아직, 음식관광 형태는 단순하지만 충분히 음식관광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의미된다. 둘째, 관광지에서 추구하는 음식성향은 현지주민이 추천하는 음식, 내 입맛에 맞는 음식, 지역특산품 및 향토음식, 재래시장 방문, 먹거리 축제/음식문화 체험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양지역을 방문할 경우 응답자들은 송이 능이버섯 전골, 항아리 맥적구이, 소백산 산채비빔밥, 곤드레 마늘솥밥의 향토음식을 선택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식관광의 참여활동에서 '음식문화 경험', '건강지향', '음식의 지식/정보추구'의 순으로 방문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