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 빈도해석

Search Result 456, Processing Time 0.364 seconds

LA-ICP-MS U-Pb Zircon Age of the Granite Gneiss from Jeungsan-Pyeongwon Area of North Korea (북한 증산-평원지역 화강편마암의 LA-ICP-MS U-Pb 저콘 연대)

  • Song, Yong-Sun;Park, Kye-Hun;Lee, Ho-Sun;Lin, Cao;Yuji, Orihashi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2
    • /
    • pp.171-179
    • /
    • 2009
  • LA-ICP-MS U-Pb zircon age was determined from the granite gneiss from Jeungsan-Pyeongwon area located to the west of Pyeongan Basin, North Korea, yielding concordant age of $1,873{\pm}19(2{\sigma})$Ma interpreted as Paleoproterozoic granitic magmatism. Considering relatively precise data reported recently using SHRIMP and LA-ICP-MS, ages around 1,870 Ma have been most frequently reported from Precambrian basement rocks of Korean peninsula, including Yeongnam, Gyeonggi, and Nangnim massifs altogether. Geologic events of this period are interpreted as not only granitic magmatism but also hightemperature regional metamorphism depending on their localities. The magmatic and regional metamorphic events of similar periods have also been reported from neighboring cratons of both North China and South China. Therefore, we need more data and efforts to decipher correlation between Precambrian basements between Korea and China.

Data Analysis of Suspension P-S Velocity Logging in Banded Gneiss Area around Hanam, Gyeonggi Province (경기도 하남시 인근 호상편마암 지역에서 Suspension P-S 속도검층 자료분석)

  • Yu, Young-Chul;Song, Moo-Young;Leem, Kook-Mook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7 no.4
    • /
    • pp.623-631
    • /
    • 2007
  • In this paper, dynamic elastic module of banded gneiss were calculated on the basis of SPS velocity logging data obtained from a geotechnical test-hole in Pungsan-dong, Hanam, Gyeonggi Province, Korea.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velocity analysis, Q factor calculation relative to attenuation factor, and generation of crack information and its relation with seismic velocity. As a result, P-wave and S-wave velocity of fresh hard rock was 5,559m/s and 3,063m/s, respectively, with Poisson's ratio being 0.28. With these results, dynamic modules were prepared, and crack information analyzed by acoustic televiewer was incorporat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and between delay of first arrival by crack amplitude ratio, and velo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analyzed logging hole mainly consisted of micro crack and a number of cracks and the size of crack aperture, functioned as a variable to seismic velocity in the micro crack area of this type of hard rock.

The Analysis of Flooding by Virtual Flood Scenario (가상 홍수시나리오에 의한 홍수범람 해석)

  • 윤희천;엄대용;이용욱;김정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1 no.2
    • /
    • pp.181-189
    • /
    • 2003
  • A virtual flood scenario has been constructed to investigate the overflowing process in the flooding area. The topography is constructed using the airborne LIDAR data. In addition, the frequency and scale of the flooding and the destruction condition of the flooding defensive structure are used as input to the scenarios. Through the scenario, the inundation depth with respect to time and maximum depth has been analyzed. This analysis shows the water level variation with time which show the flooding process. Moreover, a flooding map is drawn using the results from the scenario, distribution of the defensive structure, vulnerable area, and expected destruction points in the study area.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to examine the flooding process and flood disaster management. Furthermore, it could provide important basic information for the land development and the city planning of a possible flooding area.

Identific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Temporal Patterns of Rainfall in Gamcheon Watershed (감천유역에 대한 강우양상 발생 영향인자의 규명 및 해석)

  • Ahn, Ki-Hong;Cho, Wan-Hee;Han, Kun-Y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2
    • /
    • pp.77-85
    • /
    • 2009
  • In South Korea, seasonal, local and temporal climatic characteristics are variable in rainfall patterns. To design or assess the reliability of hydrosystem, information about the rainfall event under consideration is important. In this process, the complete description of a design storm involves the specification of rainfall duration, depth, and its temporal pattern. Generally, to use an appropriate temporal pattern for a design storm is of great importance i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hydrological safety for hydrosystem. For purpose of selecting of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rainfall patterns, Huff's dimensionless method was executed and examined by statistical contingency tables analysis through which the inter-dependence of the occurrence frequency of rainfall patterns with respect to geographical location, rainfall duration and depth, and seasonality is investigated. This analysis result can be used to establish flood policies and to design or assess the reliability of hydrosystem.

The Relation of Fracture Properties to Hydraulic Conductivity in Volcanic Rocks of the Northern Yosu Area (여수 북부지역 화산암의 단열특성과 수리전도도와의 관계)

  • 조성일;송무영;김경수;이은용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9 no.3
    • /
    • pp.227-241
    • /
    • 1999
  • Groundwater flow in a fractured rock mass is related to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fracture syste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babilistic density function of fracture properties md their relations to the hydraulic conductivity in volcanic rocks of the northern Yosu area. Fractur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core logging and acoustic televiewer logging in four boreholes and the hydraulic conductivity was obtained from the constant pressure injection and fall-off tests. The 303 fractures were grouped into three sets by their orientation and three fracture types by the degree of opening in apertu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ydraulic conductivity in the test section intersected by open and semi-open fractures, conductive fractures, and set 1 fractures was very high, while closed fractures did rarely affect the hydraulic conductivity. It was recognized that the hydraulic conductivity in a fractured rock mass was preferentially affected by the aperture size of conductive fractures and fracture intersection frequency and size, secondly.

  • PDF

Analysis of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on Bias Correction Method of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 편의보정 기법에 따른 강우-유출 특성 분석)

  • Kum, Donghyuk;Jung, Young Hun;Yang, Jae E;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38-438
    • /
    • 2015
  •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다양한 자연조건에 대한 불완전한 이해, 연산능력 등의 제한으로 매우 높은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으며, 국내의 다양한 연구에서도 제시되어 있듯이 매우 과소 추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다양한 편의보정 기법을 통해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편의보정 기법은 적용 방법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보정에 따른 강우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편의보정 기법에 따른 강우-유출 특성을 갑천유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Change Factor(CF)와 Quantile Mapping(QM) 그리고 CF와 QM을 연계한 편의보정기법(CQ)에 따른 강우-유출 특성을 갑천유역을 대상으로 Change Factor(CF)에서 연평균(CF_Y)/월평균(CF_M) 교정계수를 이용하는 방법과 Quantile Mapping(QM)을 총 편의보정기간(QM_E)과 우기와 비우기(QM_P)를 구분하여 누적확률분포를 고려하는 방법, 그리고 CF와 QM을 연계한 편의보정기법(CQ) 총 5가지에 대해서 편의보정을 수행하고 유출특성을 SWAT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과거 기간에 대해 CF_M과 QM_P는 첨두유량이 실측 첨두유량에 비해 2배 이상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QM_P는 최대 강우 발생 월이 다른 편의보정 기법과는 다르게 나타나 월별 유출 분석시 큰 오류가 발생될 것으로 판단된다. 5가지의 편의보정 기법 중에 CQ가 과거 강수 크기, 발생 분포 및 빈도 재현을 가장 잘 반영하며, 미래기간에 대한 기간별(2030s, 2050s, 2070s, 2090s) 평균유량을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SRES A1B 시나리오의 이산화탄소 배출 시나리오의 특성을 유지한 미래 강우-유출해석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편의보정 기법 적용으로 자연적인 현상을 정확하게 모의하기에는 어려움이 많고 불확실성 역시 매우 크지만, 과거 강수발생 경향이나 편의보정의 특성을 알고 활용목적에 맞는 편의보정을 수행한다면 수자원 관리 계획 수립 등에 큰 도움이 될것으로 판단된다.

  • PDF

Expectation Analysis of Inundation Using Distributed Model in NamgangDam Basin (분포형 모형을 적용한 남강댐 유역의 침수예측 분석)

  • Park, Mi Ri;Park, Sung Je;Lee, Young Kun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84-584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와 태풍 등으로 홍수피해가 급증하고 있음에 따라 침수지역에 대한 공간적인 분석과 사전 예측으로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유역 별 평균화된 매개변수로 홍수량을 산정하는 집중형 모형이 아닌 분포형 모형을 적용하여 남강댐 유역의 유출량 산정 및 침수예측을 분석하였다. 분포형 모형은 격자체계를 기반으로 유역에 각 격자별 공간적 특성이 반영된 매개변수를 적용하므로 유역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므로 집중형 모형보다 정확한 해석이 가능하다. DEM, 토양도, 토지피복도 등의 격자크기 $240{\times}240$의 지형공간 자료를 ArcGIS를 이용하여 남강댐유역의 Flow direction, 경사도, 하도경사, 불투수율, 유효공극률, 조도계수, 토양심도, 수리전도도, 토양흡인수두 등의 수문매개변수를 추출하였다. 강우 자료의 경우 티센(Thiessen)법에 의해 선정된 남강댐유역 주변의 장수, 거창, 진주, 합천, 산청, 남원 강우관측소의 100년빈도 확률강우량 산정하여 24시간 확률강우를 3분위 Huff 분포시킨 후 강우의 공간적 통계특성을 반영하는 크리깅(Kriging)기법으로 적용하여 강우보간을 실시하였다. 침수예측을 위해 $Vflo^{TM}$모형을 이용해 48시간의 강우모의시간 홍수수문곡선 유도 및 홍수량 산정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침수 시뮬레이션하여 침수예측도를 작성하였다. 작성 시 침수심의 정도에 따라 5개의 구간으로 분류해 침수위험지역을 확인 할 수 있도록 도식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유역의 침수위험지역을 개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조밀한 격자크기와 강우를 이용하여 분석한다면 향후 피난 정보 제공과 홍수재해지도 작성, 홍수방지 시설물 건설 또는 홍수보험계획 등에 응용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flash flood guidance system for rural area based on deep learning (딥러닝 기반 농촌유역 돌발홍수 예경보 시스템 개발)

  • Ryu, Jeong Hoon;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09-309
    • /
    • 2018
  •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의 규모와 발생빈도 증가로 농촌유역의 홍수 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홍수 피해 저감 대책은 도시지역의 대하천 주변으로 집중되어있으며, 소하천 및 농촌유역의 홍수 피해 저감에 대한 관리와 투자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최근 들어 갑작스런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농촌유역 돌발홍수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홍수 발생 등을 신속하게 파악하기 위한 돌발홍수 예경보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최근 산업의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4차 산업혁명이 대두되고 있으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AI)을 비롯하여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드론, 슈퍼컴퓨팅 등의 이른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농촌유역 홍수 피해를 저감하고 또한 사전에 대비하기 위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농촌유역 돌발홍수 예경보 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우선, 농촌유역의 홍수와 관련된 빅데이터 (기상 자료, 수문 자료, 기후변화 자료, 농업용 수리구조물 자료 등)를 토대로 정형 빅데이터와 비정형 빅데이터를 구분 추출하고 이를 연계 해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추출한 정형 및 비정형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딥러닝을 기반으로 농촌유역의 홍수를 예측하고 홍수 예경보 기준에 따른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과거 강우사상을 홍수 예경보 시스템에 적용하여 홍수 모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재해연보 등과 비교 분석하여 시스템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 PDF

Comparison of inundation patterns of urban inundation model and flood tracking model based on inundation traces (침수 흔적도 기반으로 도시침수 모형과 홍수추적모형의 침수양상 비교)

  • Choi, Jonghwa;Jeon, Jaehyun;Kim, Taehyung;Kim, Byung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2
    • /
    • pp.71-80
    • /
    • 2021
  • In recent years, the possibility of flooding due to the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high-frequency rainfall due to abnormal rainfall and the increase in concentrated torrential rain is increasing. Also, the amount of rainwater runoff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of the impermeable layer in the city due to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due to urbanization and concentration of developmen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ed city, it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rivers and in the lowlands. For the analysis of inundation in water, using XP-SWMM, which can analyze stormwater pipelines and surface flows, and FLO-2D models that can track flood-sluice curves and rainfall-spill curves, based on hydraulic and hydrological analysis. Inund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comparative review was conducted. The patterns of flooding of the two models were compared, and a model suitable for domestic flooding was selected.

Evaluation of ECMWF subseasonal-to-seasonal (S2S) hydrometeorological forecast across Australia (호주에서의 ECMWF 계절내-계절 수문기상 예측치 평가)

  • Jongmi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8-268
    • /
    • 2023
  • 전 지구적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수문기상인자들의 비선형적 변동성이 발생함과 동시에 가뭄, 홍수와 같은 수재해의 발생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세계의 유수기관 (NASA, ESA 등)에서는 대기모형과 해양 모형의 결합 및 수치해석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계절내-계절 (Subseasonal to seasonal; S2S) 예측치를 생산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European Centre for Medium-Range Weather Forecast (ECMWF)에서 산정되는 수문기상인자 (강수량, 증발산량 및 유출량)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지역으로는 다양한 기후대 및 토지 피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El-Nino-Southern Oscillation (ENSO), Indian Ocean Diapole (IOD)와 같은 기후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호주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ECMWF S2S 자료에 대한 통계적 검증은 1) 지점 기반 관측치와 더불어 2) 물수지 모델 기반 수문 추정치 (The Australian Water Resources Assessment Landscape Model; AWRA-L)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S2S 강우 및 증발산량 산정치의 경우 비교적 짧은 예측기간(약 2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 (R=0.5~0.6)와 낮은 편차 (강수량 = 0.10 mm/day, 증발산량 = 0.21 mm/day)를 나타내었다. 유출량의 경우, 강우 및 증발산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정확도를 나타내었으며, 예측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불확실성이 상당히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S2S 계산과정에서 강우 및 증발산량 뿐만아니라 지표 유출로 도달하기 전까지의 수문기상인자들의 불확실성이 모두 모여 유출량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계절적 검증에서는, 강우 및 증발산량 모두 여름철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지만 불확실성은 상대적으로 큰 값을 나타내었다. 자세한 분석을 위해, 공간적인 불확실성을 분석해본 결과 ECMWF S2S가 매우 습윤하거나 건조한 지역에서 수문기상인자를 예측하는데 있어 한계성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추후 S2S 예측치에 대한 보정과 더불어 미래의 수재해 발생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