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 복구

Search Result 39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nalysis of Terrain Change Caused by Mining Development using GIS (GIS를 이용한 광산개발지역의 추이 현황 분석)

  • Lee Hyu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4 no.3
    • /
    • pp.261-269
    • /
    • 2006
  • There is a need to restore the terrain back its natural environment after mining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original and developing surfaces for post-management and to analyze the terrain change to develop a process for efficient restoration plan.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change to the terrain by annual mining development using GIS. Contours digitized with CAD based on photogrammetry are classified into annual data and created by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TIN). By producing profiles and cross sections using TIN, many stations are distinguished. As a result of the terrain changes caused by mining development from 2000 to 2003 by operating elevation values each cell converted to raster from TIN, $11,094,460m^3$ are cut and $5,127,968m^3$ are filled up to 46% of cut volume, and annual surface changes of cut and fill area to mining are analyzed to visual and quantitative data. This study is used for the restoration plan and additional mining.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annual change, caused by mining development, can be used to return the terrain close to its original condition for finished mining area.

A study on the Flora of the Mt. Joghesan (조계산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 Kim, Jong-Hong;Suk-Mo Chang
    •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 /
    • v.5 no.1
    • /
    • pp.63-88
    • /
    • 1990
  • The vegetation of Mt. Joghesan of a provincial park in Cheolanamdo was surveyed over twenty times from July, 1980 to December, 1981. The plants of Mt. Jonghesan consisted of 10 forma, 107 varieties, 597 species, 424 genera and 122 families, and among them were 204 species of esculent plants, 199 species of medicina plants and 30 species of the others oil plants and fiber plants. Evergreen herbs consisted of 12 species, including Coniogramme intermedia, Asplenium sarelii, and Asplenium incisum etc. And Evergreen broad-leaved trees consisted of 22 species, including Thea sinensis, Sasa borealis, and Quercus acuta etc. And evergreen needle-leaved trees consisted of 15 species, including Torreya nacitora, Pinus densiflora, Sciadopitys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etc. The community of broad-leaved consisted of Quercus spp, Carpinus laxiflora, Sasa borealis, including leading dominant species of Lespedeza maximowiczii, Viburnum erosum, Fraxius rhynchophylla, Viburnum dilatum, Rhus trichocarpa, Zelkova serrata, Miscanthus sinensis, Eragrostis ferrugina, Carex augustinowiczii persicaria filiforme var. neofiliforme, Vicia amoena, Smilax riparia var. ussuriensis, and Aster yomena etc. The vegetation of Seunamsa areas in Mt. Joghesan was favorable but the vegetations of the other areas in the mountain were negligible. The vegetation of Koolmokchi areas which had been much destroyed by forest fires was mostly covered with Quercus spp which are resistant to forest fires. Lindera sericea, Alangium platanifolium var. macrophyllum, Ilex macropoda, Corylopsis coreana, Albizzia julibrssin of old trees, Acer mono, the community of Thea sinensis, Stewartca koreana, Cornus alba, Dryopteris bisstiana, Asplenium incisum, Camptosorus, Lepisorus thunbergianus, gastrodia elata, Cymbidium goeringii, and the community of Persicaria filiforme var. neofiliforme etc. in Mt. Jonhesan are autochthonous flora, and their preservation is required. As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Mt. Joghesan which was hewn down by human power has not been restored, Jeopchi areas and Koolmokchi areas in Mt. Joghesan have no Pinnus densiflora trees 700m above the sea level.

  • PDF

A Study on the Watershed Analysis of the Expected Flood Inundation Area in South Han River (남한강 유역의 침수예상지역에 대한 홍수범람분석에 관한 연구)

  • HONG, Sung-Soo;JUNG, Da-Som;HWANG, Eui-Ho;CHAE, Hyo-S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1
    • /
    • pp.106-119
    • /
    • 2016
  • Flood risk map, flood damage map, disaster information map, inundation trace map are involved with the cartographic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based on prevention, preparation, restoration, response from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 flooding, etc. In this study, the analysis for channel and basin characteristics Chungju dam to Paldang dam of South han river after four river project. Flood scenario is selected to take advantage of design flood level of schematic design for river. Flood inundation of one dimensional non-uniform flow by using HEC-RAS with basin characteristics is accomplished and two dimensional unsteady flow was interpreted by using FLUMEN. Frequency analysis is carried out about each abundance of South han river for 100 year period, 200 year period and 500 year period. Flooding disaster area of 100 year period on 0.5m damage functions is 2378.8ha, 200 year period on 0.5m damage functions is 3155.2ha, 500 year period on 0.5m damage functions is 3995.3ha respectively. It will be significant data for decision making to establish inundation trace map for providing basic plan for river maintenance, land use plan, flood protection plan, application plan and getting information of flood expectation area.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ISE for Managing a Large Scale Cluster in Distributed Environment (분산 환경의 대규모 클러스터를 관리하기 위한 RISE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Park Doo-Sik;Yang Woo-Jin;Ban Min-Ho;Jeong Karp-Joo;Lee Jong-Hyun;Lee Sang-Moon;Lee Chang-Sung;Shin Soon-Churl;Lee In-Ho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3 no.7
    • /
    • pp.421-428
    • /
    • 2006
  • In this paper, the way of remote installation and back-up of 3-tier structure is introduced for efficient utilizing the cluster system resources distributed at several places. Recently, cluster system is constructed as the system of over hundreds nodes under complex network system mixed with public networks and private networks. Therefore, the as installation method suitable for the large scale cluster system and the remote recovery of failure nodes are important. However the previous researches which are based on 2-tier architecture may not provide the efficient cluster installation and image back-up method when the network of cluster system is composed of several private networks and public networks. In this paper, RISE (Remote Installation Service and Environment) based on the 3-tier architecture is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In our approach, the managing node's role is divided into the global master node (GRISE) and the local master node (LRISE) to provide the efficient initial system deployment and remote failure recovery of distributed cluster system under the various network systems. Also, LRISE's availability is ensured under the complex network environments by adopting the auto-synchronization mechanism between GRISE and LRISE. In this work, a 64-node cluster system with gigabit network system is utilized for the experiment.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the system image with 1.86GB data can be obtained in 5 minutes and 53 seconds and the image-based installation of 64-node system can be carried out in 17 minutes and 53 seconds.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of River Levee Safety Map to Improve Maintenance Efficiency and Disaster Responsiveness (하천제방의 유지관리 효율성 및 재해 대응성 향상을 위한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 연구)

  • Kim, Jin-Man;Moon, In-Jong;Yoon, Kwang-Seok;Kim, Soo-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9
    • /
    • pp.20-29
    • /
    • 2018
  • Owing to the changing climate and recent flood events, flood damage caused by river levee collapse and overflow is on the rise in Korea, making it necessary to enhance river levee maintenance technologies to deal with various flood damage scenarios. This paper proposes the evaluation system of a river-levee safety map to improve maintenance efficiency and disaster responsiveness. A river-levee safety map, indicating sliding, piping, visual inspection, scouring, and safety index of a levee fill material on a GIS map will enable the dangerous zone to be identified visually and the development of proactive measures to deal with it. This will maximize the river-levee maintenance efficiency, which is a break from traditional practice in that restoration measures are taken only after the damage has occurred. This study includes scouring and levee fill material in addition to previously-proposed sliding, piping and visual inspections. The research activities conducted in the study include 1) categorization of scouring and levee fill material based on document and data examination, 2) evaluation of sliding and piping at 5 locations on the left levee in the Nam river according to the duration time of the flood water level, and 3) evalu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couring and levee fill material at 9 locations on the left/right levee in the Nam River. The river levee safety map proposed in this study would be more useful and practical but further study on the manual for river management organization, repair and reinforcement methods, and budget is required.

남해 동부 연안 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적 연구: 해수침투에 대한 고찰

  • 신광섭;윤성택;허철호;이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438-441
    • /
    • 2003
  • 남해 동부 연안 지역 지하수의 해수 침투 영향을 광역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202개소의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고 수리지구화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체 시료 중 14.4%가 500 $\mu\textrm{m}$/cm을 초과하는 높은 EC값을 나타내어 해수 영향을 시사해 주었다. 해수 영향 판단의 또 다른 파라메터로 사용되는 CI/HCO$_3$ 몰비는 전체 시료의 23.3%가 1.3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대표적으로 해수침투 영향 및 인위적 오염의 영향을 각각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Cl과 NO$_3$의 농도에 관한 누적도수분포도를 작성하여 배경수질군과 오염영향군을 구분짓는 배경치(background concentration)를 구한 결과, 각각 Cl = 22.3 mg/1 및 NO$_3$= 23.1 mg/l로 나타났다. 이 두 파라메터의 농도 분포를 기준으로 하여 채취된 지하수 시료를 크게 4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 결과, 자연적 또는 인위적 기원의 오염이 배제된 그룹 1은 전체 시료의 31%, 자연적 오염(해수 영향)을 반영하는 그룹 2는 전체의 24%, 인위적 오염의 영향을 반영하는 그룹 3은 전체의 9%, 해수 영향 및 인위적 오염을 동시에 반영하는 그룹4는 전체의 36%로 나타났다. 또한 그룹2와 그룹4는 대부분 Na-Cl유형으로 진화하는 Ca-Cl유형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여러 지구화학 방법에 의한 해수 영향 판단 결과는 서로 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지구화학적 파라메터를 종합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연안 지역 해수침투의 효과적인 파악은 물론 예측 및 방지, 복구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으로 토양에서 유동 가능성이 있는 중금속만을 추출하였다. 분석실험은 토양의 Cd2+ 와 Pb2+를 대상으로 행하여졌으며, 여러 토양에서 추출 분석한 결과를 EDTA분석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중금속은 매우 신속하게 고분자 자성체와 결합하였고, 그 후 자성체를 외부 자장으로 모은 후 산으로 용해시키고, 결합된 중금속은 Graphite furnace AAS로 분석함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으로 분석실험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실험에서 나타난 수치들을 비교 검토한 결과 토양 분석시 sandy soil에서는 자성체를 이용한 분석이 EDTA에 의한 방법보다 더 높은 추출도를 보인 반면, silt 함량이 많은 토양의 경우에서 EDTA분석에서 더 높은 중금속 추출도를 보였다.s 중에서 490nm와 555nm의 복합밴드를 포함하는 OC2 알고리즘(ocean color chlorophyll 2 algorithm)을 사용하는 것이 OC2 series 및 OC4 알고리즘보다 좋은 추정 값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환경에서는 5일에서 7월에 주로 이 충체의 유충이 발육되고 전파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러 가지 방법들을 적극 적용하여 금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종간 교잡종을 자방친으로 하고 그 자방친의 화분친을 사용할 때만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교잡을 통한 종간잡종 품종육성 활용방안을 금후 적극 확대 검토해야 할 것이다하였다.함을 보이고 있다.X> , ZnCl$_{3}$$^{-}$같은 이온과 MgCl$^{+}$, MgCl$_{2}$같은 이온종을 형성하기 때문인것 같다. 한편 어

  • PD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Lava Tubes in Jeju Island, Korea (제주도 용암동굴의 보존 및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Beom-Hoon;Kim, Tae-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3 no.6
    • /
    • pp.609-622
    • /
    • 2007
  • This paper examines the lava tubes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in Jeju Island, and then makes the several suggestions for conserving and managing them. The cave entrances should be scientifically and strictly managed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and to preserve the interior ecosystem, of the lava tubes. The land use and vegetation of the ground surface over the lava tubes should be also systematically managed; the destroyed sand dunes must be recovered for the development of speleothem in the lava tubes, and the plants with deep roots must be removed for the prevention of ceiling collapse. The provincial authorities should manage the ground surface over the lava tubes as a public land to remove the factors threatening the stability of the lava tubes. Since the roads crossing the ground surface are likely to cause the collapse of the lava tubes, new roads bypassing the caves need to be constructed, and warning signs should be also installed at the traverse points. A monitoring system o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rea over the lava tubes could be effectively established by encouraging residents to participate the conservation program of lava tubes. Since the falling blocks from ceilings have been usually observed in the lava tubes, it is urgent to examine their stability. In particular, the dangerous sections must be continuously monitored for taking a quick measure against the collapse. The air environments of lava tubes need to be scientifically analyzed based upon the long-term observations. The lighting equipments must be improved to minimize the green pollution in the lava tubes open to the public. The numbers of visitors should be also controlled to prevent the destruction and contamination of lava tubes caused by a large number of visitors.

  • PDF

Flood Disaster Management for Local Government (지자체 맞춤형 홍수재해관리)

  • Cho, Wan Hee;Park, Jeong Su;Kim, Jong Rae;Shin, Cheol Kyun;Lee, Yong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14-114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촌 곳곳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극한 홍수재해로 몸살을 앓고 있다. 2011년 태국에서는 짜오프라야강 범람으로 국토의 70% 이상이 침수되었고, 2013년 인도 북부지역에서는 갠지스강 및 지류의 범람, 산사태, 가옥붕괴 등으로 1,000여명이 숨지고 관광객 및 순례객 7만여명의 발이 묶이는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2014년 발칸반도에서는 120년만의 폭우로 인하여 30여명이 사망하고 100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다. 국내의 경우 2011년 수도권을 중심으로 하루에 300mm가 넘는 기록적 호우가 쏟아지면서 주택과 도로의 침수, 산사태 등으로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또한 2014년 8월 경남 부산지역에는 시간당 130mm가 넘는 국지성 호우에 따른 산사태, 침수 등으로 도심기능이 마비되는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대부분의 자연재난은 태풍 및 집중호우 등 물재해로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2012년 전체 자연재난의 95.6%, 2013년 전체 자연재난의 93%를 물재해가 차지하였다. 이에 구조적 비구조적 홍수 재해 저감대책 수립 및 시행 등 지속적인 물관리 노력으로 대하천에서 발생하는 홍수피해는 크게 감소하였으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운영 관리되고 있는 중소하천에서의 피해는 오히려 점차 증가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07~2011) 홍수피해의 98% 이상이 중소하천을 중심으로 발생한 것으로 발표된 바 있다. 특히 지자체의 경우 전문인력 및 기술력 부족, 열악한 재정 등으로 피해가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중소하천과 같이 소외된 지역의 물복지 향상을 위해서는 홍수재해 상황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과학적 체계적인 선진 홍수재해 관리체계의 구축이 요구되는 바이다. 이에 물관리 전문기관인 K-water에서는 지난 2010년부터 ICT기반의 우수한 물관리 기술력과 홍수대응 Know-How를 활용하여 '지자체 맞춤형 홍수재해관리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본 시스템은 상 하류의 다양한 재난 정보를 수집 통합하고, 수집된 정보를 활용한 홍수분석을 통해 예방적 재난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K-water는 지난 2010년 남원시를 시작으로 무주군, 군산시, 진안군 등의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재난은 복구보다 예방이 우선되어야 함은 모두 다 아는 사실이지만 예산문제 등으로 항상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이 아직까지 반복되고 있다. K-water는 물관리 전문 공기업으로써의 역할을 다하고, 예방 위주의 재난관리 체계 마련을 위해 '지자체 맞춤형 홍수재해관리시스템' 구축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다.

  • PDF

Water Related Disaster Risk Reduction Education & Training Program fo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적개발원조를 위한 물관련 재해위험경감 교육훈련프로그램 연구)

  • Lee, Seungho;Cho, Ye-Eun;Ko, Hy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28-128
    • /
    • 2015
  • 본 연구는 공적개발원조 사업 중 하나로 개발도상국의 실무자 및 정책결정자의 물 관련 재해위험경감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물 관련 재해에 대한 구조적, 비구조적 대응방식을 균형있게 논의하고 지방정부 및 관련기관과의 협력, 지역사회기반의 재해경감정책 등 새로운 대응방식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검토한다. 2000년-2006년 기간 Emergency Disasters Database (EM-DAT)에 기록된 전 세계 2,163건의 물 관련 재해는 총 29만 명 이상의 인명피해와 4,220억 달러의 재산피해를 초래하였다. 이런 재해는 개발도상국이나 선진국 모두에게 치명적이지만 특히 재해대응역량이 부족한 개발도상국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여 국가개발과 존망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은 재해관리를 간과하여 빈곤의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05년 효고행동강령(Hyogo Framework for Action: HFA)의 기본원칙, 2011년 중간평가 검토, 2015년 이후 제시될 새로운 재해위험경감 정책의 틀 속에서 재해위험경감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개발도상국 공무원을 대상으로 공적개발원조 프로그램을 운영한 천안의 중앙민방위방재교육원과 일본 고베시의 JICA 등을 방문하여 물 관련 재해 대응의 실질적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물 관련 재해대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대상은 실무자와 정책결정자로 설정하고 예방/대비/대응/복구의 유형에 따른 교육과정을 검토한다. 재해 대응 역량강화를 위하여 댐이나 제방 등 홍수위험관리기술과 같은 구조적 방식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재해위험경감을 위한 홍수위험도 분석과 관리, 도시홍수위험경감계획, 관련 법규제정, 지역홍수위험경감과 민관협력 등과 같은 비구조적 방식에 대한 교육도 포함한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과 물 관련 재해관리 경험을 정책, 사업, 사례와 연관시켜 교육을 진행하고 장단점 비교를 통하여 개발도상국 현지에 적합한 모델을 모색한다. 또한 재해발생시 피해규모를 최소화하게 하는 초동대응을 위해서 행정뿐만 아니라 지역, 시민, 기업 등 다양한 이해 당사자와 주체가 참여하는 종합대책교육을 포함한다. 사회경제발전의 지속을 위해서는 재해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인간의 삶에 너무도 익숙하지만 홍수, 가뭄 등으로 치명적인 피해를 야기하는 물 관련 재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물 관리와 관련 재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한국의 물 관리 경험에 기초한 재해위험경감 교육과 훈련은 개발도상국의 효과적인 재해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of the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on Disaster Response (지역사회 재난회복력 구성요소와 재난관리정책 결정요인 분석)

  • Kim, Jinkeun;Park, Chanseo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3
    • /
    • pp.339-346
    • /
    • 2019
  • Purpose: In fact, to manage response and recovery successfully, although mitigation and preparedness should be accomplished naturally and automatically through thorough analysis and assessment, response, recovery, mitigation, and preparedness have not done in the way of virtuous cycles and continued broken disaster management repeatedly. Method: By Analysis through the critical methods, to enhance the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centered by soci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Result: (1) public training & education preparing for emergency or disaster (2) supplying public with disaster, or hazards information, and sharing at real time (3) networking emergency and disaster informational communication system & alarm system (4) analysis and assessment of risk(or disaster) in community (5) inter-governmental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agreements (6) adopting and implementing disaster or hazards mitigation plan Conclusion: These will be able to be fully melt down into and specifically focused in the disaster policies in Korea for the better disaster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