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환경

Search Result 19,431, Processing Time 0.06 seconds

Assessment of Variables for Quantile Estimation in Regional Frequency Analysis (지역빈도해석의 확률강우량 산정에 대한 지역구분인자의 영향성 평가)

  • Jung, Tae-Ho;Kim, Hanbeen;Kim, Sungh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28-428
    • /
    • 2018
  • 지역빈도해석은 대상 지점의 관측자료만을 사용하는 지점빈도해석과 달리 지역구분을 통해 정의된 동질지역 내에 포함된 모든 지점의 자료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확률수문량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지역빈도해석의 절차는 크게 지역구분인자를 이용한 동질지역구분과 홍수지수모형의 적용을 통한 확률강우량 산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구분에 사용되는 지역구분인자가 지역빈도해석의 확률강우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역구분인자와 확률강우량 산정결과와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동질지역 구분을 위해 지형적 특성과 수문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역구분인자를 선정하였으며, 군집분석을 통해 동질지역 구분을 수행하였다. 구분된 동질지역에 대해 지역성장곡선을 추정하고 홍수지수모형을 통해 지점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지역빈도해석을 통해 산정된 확률강우량의 지점빈도해석 대비 증감률과 동질지역구분에 사용된 지역구분인자와의 상관성분석을 통해 지역빈도해석의 확률강우량 산정에 영향을 주는 지역구분인자를 확인하였다.

  • PDF

Converged Association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Among Some Adolescents (일부 청소년에서 자살생각과 거주지역환경과의 융합적 관련성)

  • Shin, Seung-Ok;Park, J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6 no.6
    • /
    • pp.271-27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among some adolescents. The G city 4,509 people which is suitable for this research at was aimed against the adolescents among the survey data collected. On the area neighborhood environment recognizes was good 1,805 people, was not good was 2,704 people. Suicidal ideation was where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was bad 12.9%, good 8.8%. And in multiple logistic analysis, neighborhood environment was bad more significantly likely to be Suicidal ideation (OR=1.40, 95% CI=1.14-1.71). Therefore the residential zone environment needs to be monitored through the participation style local resident program. And it is regarded to find the plan that it lowers the suicide idea through the material and emotional converge support to the youth on the area where the residential zone environment is unable to be good in the national dimension.

A Study on Effectiveness of Air Pollution Monitoring System in Ulsan Area (울산지역의 대기환경 측정망 배치에 대한 효율성 분석)

  • 정광륜;이병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132-133
    • /
    • 2000
  • 2000년 현재 울산지역에는 대기질 상태를 측정하고 있는 11개의 일반 대기환경 측정망이 있다. 각 측정소별 특징을 살펴보면 개운동, 여천동, 화산리, 원산리 측정소는 공업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상업지역에는 성남동 및 무거동 측정소, 그리고 야음동, 상남리, 신정동, 덕신리 및 대송동 측정소는 주거지역에 위치해 있다. 울산지역에는 1978년도를 시작으로 80년대, 그리고 90년대 중반까지 주로 공업지역을 위주로 대기환경측정망을 배치시켜 왔다. (중략)

  • PDF

Investigation of Heterogeneity Measure for Nonstationary Regional Frequency Analysis (비정상성 지역빈도해석을 위한 지역구분에 따른 이질성 척도 검토)

  • Ahn, Hyunjun;Shin, Ju-Young;Jung, Tae-Ho;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40-340
    • /
    • 2018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이상기후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서 수문빈도해석분야에서는 비정상성 빈도해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자료의 비정상성을 고려하여 빈도해석을 수행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연구되어오고 있는데, 그중 시간에 따른 자료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도록 기존 모형의 매개변수에 시간을 고려할 수 있는 변수를 더하여 모형을 구축하는 기법이 비정상성 빈도해석기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비정상성 가정에 관련한 연구들은 주로 지점빈도해석 기법을 중심으로 개발되어왔을 뿐, 아직 지역빈도해석기법을 대상으로 시도된 비정상성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지역빈도해석은 수문학적 동질지역이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표본의 확장을 통해 지점빈도해석보다 비교적 안정적인 빈도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기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지역빈도해석에서 수문학적 동질지역의 구분은 지역빈도해석 절차 중 가장 중요한 절차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문학적 동질지역 구분을 위해서는 지점별로 가지고 있는 위치 정보나 수문 자료의 통계값과 같은 해당 지점을 대표할 수 있는 인자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해 경향성이 나타나는 가상의 지점 자료를 생성한 뒤, 지역구분을 통해 자료의 비정상성이 나타나는 지역의 지역구분 결과를 살펴보고 이질성 척도(heterogenity measure)를 산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비정상성 지역빈도해석에서 이질성 척도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기후변화의 영향이 나타나는 수문학적 동질 및 비 동질지역의 분석 및 비정상성 지역빈도해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Green Belt Abolition and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The Case Study of Chongju City (개발제한구역의 해제와 전략환경평가: 청주시를 사례로)

  • Lee, Jong-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2 no.3
    • /
    • pp.121-135
    • /
    • 2003
  • 1999년 7월 청주권을 비롯한 7개 지방중소도시권은 친환경적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한 후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도록 하고, 수도권을 비롯한 7개 대도시권은 보전가치가 낮은 지역을 위주로 부분적으로 해제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표고, 경사도, 농업적성도, 식물상, 임업적성도, 수질 등 6개 항목에 대한 환경평가를 통해 개발제한구역에 용도지역이 지정되었다. 청주시의 경우 환경평가와 주민의견 반영 후 도시계획재정비에 따라 용도지역이 지정되었으나, 평지나 산림생산성이 떨어지는 곳은 낮은 환경등급을 받아 개발이 가능한 용도지역이 지정됨으로써 벨트형 녹지 유지가 어려워져, 시가지 팽창, 대전과 연담화, 도시 허파기능 상실 등의 가능성이 커지게 되었다. 따라서 청주권 개발제한구역의 시가화 영향을 토지피복, 지목, 용도지역 등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고, 6개 항목에 대한 환경평가 과정상 문제점을 고찰한 후, 개발제한구역의 해제 영향을 도시성장측면과 환경용량평가를 통해 규명하고, 전략환경평가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략환경평가의 시행을 위해서는 먼저 오염총량관리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개발밀도관리구역, 수도권정비계획법에 의한 인구집중시설에 대한 개발총량규제 등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미 시행중인 개발사업 및 개발계획중인 사업에 대한 누적영향평가와 함께 해당 지역에 대한 환경용량평가가 이뤄져야 하고, 아울러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에 대한 사전환경성검토업무편람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환경평가항목에 대한 스코우핑, 환경평가 지표 개발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자발적 참여집단(critical mass)이 존재할 경우의 환경재 획득을 위한 지역간의 경쟁: 집단적 지대추구행위

  • Gang, Jae-Hyeong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4 no.2
    • /
    • pp.291-305
    • /
    • 1995
  • 본 논문은 지역간의 경쟁을 통한 환경재의 획득과정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특히 경쟁의 과정에서 자발적 참여집단 (critical mass)의 존재가 경쟁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환경재에 대한 지역간의 경쟁(지대추구경쟁)은 Katz-Nitzan-Rosenberg(1990) 모형을 기초로하여 분석하였으며 지역집단간의 경쟁에 있어서, 구성원은 비협조적 쿠르노-내쉬(Cournot-Nash) 방식에 의해서, 그 자신의 이익(지대)을 획득하기 위한 경쟁을 벌이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어떤 지역집단이 환경재 획득경쟁에서 이길 확률은 궁극적으로 그 지역에 유치될 환경재의 크기(화폐가치로 환산한)에서 받는 영향의 정도 ${\alpha}$( 단. $0{\leq}{\alpha}{\leq}1$)의 상대적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환경재획득경쟁에서 발생하는 고정비용 M의 규모가 커지면, 그것이 특정지역의 자발적 참여집단의 최소규모 상향조정을 요구하게 되어, 자발적 참여집단의 수가 경쟁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많게 된다. 특히 환경재로부터 받는 영향의 정도인 ${\alpha}$의 값이 작은 집단은 큰 집단에 비하여 항상 더 많은 자발적 참여집단의 구성원 수를 요구받게 되며, 고정비용 M의 값이 계속 커짐에 따라 이러한 최소한의 자발적 참여집단의 구성원수의 증가속도도 경쟁집단에 비하여 점점 더 커지게 된다.

  • PDF

Estimation of Short-Duration Rainfall Quantile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 using down-scaling in North Korea (하향 스케일링을 이용한 북한 지역의 단기 IDF곡선 추정)

  • Jung, Younghun;Joo, Kyungwon;Kim, Sungh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49-249
    • /
    • 2020
  • 수공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속기간에 대한 설계수문량을 추정해야 한다. 국내의 경우도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의 발생으로 1~2시간 동안 강우강도가 큰 집중호우가 발생하여 도시홍수를 발생시키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피해를 주고 있다. 특히 북한 지역은 강우관측소가 존재하지 않은 지역이 많아 수공구조물 설계에 필요한 설계수문량을 추정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향스케일링(down-scaling)을 이용하여 북한 지역의 24시간 이내의 확률강우량을 추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미계측 유역인 화천댐 상류유역의 지역빈도해석과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수문학적 동질성을 확보하였고, 한강유역을 4개의 동질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스케일 성질은 동일한 분포형을 가정하므로 수문학적 동질성이 확보된 기준 지속기간의 자료로부터 임의이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 추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북한지역의 짧은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 강우량 추정을 위하여 동일한 지역 내의 지역 스케일 지수와 스케일 인자를 이용하여 하향스케일링을 적용할 수 있으며, 단기 혹은 장기에 해당하는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추정할 수 있다.

  • PDF

Analyses of perceptions and attitude about nature conservation of residents and competent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CCZ of Gyeonggi-Do (경기도 민통선이북지역 주민과 공무원의 자연환경보전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분석)

  • Lee, Se-Ra;Maeng, Hee-Ju;Park, Eun-Ji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3 no.3
    • /
    • pp.239-249
    • /
    • 2009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residents in the Civilian Control Zone (CCZ) and the competent local government officials for nature conservation and local develop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265 residents as well as 285 government officials from Paju and Yeoncheon Municipals. Both residents and officials perceived the value of biodiversity, natural ecosystem and landscape in the CCZ and seemed to have a sense of pride regarding it. However, they conceived that nature has not been conserved properly and residents in Yeoncheon showed more concern on this matter than residents in Paju. Overall, residents were more devoted to nature conservation or perceived the importance of accordance with nature conservation in local development, which implicates the sound foundation of perception and good prospec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CCZ. Owing to the difference in situ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residents and officials. There is a possibility of conflict in Paju because residents desired more local development, whereas officials showed more purpose for nature conservation. In order to achieve simultaneously local development and nature conservation in CCZ, we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studies on living standards of local residents and scientific surveys on natural resources.

충남지역 수질관리 현황 및 대책

  • 김형철;박명술;송준상;최승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28-43
    • /
    • 2001
  • 금강권역은 국토공간상 중심이라 할 수 있는 수도권과 서남권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면서도 그 동안 국토개발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왔다. 이것은 도리어 다른 지역에 비해 양호한 환경수질을 유지할 수 있었던 요인이기도 하였지만, 최근 서해안 개발이 활발해지고 균형 있는 국토개발의 요구와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른 지역개발 및 도시화, 산업화가 가속화될 것이며 이에 따라, 환경오염이 증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금강환경관리청은 환경오염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쾌적한 환경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환경관리 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있으며, 본고에서는 지역주민의 관심도와 예산의 분배면에서 중요도가 큰 금강권역의 수질관리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 PDF

A Community-Based Approach for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Policy in Korea : Focusing on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Movement of Daepo-chon Residents)

  • Jeong, Hoi-Seong;Koh, Jae-Ky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 no.1
    • /
    • pp.47-7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의 대포천에서의 주민운동을 분석하여 지역사회가 주도하는 환경운동이 특정 조건이 충족된다면 성공적인 환경관리를 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지역사회기반 환경보호(Community-Based Environmental Protection)는 다양한 명칭으로 표현되고 있으나 지역주민의 주도 하에서 환경보호 및 개선을 이룩하는 것으로 지속가능한 사회를 달성할 수 있는 유용한 환경관리 방안으로 이론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이 방법은 정부의 강압적인 규제보다 효과적일 수 있으며 지역사회의 다양한 욕구와 환경문제를 동시에 고려하게 되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기반환경운동이 실재 전개되어 성공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그런데 낙동강 하류의 대포천 사례는 지역주민의 환경규제반대운동이 결국에는 주민의 자발적인 수질개선운동으로 발전하여 실질적인 수질개선효과를 창출하였다. 뿐만 아니라 낙동강특별법의 제정 시에 제도화되어 수질환경정책의 발전에도 기여한 특별한 사례이다. 본 연구는 대포천 사례를 우리나라 수질관리정책의 종합적인 체계와 연계시켜서 살펴보면서 대포천 인근지역주민의 수질개선운동의 단계적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이 운동이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