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특화

검색결과 448건 처리시간 0.025초

지역 문화콘텐츠의 물리적 홍보 파급효과 분석 -특화거리를 중심으로- (Analysis Ripple Effect for Physical Promotion in Connection with Local Cultural Contents: Primarily based on Specialized Streets)

  • 손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3-42
    • /
    • 2016
  • 문화콘텐츠는 지역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역사적 가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방문객을 지역으로 유입하고, 지역 상권을 활성화한다는 점에서 관심이 높다. 같은 맥락에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특화거리 조성은 시민과 소통하고 도시의 문제를 융합하는 역할을 한다. 새로운 공간 조성을 우선하기보다 지역이 가진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사업이다. 이에, 문화콘텐츠는 지역민에게 친근하고 공감할 수 있는 집약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정부와 지자체 사업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객관적으로 제시하는 노력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의 반영이 얼마만큼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콘텐츠가 적용된 특화거리는 고용유발 승수, 취업유발 승수, 수입 승수, 세수 승수 관광산업이 서비스업보다 집약적인 사업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서비스업은 생산유발승수, 소득유발승수, 부가가치유발승수, 관광산업의 전 후방 연쇄효과(영향력 계수, 감응도 계수)가 집약적인 승수로 추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콘텐츠를 접목한 특화거리 조성이 지역의 경제적 시너지효과와 관계함을 제시하는 것이다.

동서 농산물 협력체계 구축 방안

  • 이상학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2권
    • /
    • pp.1-16
    • /
    • 1998
  • 경남 및 전남지방은 산업에 있어서 농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지역이다. 두 지방의 농업의 특성은 큰 차이는 없으나, 전남 지역이 농가인구, 호당 경지면적이 넓다. 영농 형태별로는 전남 지역이 수도, 전작의 비중이 크며, 경남지역은 과수, 채소, 화훼, 축산 등 소득작목의 비중이 높다. 농업기반에 대하여 보면, 농업진흥 지역비율은 경남 53.7%, 전남 64.8%이며 수리답율은 81.9% 76.1%, 경지정리율은 76.1%, 68.4%로 경남지역이 유리한 기반을 갖고 있다. 작목별 특화도를 보면 경남 지역은 맥류, 서류, 앙파, 마늘, 감, 화훼류 등이 높으며, 전남 지역은 맥류,두류, 마늘, 양파, 감, 참깨 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내 수급현황을 보면 경남지역은 미곡, 두류, 무, 배추, 고추, 사과, 포도, 복숭아 등이 부족하며, 서류, 마늘, 양파, 배 등이 과잉이고, 전남지역은 대부분이 과잉이며 사과, 포도, 복숭아 등이 부족하다. 지역간 농업협력은 상호 과부족인 농산물의 교역이나 비교우위가 있는 작목에 특화함으로써 서로 이익을 누리는 방안과 타 지역이나 해외 진출에 있어서 공동보조를 취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 빙안으로서는 무엇보다 양 지역농업 및 농민에 대한 상호 이해가 이뤄져야 하며, 이를 전제로, 지역별 비교우위가 분명한 품목에 대하여 상호 우선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상호 교역을 지원하며, 농산물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가격파동을 예방하기 위하여 계획생산, 계획 유통이 불가피한 만큼 농협, 농민단체, 지방정부간의 농업정보의 공유와 조정 채널을 구축하고, 지역간 직거래 활성화하고 서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농산물 장터 등 장소와 기회를 제공하며, 해외수출 시장 개척을 위한 공동 노력, 농업기술의 상호 교류 등이 필요하다.

  • PDF

변이할당분석을 이용한 소재·부품·장비 산업 충청지역 경쟁력 분석 (Material·Part·Equipment Industry Chungcheong Region Competitiveness Analysis Using Shift-Share Analysis)

  • 이나영;채성욱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4호
    • /
    • pp.415-430
    • /
    • 2023
  • 소재·부품·장비 산업은 중소기업 중심의 제조업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중요한 산업이다. 충청지역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 분석을 통해 소재·부품·장비 산업 발전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 하고자 충청지역의 소재·부품·장비 산업을 대상으로 사업체 규모계수, 산업 성장률, 산업 특화도, 변이할당분석 기법의 지역 경쟁력 수치 등에 기반하여 각 권역별(대전, 세종, 충남, 충북) 산업 발전 단계 및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2014년 및 2019년의 종업원수, 사업체수 및 생산액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산업의 특화 수준과 지역 경쟁력이 고려된 유의미한 권역별 산업군을 확인하고, 이들 유의미한 산업군에 대한 산업 발전 단계상에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충청지역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선택과 집중'의 종언: 포스트클러스터 지역산업정책의 논거와 방향 (The End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Towards a New Post-Cluster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 남기범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64-781
    • /
    • 2016
  • 지난 20여 년간 지역경제성장과 산업발전을 위해서 다양한 분야에서 클러스터정책이 진행되었다. 클러스터정책은 지역의 산업진흥과 혁신역량강화에 어느 정도 기여했지만, 모든 지역에 동일한 처방의 적용, 선택과 집중이라는 특화산업 중심의 지역산업정책으로 인한 산업고착화와 지역회복력 쇠퇴, 업종중심의 산업정책의 문제 등을 노정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산업의 융합화와 이에 따른 산업공간의 변화를 고찰하고, 산업지역의 혁신과 거버넌스의 변화의 추세를 분석한다. 기존의 지역특화 산업정책의 문제를 비판하고 지역산업의 발전을 위한 포스트 클러스터정책을, 장소기반의 스마트전문화 전략과 지역의 융복합 산업정책 중심으로 전환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산업구조의 다양성이 실업과 고용불안정에 미치는 영향: 패널회귀모형을 이용한 지역경제 분석 (The Impact of Industrial Diversity to Unemployment and Employment Instability: An Analysis of Regional Economy Using Panel Regression Model)

  • 류수열;최기홍;고승환;윤성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9-146
    • /
    • 2014
  • 본 연구는 산업구조의 다양성이 실업과 고용안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지역경제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부분의 지역에서 일부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려는 산업특화정책이 해당 지역경제의 안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1993년부터 2010년까지의 우리나라의 16개 시도의 자료를 이용하여 허핀달지수를 측정하고 패널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주요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허핀달지수를 계산하여 산업구조 다양성 정도와 변화를 측정해 본 결과 대부분의 지역에서 1990년대에는 산업구조가 특화되다가 2000년대에는 다양화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패턴이 발견되었다. 둘째, 패널회귀모형의 추정 결과, 대부분 지역에서 산업구조의 다양성을 높일수록 실업률이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그렇지만 산업구조 다양성과 고용불안정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부분적으로만 확인되었다. 셋째, 대도시일수록 실업률이 높고 고용이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러한 관계가 매우 유의하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취업자수증가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고용불안정지수는 낮고, 경제활동인구 중 여성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고용불안정지수는 낮으며, 취업자 중 대학 졸업자 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실업률이 높지만 고용불안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실증분석을 고려해보면, 지역전략 산업육성정책과 같은 산업특화정책은 정책의도와는 달리 지역경제 전반의 실업률을 상승시켜서 경제 불안정성을 증대시킬 가능성이 있다. 고용 측면의 관점에서 본다면 산업구조를 특화시키는 것보다 다양성을 높이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 PDF

고위험 노인돌봄과 정신건강 개입의 만남: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내 「특화서비스」 (Integration of care services and mental health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 at high risk: the Specialized Service in the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 김유진
    • 한국노년학
    • /
    • 제40권4호
    • /
    • pp.577-598
    • /
    • 2020
  • 돌봄의 사회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사회적 고립과 우울 등이 심한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 차원의 정신건강 개입의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2020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개편에 맞추어, 2014~19년 시범사업으로 진행하였던 '독거노인 사회관계 활성화사업'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내 별도의 특화 사업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고위험 노인 대상 정신건강 지원 및 사례관리 서비스를제공하는 것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특화서비스」는 노인돌봄과 정신건강 서비스가 만난 고위험 노인돌봄의 새로운 실천모델이라고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특화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것의 개념적 틀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국내·외 관련 문헌, 그리고 「특화서비스」의 전신인 '독거노인 사회관계 활성화 시범사업'에 대한 분석을 포함한 「특화서비스」 제도화 과정 고찰을 통해 「특화서비스」의 특성 및 개입의 구조와 내용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도 초반 현장에서 발생하는 몇 가지 상황을 중심으로 향후 「특화서비스」가 의도한 대로 잘 진행되기 위해 고려할 것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화지역 분석을 통한 권역별 특화사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축산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ivate of Regional Specialized Policy through Suitable Cultivation Area Analysis - Focusing on Stockbreeding Items -)

  • 유병욱;이성우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3호
    • /
    • pp.333-34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ume suitable cultivation areas by items and expectably suitable cultivation areas through coefficient of specialization and spatial concentration analysis, and suggested regional specialized items discovered by this research and regional specialized business management plans & development directions. This study has monitored changing aspects of spatial distribution of suitable cultivation areas in stockbreeding items from 2000 to 2010 by applying methods of location quotient(LQ), a multiple model, and etc, and predicted changing aspects of suitable cultivation areas from 2015 to 2020. As the result of analysis, I found that there were specialized items which were spatially concentrated and that there were hot-spots which were focused on some areas by items. Additionally, there were suitable cultivation areas which remained stable or changed by them. To discover specialized items and to develop businesses, I hav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nsure business project's feasibility including the present conditions, circumstances & potential of specialized items, and etc., and to secure business competitiveness including technology exchange, production cost curtailment, business management based on consumer's needs and building systematic data about achievement and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