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지진

Search Result 76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Earthquake and Tsunami Shelters Designation and Improvement of Management Guidelines (지진·지진해일 대피장소 지정 및 관리지침 개선방안 연구)

  • Kim, Da-Hee;Yoon, Hong-Sic;Noh, Bok-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09-110
    • /
    • 2022
  • 본 논문은 현 지진·지진해일 대피장소를 지정하는 기준과 관리하는 방안을 해외 사례와 선행연구를 통해 개선안을 제시한다. 국내의 대피장소도 각 지역의 인구 분포나 유동인구, 지형, 대피 시설 등의 지역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재난피해경감을 위해 대피시간 내의 긴급대피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대피 인원을 산정하여 적정 수용인원의 기준을 산정한다. 지정기준의 근거 제시를 위해 지역별로 대피장소의 수용률을 비교·분석하여 대피장소의 지정요인에 지역특성이 고려되야 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를 실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개선안을 제시하여 지자체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효과적인 대피방안에 활용가능하도록 하고, 이와 관련한 운영지침 연구도 요구된다.

  • PDF

중약진 지역에서 지진격리장치를 사용한 교량의 내진 보강

  • 김용길;권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06a
    • /
    • pp.223-228
    • /
    • 2000
  • 지진격리교량은 강진지역의 지반운동과 구조물의 거동에 근거한 내진설계 개념을 바탕으로 설계되었다. 그러나 지반운동의 특성과 구조물의 거동에 있어서 한반도와 같은 중약진 지역과 지각변동운동이 활발한 강진지역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중약진 지역의 내진설계에서는 지반운동의 특성이 반영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지진격리교량의 경우에는 교각의 연성 등 중약진 지역의 구조물의 거동특성이 반영되어야 한다. (중략)

  • PDF

Relative relocation of Tadzhi kistan-Sin kiang events (타치키스탄 - 신강 지역 지진의 진앙에 대한 상대적 위치 결정)

  • 신진수;박창업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 no.2
    • /
    • pp.166-172
    • /
    • 1992
  • Sixty Tadzhikistan-Sinkiang events occurred from the year 1966 to 1978 were relocated using relative location method with one reference event technique. Since the area covered by the events is about $300{\;}{\times}400{\;}km$, the region is subdivided into four. Each one has one reference event with accurate hypocenter location and travel time. The result shows average 0.3 change of distance.

  • PDF

Characteristics of Tsunamis and Mitigation Planning (지진해일의 특성 및 방재대책)

  • Cho, Yong-Sik;Ha, Tae-Mi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3 no.3
    • /
    • pp.295-300
    • /
    • 2010
  • Recently, many tsunamis triggered by impulsive undersea ground motions occurred in subduction zones around the Pacific Ocean area including the East Sea surrounded by Korea, Japan and Russia. The wave height of a tsunami may be in the order of several meters, while the wavelength can be up to 1,000 km in the ocean, where the average water depth is about 4 km. A tsunami could cause a severe coastal flooding and property damage not only at neighboring countries but also at distant countries. A fundamental and economic way to mitigate unusual tsunami attacks is to construct tsunami hazard maps along coastal areas vulnerable to tsunami flooding. These map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historical tsunami events and projected scenarios. The map could be used to make evacuation plans in the event of a real tsunami assault.

Development of Attenuation Equations of ground Motion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남부 지역의 지진동 감쇄식 개발)

  • 노명현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3 no.1
    • /
    • pp.21-28
    • /
    • 1999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ttenuation equations of the ground motion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earthquake source characteristics and the medium properties were estimated from available instrumental earthquake records and used as input parameters. The peak ground accelerations(PGA) and pseudo-velocity response spectra(PSV) were simulated by the random vibration theory. The attenuation equations for the PGA and PSV were constructed in terms of local magnitudes and hypocentral distances.

  • PDF

Attenuation and Source parameters of Earthquake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동남부의 지진파 감쇠와 지진원 요소)

  • 박동희;이정모;김성균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4 no.3
    • /
    • pp.99-105
    • /
    • 2000
  • 한반도 동남부 지역에서 발생하고 관찰된 약진 또는 중진의 자료를 이영하여 이 지역의 Q값과 지진원의 특성인 모서리 주파수 (fc), 응력강하량(Δ$\delta$) 및 모멘크규모 (Mw)를 산정하였다. 가속도 스펙트럼의 경사와 관련된 x의 통계학적 분포로부터 추정한 Q의 95% 신뢰범위는 1656~2454 이다. 1998년 1월 18일 울산 앞바다 지진과 1997년 6월 26일 경주지진의 지진원 요소를 구한 결과 fc 는 각각 4.22Hz , 2.94Hz, Δ$\delta$는 각각 106.8 bar, 106.2 bar, Mw는 각각 3.9, 4.0으로 추정되었다. 제한된 자료수로 인하여 이들의 통계학적 성질을 충분히 규명하지는 못하였지만 다른 연구자들의 기존결과와 유사한 값을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강진동 모사에 직접 이용이 가능하며, 이 지역에 위치한 원자력 발전소 내진 안전성 검토에도 이용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Maximum Tsunami Heights on Uljin Nuclear Power Plant with Epicenters (발생위치별 울진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최대 지진해일고 분석)

  • Byung-Ho Kim;Yong-Gook Lee;Yong-Sik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5-505
    • /
    • 2023
  • 지진해일의 발생빈도는 태풍이나 홍수 등의 자연재해와 비교하여 발생빈도가 낮지만 발생 시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우리나라 동해안은 일본 서해안에서 발생된 지진해일에 취약하며 특히 강원도 삼척시와 경상북도 울진군 부근은 일본 서해안에서 발생된 지진해일 에너지가 집중되는 위험지역으로 기존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동해를 따라 먼 거리를 전파해오는 지진해일 파의 전파양상은 해저수심의 영향을 받아 변화될 뿐만 아니라 진원지의 발생위치와 각 매개변수의 특성에 따라 대상지역에서의 영향도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서해안에서 과거 발생한 지진원(4건) 및 향후 발생 가능한 가상지진원(71건)을 대상 시나리오로 선정하였으며, 가상지진원자료는 한반도 에너지개발 기구(11건) 및 일본토목학회(60건)에서 제시한 총 71건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동해안 해저수심 영향에 의한 지진해일 파 집중도를 확인할 수 있는 파향선추적 기법 수행을 통해 75건 중 집중도가 높은 41건의 지진원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진원은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로직트리기법을 적용하여 총 1,107건으로 생성되었으며, 이에 대해 지진해일 수치해석이 수행되어졌다. 최대 지진해일고 비교 결과, 특정 발생위치에서의 지진원은 타 지진원보다 지진강도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울진 원자력발전소에서 최대 지진해일고 결과는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Damaging Earthquakes Occurr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for the Last Two Thousand Years (과거 2000년간 서울 및 수도권에서 발생한 피해 지진의 특성)

  • Kyung, Jai Bo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3 no.7
    • /
    • pp.637-644
    • /
    • 2012
  •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densely populated with 40 percent of Korean people and quite weak to the seismic haza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historical documents, the largest earthquake occurred in this area is MMI VIII-IX acompanying with a large shaking, collapse of stone walls, collapse of houses, and many casualties. Two times of damaging earthquakes occurred in the first century (A.D. 27, 89), and there was a long quiet period of about 1430 years. Another big earthquakes re-occurred three times in the 16-17 century (1518, 1613, 1692) and then a quiet period has continued to the present time. Just after Seoul earthquake in 1518, aftershocks occurred almost 19 days consecutively and many triggered earthquakes occurred not only in Seoul metropolitan area but also in Hwanghae province, northern Korea. It indicates that the largest potential earthquake in and around Seoul is MMI VIII-IX with a long occurrence period of about 1400-1500 years.

A Preliminary Study of Seismic Risk in Pyongyang, North Korea (북한 평양의 지진위험도 분석 선행연구)

  • Kang, Su Young;Kim, Kwang-Hee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4
    • /
    • pp.325-334
    • /
    • 2016
  • Both 1900 years of historic literature and recent instrumental seismic records indicate the Korean Peninsula has repeatedly experienced small and large earthquakes. This study has used historical and instrumental records of Korea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arthquakes in the peninsula. Results of GIS spatial analyses indicate Pyongyang, the capital of North Korea, is more vulnerable to the earthquake hazard than that of other regions in the Korean Peninsula. It is also noted that Pyongyang is exposed to high risks of other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because of the high population density and concentrated infra structures. Scenario shake map drawn up assuming a magnitude 6.7 earthquake, which was experienced in A.D. 502 in the area, indicates that 51.1% of the city are exposed to PGA 0.24 g or higher. Recent statistics by the Statistics Korea also indicates the North Korea is far more vulnerable to disasters than those in the South Korea. Results of the preliminary study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earthquake hazard estimation in Korea including the North Korea.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Vicinity (한반도와 그 인접지역의 지진활동(地震活動))

  • Kim, So Gu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13 no.1
    • /
    • pp.51-63
    • /
    • 1980
  • The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vicinity is investigated temporally (2 A. D. to 1978) and spatially to evaluate the seismic risk and to understand the neotectonics around the peninsula.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using macrocosmic data obtained from historical literature, and instrumental records recorded by the Worldwide Network of Standardized Seismographs(WWNSS). The seismicity of the peninsula was active from the 13th through the 17th centuries. A seismic quiescence began at the onset of the 18th century, and has continued for the last 200 years. Presently, the seismicity region is found to be active again. The return periods are determined by a statistical method based upon the cumulative magnitude recurrence. They indicate that the seismic risk is greater in the south or west than in the north or east of the peninsula. Focal mechanism solutions demonstrate that the neotectonic stress distribution in the Japan Sea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subduction of the Pacific Plate under the Eurasian Plate or the Philippine Sea Plate, even though the predominate local paleotectonics is controlled by the spreading of the earth's cru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