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적 특성(생태)

Search Result 1,17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Evaluation of Water Quality Management of Estuarine Reservoir Based on Resilience Analysis Framework (회복탄력성 프레임워크 기반 담수호 수질 개선 방안 평가)

  • Hwang, Soonho;Jun, Sang Min;Kim, Seok Hyeon;Lee, Hyunji;Kwak, Jihye;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8-348
    • /
    • 2020
  • 우리나라 하구에 조성된 담수호의 수자원은 다양한 용수 목적에 맞게 활용하고 있으며, 수질 기준에 부합하는 용수를 공급하고 담수호 및 간척지의 친환경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담수호의 상류 유역 및 유입 오염물질, 그리고 담수호 수체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수질 오염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담수호 개선을 위한 방안의 선정 방식은 연평균 수질 농도를 기준으로 목표하고자 하는 수질 기준의 만족 여부에 대한 평가와 경제적 평가를 함께 고려하여 최적의사결정 기반으로 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기존의 평가 방법에서는 목표 수질의 만족 여부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담수호 수자원의 시기별 활용성에 대한 고려를 간과하기 쉽다. 또한 담수호 수자원 시스템의 수질 악화에 대한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일은 단순히 유역관리대책의 적용에 따른 수질 개선 문제와는 별도로 담수호 수자원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과 연관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평가 방식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담수호 수자원 관리 방안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활용하였으며, 각 방안에 대한 시간적 변화에 따른 담수호의 회복탄력성 특징을 고려하기 위하여 동적 회복탄력성 개념 및 평가 방법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기존의 수질 평가 방법에 따라 간월호를 대상으로 수질 개선 방안별 수질 변화를 SWAT-EFDC 연계모형을 통해 모의하고, 연평균 수질 농도와 총인 삭감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간월호의 지형학적 특성에 따라 간월호 상류 구간의 수질 농도가 다른 구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상류 구역의 경우 준설 시나리오만으로는 목표 수질을 달성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류 구역의 수질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준설 시나리오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상류 유역 출구부에 위치한 하수처리시설의 총인 배출부하량을 삭감과 추가적인 유역 수질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Huron-Clinton Metropark System in the United States (미국 Huron-Clinton 대도시 공원체계외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현중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9 no.4
    • /
    • pp.12-28
    • /
    • 1992
  • 본 연구는 미국의 Huron-Clinton 대구시의 공원체계의 공간적 특 성의 구명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인자들을 분석한다. 첫째 13개의 지역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Huron-Clinton 대구시 공원체계 의 전체의 구성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공원체계의 입지의 지역공간 적, 생태적 인자를 분석한다. 둘째, 공원체계를 구성하는 각 공원의 개별적 특성을 알아내기 위해 각 공원내의 시설의 유형, 크기, 다양성을 분석한다. 셋째, 본 연구대상지역의 인구의 특성을 분석한다. 넷째, 인구의 특성과 공 원체계의 공간적 특성을 상호대조 함으로써 그 지역의 인구와 공원체계간 의 관계를 분석한다. 분석결과를 25인 조경전문가를 통해 평가함으로써 향 후 대도시 공원체계의 계획과 개발이 지향해야 할 방향의 설정과 구성의 합리적 지표를 설정한다.

  • PDF

The Reclamation of Tidal Land and the Making-Group of Landscape in Naepo Area, Korea" - Centering around the Garorim Bay from the $19^{th}C$ to 1960s - (내포지역 해만개척의 전개와 경관변화의 사회적 주체 -조선후기~1960년대 가로림만 일대를 중심으로 -)

  • 전종한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2
    • /
    • pp.206-223
    • /
    • 2003
  • Bays and caps represen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Naepo area in Korea. And reclamation of tidal land presents a clue toward the understanding of regional identities and landscape changes in this area. Reclamation of tidal land in the Garorim bay that is representative of the physical geographies of Naepo area had trended toward 'the diffusion of salt ponds' during Joseon dynasty. Hereafter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reclamation had tumed to 'the reclamation of arable lands' by drainage. But, at the same time the land use of salt pond that had been the most appropriate strategy of adaptation for the ecological environments of this area has showed a sort of the geographical long-term durability. And the great landlords that had emerged during Japanese imperialism were the Yeom-han(鹽漢, laborers who engaged in salt production) in former times. They as a new local elites hav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reclamation of tidal land and the making of regional landscape.

Tourist Behaviour of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A Case of the Butterfly Festival 2002 (함평나비축제 관광객의 행태적 특성: 제4회 축제를 사례로)

  • 이정록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2
    • /
    • pp.339-353
    • /
    • 2003
  • In recent, events tourism of community festival is a particular form of tourism which has experienced considerable growth in Korea, and is become the important strategy for tourist inducement and re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y. Many events of community festival were mainly established since 1995, and most of local government such as city and county adopted the event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Among these community festival,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of Hampyeong-gun of Jeollanamdo, is recognized as one of famous events all over the country. In particular,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to be held since 1999, attracts over 1 million tourists annually, and provides a lot of opportunities educational shows and exhibitions, including ecology experiences and learning sites, as well as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learning sites, folklore customs,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play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tourist behaviour of Butterfly Festival 2002. Most tourist have positive attitude and evaluation about festival, in particular, tourists present show high satisfaction with many programs of festival. However,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festival, Hampyeong-gun have to concern with some improvements such as the expansion of tourists' facilities, active publicity activities, and matketing of special products of Hampyeong-gun.

  • PDF

Normalized Ecosystem Drought Index considering Water Availability (수자원 이용 가능성을 고려한 정규화 된 생태계 가뭄 지수)

  • Lim, Jong Hun;Oh, eung Hyun;Kim, Jungwook;Chae, Myung-Byung;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4-364
    • /
    • 2018
  • 가뭄은 세계적으로 농업, 경제, 사회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가장 파괴적인 자연 재해 중 하나이다.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기온이 상승하고 증발산량의 증가와 강수량의 변화로 가뭄의 빈도와 정도가 더욱 심각하고 발생지역이 널리 확산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가뭄지역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가뭄지수가 개발되어 가뭄의 심도를 정량화 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가뭄지수의 대부분은 생태계 반응보다는 환경적 조건에서 파생 된 가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규화 된 생태계 가뭄 지수 (NEDI)라는 새로운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새로운 가뭄지수인 NEDI를 사용하여 기존에 사용되던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와 비교하며 기후변화로 인하여 미래에 나타날 수 있는 가뭄의 통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NEDI에서 채택 된 정규화 기능은 다른 지역, 계절 및 식생 유형에 따라 가뭄 심각성을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새로운 가뭄 지수는 관개 및 물 분배 관리 관행에 유용한 도구를 제공하여 가뭄 상황이 만연해지면서 수자원 보존 노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Wise Use and the Management of Intertidal Environment - With Focus on Kanghwa island mudflat by satellite image interpretation and sediment analysis - (조간대 지역의 올바른 관리 및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Eui-Joon;Seo, Jo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7 no.2
    • /
    • pp.82-9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ise use and the management of intertidal environment. For tills purpose, we selected the Kanghwa island mudflat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tertidal region in Korea peninsula. The main research method is surface sediment and several map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tudy area is worldwide coastal wetland in view of ecology and geomorphology. But most of the salt marsh has been reclaimed sinc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udy area is mainly composed of mudflat. (2) The mean tidal regime of study area is 7.3m. From this tidal regime, the study area is subdivided into four distinct areas: the high intertidal area the middle intertidal area the low intertidal area and the shallow sea area terrestrial area near mudflat. (3) The mean particle size of surface sediment is sand 41.5%, silt 47.3%, clay 11.2%. This particle size pattern indicates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 of the study area. The proportion of clay is increasing to the open sea. (5) The pursuit of the wise use and the management must be implemented by the consideration of not only ecologic and sedimentary characteristics but also of the eco-tour site plan. And the entire use and management subject is different in each area.

  • PDF

Studies on the Management Plan in Urban Ecological Protected Area of Seoul - A Case Study of the Baeksil Valley Ecological Scenery and Conservation Area - (서울 도시생태 보호지역 관리계획 연구 - 백사실계곡 생태·경관보전지역을 대상으로 -)

  • Park, Seok-Cheol;Han, Bong-Ho;Kwak, Jeong-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6
    • /
    • pp.109-126
    • /
    • 2015
  • This study is for constructing detailed data to secure biological diversity and maintain a healthy ecosystem in Backsasil Valley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and for preparing an ecological management plan fit for the protected area. The period for this study was from April 2010 to May 2013. Recently, the increase of visitors to Baeksasil Valley, as well as the plantation and dissemination of introduced vegetable species, become factors accelerating ecological disturbance. Major research contents included the reviews of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protected areas, the necessity of ecological management at the basin level, establishing the system of a management plan, research and analysis of environment ecology, analysis of threatening factors, goal-setting, management strategies, and a plan through SWOT analysis. Survey items were the natural environment, major components of ecosystem, and human-use. The goals of ecological management were basin zone management for amphibian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forest vegetation for conservation habitat of Dryocopus martius, conservation habitat of Zelkova serrta for nature landscape, and management of users for environment protection. The conservation management plan at a basin zone level contains the management of point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 the upstream, securing growing conditions for native plants, securing safe habitats for amphibians, and securing of habitats for major wild birds. Also, restoration of natural forests, management of native plants and introduced vegetable species, and restoration of degraded forest paths are suggested for the restoration plans.

Watershed water circulation assessment using PSR framework (PSR framework를 이용한 유역 물순환 평가)

  • Kim, Seokhyeon;Kim, Sinae;Kim, Kyeung;Hwang, Soonho;Kim, Hakkwan;Kang, Moo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62-462
    • /
    • 2021
  • 최근 도시화 및 불투수면의 증가와 지하수의 과다한 사용으로 직접유출이 증가하고, 침투량이 감소하며, 하천의 건천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환경부에서는 이러한 물순환의 왜곡을 막기위해 물환경보전법상의 물순환율을 정의하고 물순환 관리목표를 설정하였다. 하지만 지역 별 물순환 특성을 반영한 관리계획이 부족하고, 현재 제한된 재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서는 물순환 관리지역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SR framework를 통해 유역 물순환 평가방법론을 만들고 이를 활용한 지역별 관리계획 및 우선순위를 결정하고자하였다. PSR framework는 지속가능성을 위해 OECD가 개발한 개념 모형이며, Pressure, State, Response 세 가지 요소로 구분해 평가하게된다. PSR framework의 기본 개념은 인간의 활동들이 환경에 압력 (P)를 주고, 이로 인해 자연의 질과 영향 (S)을 미치며, 이에대한 회복을 위해 인식과 행동을 통해 정책과 제도 등을 통해 반응 (R)한다는 것이다. 유역 물순환을 4가지 그룹 (기후, 수문학적, 사회경제학적, 환경적)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 별 평가요소에 대하여 도출하였다. 기후그룹은 강우, 수문학적 그룹은 증발산, 토지이용, 유출특성을, 사회경제학적 그룹은 재정, 사회구조, 기반시설, 정책을, 환경적 그룹은 수질, 수생태계를 선정하였다. 이후 각 요소 별 평가를 위해 다양한 지표를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각 지표를 PSR framework에 맞춰 재분류하였다. 각 지표를 하나의 점수로 통합하기 위해 지표 별 가중치를 산정하였으며, 이때 연구자의 주관이 반영되지않는 엔트로피 기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구한 식을 통해 우리나라 소유역구분을 기준으로 모든 지표를 계산하였으며, 각 지표에 가중치를 적용해 유역 종합점수를 산정하고 유역 별 취약지역 및 취약요소를 평가하였다.

  • PDF

Ecological Connectivity and Network Analysis of the Urban Center in a Metropolitan City (대도시 도심의 생태적 연결성 및 연결망 분석)

  • Jaegyu Cha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2 no.6
    • /
    • pp.503-515
    • /
    • 2023
  • The disconnection and fragmentation of ecological spaces that occur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pose a significant threat to biodiversity. Urban center areas with high development pressure ar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low connectivity due to a scarcity of ecological space. This issue tends to be more pronounced in larger cities.To address this challenge,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assess and improve the current state of ecological space connectivity at the level of individual projects and urban management. However,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regarding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ecological connectivity in metropolitan cities In line with this objective, this study evaluated the connectivity of ecological spaces in the city centers of Seoul, Busan, Daegu, Incheon, Gwangju, Daejeon, and Ulsan. The evaluation revealed that city centers exhibited lower connectivity of ecological spaces compared to their peripheries or the overall city. In addition, in the ecological network analysis that reflected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 conducted on Daejeon, 510 optimal paths connecting forests of more than 1ha were derive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n example of deriving an ecological network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quantitative figures necessary for establishing goals to improve urban ecological connectivity and biodiversity.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sults can be utilized to propose directions for enhancing ecological connectivity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or urban management and to establish an evaluation frame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