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자연재해

Search Result 578,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원전에서의 동시 다수 지역 화재 발생 리스크 검토

  • O, Hae-Cheol;Kim, Hyeong-Taek;Ji, Mun-Hak;Sin,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48-49
    • /
    • 2013
  •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극한자연재해 및 광역재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원전화재 리스크 평가시 단일지역 화재를 가정하여 평가해온 관례와 다르게 동시에 원전 다수 지역에서 발생한 사례 및 사고결말에 대하여 검토한 후 다수 지역 화재를 고려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Data Platform for Sharing Disaster Data (재난재해 데이터 공유를 위한 도시재생 데이터 플랫폼 개발)

  • Shin, Yonghyeon;Lee, Sangmin;Yang, D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80-48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지역의 재난재해 위험성 및 회복성 분석과 현황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성 증대를 목적으로 데이터를 등록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공유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도시재생 데이터 플랫폼은 재난재해, 지역현황, 문서 항목으로 구분하여 도시재생 정보를 서비스한다. 재난재해 항목은 폭우, 폭설, 폭염, 강풍, 지진 5개 자연재해 유형과 이로 인해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붕괴, 폭발 사회재난 3개 유형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총8 종류의 재난재해 유형에 대한 위험성과 회복성 분석 DB를 제공한다. 지역현황 정보에서는 유휴공간 및 지역자산정보 등 도시재생 현황분석에 필요한 행정(통계)데이터, 시설물정보 등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되는 논문 및 보고서 등을 문서 항목에서 서비스한다. 데이터셋 등록 시, 시스템에 설정된 재난재해 유형, 시설물 등을 선택해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이력관리를 목적으로 데이터명과 생산년월 등에 대한 필수항목을 입력해야만 등록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GIS 기반 공간자료 등록 시에는 가시화 서비스를 위하여 공간자료의 포맷과 좌표체계, 생산년월, 생산기관 등을 필수 입력하도록 하였으며, GIS tool을 활용한 자료 분석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다. 쇠퇴지역의 재난재해 대비/대응을 위한 도시재생 데이터 플랫폼은 금년 시범운영 후, 차년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능을 탑재해 계정 권한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도시재생 업무를 수행하는 모든 사용자가 재난재해 정보를 비롯한 도시재생 관련 정보를 수집·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공유의 장을 구현함으로써 도시재생지역의 효과적인 재난재해 대비/대응 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regionalization for estimation of runoff in typhoon of guem river (태풍 발생 시 금강 유역의 유출량 산정을 위한 지역화 연구)

  • Chang, Hyung Joon;Lee, Hyo Sang;Ryou, Kuk Hyun;Lee, Ho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12-312
    • /
    • 2021
  • 최근 이상기후의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집중호우, 가뭄, 태풍 등 자연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 중 태풍 등의 극한 홍수 사상의 발생으로 인하여 재산 및 인명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한 하천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수문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유출량 산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 유역에서 발생한 주요 태풍 사상을 바탕으로 지역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강우-유출 해석을 위하여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인 PDM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유역면적, 수계밀도 등 7개의 유역 특성인자를 활용하여 Monte-Carlo 방법을 이용하여 모형의 최적화 매개변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최적화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PDM 모형의 매개변수별 지역화 모형을 구축하였다. 금강 유역을 대상으로 지역화 모형을 적용한 결과 NSE 목적함수 값이 0.70 이상인 우수한 결과를 확인하여 개발된 지역화 모형이 태풍 사상의 유출특성과 금강 유역의 유역특성을 우수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미계측 유역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지역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On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Regeneration Projects for the Zones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s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효율적인 추진방안 연구)

  • Kim, Seonguen;Cho, Woncheol;Lee, Taeshik;Shim, Jae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cietal Security
    • /
    • v.1 no.1
    • /
    • pp.45-5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effective ways to implement the regeneration projects for the zones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s which have been delayed due to shortage of the financial resources, and thereby complete the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as early as possible and thus secure the financial resources for the projects continuousl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the statutory grounds and designation procedures or the zones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s, and thereupon, examined and analyzed the regeneration projects being implemented in Gyeonggi-do in view of contents by zone, history of damages, annual investment plans and financial resources for investments. In addition,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riteria for reserve of the disaster management fund and its uses and investigated the fund sources and expenditures and thereby, addressed the problems of the statutory reserve and suggested their solutions. All in all,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the disaster management fund should be invested in regeneration projects for the zones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s in order to remove the disaster risks earlier and that the uses of the fund should be adequately deregulated with a reserve fund ceiling system to secure the financial resources for the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continuously.

  • PDF

Value of the SMILEs for research on water-related compound hazards under climate change impact (기후변화 및 물 관련 복합재해 연구를 위한 SMILE 활용의 가치)

  • Wooyoung, N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48-348
    • /
    • 2023
  • 최근 전세계 곳곳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물 관련 복합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일례로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은 2014년부터 2017년까지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다가 대기강(atmospheric river)의 영향으로 인하여 대규모의 홍수가 잇달아 발생하였다. 유럽에서는 2021년 전례 없는 홍수 직후 500년 빈도의 가뭄이 발생하면서 심각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짧은 시간 동안 양극단의수재해가 연속적으로 발생하거나, 가뭄과 폭염, 홍수와 산사태의 결합, 또는 동시에 여러 지역에서 홍수나 가뭄이 발생하는 현상 등도 복합재해에 해당한다. 즉, 복합재해는 서로 다른 특성의 독립적인 수재해가 결합되어 나타나는 재해의 한 형태로써, 발생 빈도는 적으나 유발되는 피해는 매우 크다. 더욱이 복합재해는 미래에 더욱 빈번하게, 극심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Single Model Initial-condition Large Ensemble (SMILE)은 복합재해의 분석에 적합한 자료로 최근 활용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기후변화 관련 연구는 여러 기후모델에서 생산한 단일 모의자료를 앙상블의 형태로 이용하여 기후요소 및 기후재해의 미래 전망이나 거동을 분석하는 과정에 기반해왔다. 이 기후모델 앙상블은 모델 간 불확실성은 고려할 수 있으나 기온 상승 시나리오의 불확실성 및 기후 시스템 내부의 변동성은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미국의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에서는 자연 자체의 변동에 의한 불확실성을 모의할 수 있는 SMILE을 개발하였다. SMILE은 단일 기후모델에서 N개의 다중 모의자료 앙상블을 출력한다. 기존의 기후모델과 유사한 과정으로 모의를 수행하되, 미세한 섭동을 부여함으로써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기후시스템 내부의 변동성을 고려한다. 이러한 실험 설정은 카오스 이론에 근거한다. 여러 기후모델에 대해 SMILE 기반 모의를 수행하면 앙상블의 앙상블 개념(large ensemble)이므로 방대한 양의 기후모의 자료가 확보되어 다양한 목적의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SMILE은 기존의 다중 기후모델 앙상블이 고려할 수 없었던 종류의 불확실성을 추가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인간의 활동과 자연적 변동성이 복합재해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한다. 복합재해 연구에 필수적인 표본 수 부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기후변화 및 수자원 관련 연구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미래 기후를 모의하기 때문에 복합재해 발생의 특성 및 거동을 전망할 수 있고, 충분한 수의 표본은 통계분석 결과에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SMILE의 장점은 향후 더욱 다양한 연구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 PDF

태풍 루사에 의해 발생한 사면재해의 특성

  • 장현식;박혁진;장범수;송윤섭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76-279
    • /
    • 2003
  • 우리나라의 사면관련 붕괴 사고는 주로 해빙기와 7~9월 사이의 태풍 및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시기에 집중된다. 방재연구소의 자료에 의하면 사면과 관련된 재해, 즉 축대, 옹벽, 절토사면의 붕괴 및 자연사면에서의 산사태에 의하여 매년 평균 23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며 이는 전체 재해로 인한 연 평균 사망자(109명)의 2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2002년 8월 4일에서 11일 사이의 경기, 강원, 영남 지역의 집중호우로 인해 실종 1명을 포함하여 16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하였으며 그 중 사면재해 관련 피해자는 12명이었다. (중략)

  • PDF

Study for Bio-Adhoc Networks for Disaster Emergency Management (재해 관리를 위한 바이오 Ad-hoc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Aum, Jae-Do;Lee, Goo-Yeon;Lee, D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439-441
    • /
    • 2005
  • 지리학적으로 고립된 지역에서 발생하는 산불과 같은 자연재해는 네트워크 설치의 어려움으로 외부에 빠르게 알려지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infestation 모델을 응용하여 기존 네트워크에서 단절된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연재해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bio-ad hoc 모델을 설계하고자 한다. Infestation이란 기존 네트워크 infrastructure와 연결된 정보기지로서, 각 노드가 좁은 대신 빠른 대역폭을 가지는 infostation의 통신가능 반경에 인접했을 때 고속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설계한 통신 모델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에게 이식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고, 각 동물들에게 무선 태그를 설치하여 그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목적지까지 전송수 있는 모델을 설계하기 위하여 infestation에 도달하기 전의 데이터가 각 노드사이에서 서로 공유될 수 있는 sparse ad-hoc infostation model을 제안하였다. 이 모델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동물의 최대 속도를 이용하여 동물의 이동성 및 체류시간을 결정한 후에 동물의 수 및 infostation의 수에 따른 도달시간을 시뮬레이션하였다.

  • PDF

Construction of Multi-purpose Hazard Information Map Based on Digital Image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지형공간정보를 활용한 수치영상기반의 다목적 재해정보지도 구축)

  • Yun, Hee-Cheon;Min, Kwan-Sik;Kim, Min-Gy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3 no.3
    • /
    • pp.91-101
    • /
    • 2010
  • As global warming has caused the number of abnormal changes in climate to increase throughout the world, much damage has occurred recently in Korean Peninsula which results from unexpected heavy rains, landslides, and floods from typhoons. To prevent and cope with these annually repeated natural hazards, the overall improvements are needed, including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existing natural hazard information and improvement of hazard information. In this study, multi-purpose hazard information map based on digital image was constructed as an effective way to enhance hazard management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hazard response capabilities in the field. Multi-purpose hazard information map with a new concept by fus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and hazard attribute information is able to support quick decision for hazard management making and development of hazard information system.

Improvement of Regulations for Effective UAV operation in Disaster Detection (효율적인 재해탐지용 UAV 운용을 위한 현행 규정 개선방안)

  • Kim, Jong-Bai;Kim, Min-Gyu;Yun, Hee-Ch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9 no.5
    • /
    • pp.509-517
    • /
    • 2011
  • Recently, large scale of the damage from the natural disasters are occurring frequently such as Japanese and New Zealand's earthquake. Collecting information quickly and accurately from damaged area is important for effective react in emergency situations. UAV is effective method to collect information because it can fly low attitude and spend small operational costs/time. In this study, collecting data about the UAV regulations are analyzed for effective UAV operation in disaster detection. And Improvement of Regulations were proposed about Problem of UAV Operation. Regulation of UAV for disaster detecting is not exist. But It's possible to classify into Ultra Light Plane. So addition of some clauses like definition, scope and air-borne equipment for UAV will be needed. Also, it is difficult to manage effectively because of process about flight permission, therefore it is need to enact exceptional regulations to solve this problem. More analytical research based on applications of UAV operation for disaster detection will be present improvement of disaster detection and damage investigation.

A Study on Environmental Damage due to Typhoons in Downstream Area of Abandoned Mine (태풍으로 인한 폐광산 하류 지역에서 환경피해 연구)

  • Cho, SungHyen;Lee, Dongguen;Lee, Goontaek;Kwon, Ohkyung;Kim, Tae Se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3 no.1
    • /
    • pp.119-127
    • /
    • 2022
  • In recent years, the intensity of typhoons has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It is presumed that the tailings and waste rock in the mining area harm the environment owing to flood damage. The Gangneung area has been affected by the largest typhoons in Korea, including No. 3,693 (1936), Rusa (2002), Maemi (2003), and Megi (2004). This study was based on a case in which high concentrations of arsenic were detected in the surroundings along a stream after floods caused by typhoons. Although the environmental damage-related law clarifies the responsibility of polluters, careful implementation is required in potential natural disaster areas. The pollutants from abandoned mines can be widely exposed due to typhoons as artificial causes may be mixed. To minimize the impact of natural disasters in these areas,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link relevant law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cope with mixed pollutants in downstream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