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생활 만족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21초

지역별 주거만족도와 생활환경 만족도 - 도시 , 농촌, 어촌 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 (Satisfaction with Housing , Community , and Living Environment - Comparison among Urban , Rural , and Fishing Village Residents -)

  • 정영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13-121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도시, 농촌, 어촌지역 주민들의 주거만족도와 지역사회 및 생활환경 만족도를 비교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특성은 지역을 하나의 통제변인으로 분석에 포함시켜 제변인들의 영향력의 방향과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자료는 1993년 6월 부터 1994년 6월 동안 488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대구에 거주하는 주부 254명과 경북권내의 영천과 청도 등의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주부 124명, 그리고 한산도 섬내에 거주하는 주부 110명을 대상으로 각 가정을 방문하여 면접법을 실행하였다. 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주거비와 주거소유형태였으며,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와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주거만족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을 고려할 때, 도시거주자의 주거만족도가 농촌이나 어촌거주자의 주거만족도 보다 높은 반면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도와 생활환경 만족도는 농촌거주자와 어촌거주자가 도시거주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을 고려한 주거정책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농촌여성의 노동실태와 복지수준

  • 최덕경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999년도 농촌여성의 능력개발과 복지증진 방안 심포지엄(A Symposium on the Development and Welfare for Rural Woman)
    • /
    • pp.49-64
    • /
    • 1999
  • 농촌생활의 질의 풍요로움을 연구하기 위한 일환으로 농가 생활경영을 시점으로 한 농업겨영과 농가주부의 관계, 가사운영과 가계관리를 중심으로 살펴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경영과 주부와의 관련에 대해 우선 열거할 수 있는것은 생산 노동력의 분담상황에서의 주부노동의 실태이다. 전체평균에서 78.1%의 주부가 남편과 함께 기간노동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농업생활에서 주부의 역할리 매우 큼을 단적으로 지적해 주는 것이었다. 그리고 종사하는 종작업과 경영 참여의 내용은 다양하다. 그 결과 시간적으로 본 주부 담당의 가사작업은 농번기와 농한기의 시기에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계관리상의 문제점으로 자녀의 교육비나 교제비의 부담이 거론되었고, 수입의 불규칙, 빚과 부채의 부담이 큰 문제로 지적되었다. 셋째, 가정생활의 만족도, 지역생활의 만족도는 모두 만족과 불만의 중간을 보였다. 가정생활에서의 만족도에서 평균점 보다 낮은 항목은 가족 동반의 식사, 부부대화, 내구소비재의 순이었고, 지역생활환경에 관하여는 보건소, 병원에 관하여는 불만족스러운 대답을 보였다. 넷째, 농작업의 효율화 대책은 기계화, 조직화, 공동화, 작업의 계획화이었으며, 가사노동에 있어서는 "주부의 농작업 감량대책"과 함께 "가족의 협력에 의한 가사분담","가족이 신변의 것을 스스로 한다","가사작업의 계획화"등이 요구되어진다.

  • PDF

경찰의 치안서비스품질과 서비스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Policing the police service quality, servic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 안동현;김찬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3_2호
    • /
    • pp.71-81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경찰의 치안서비스품질과 서비스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2년 서울소재 일반 시민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유층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최종분석에 이용된 사례 수는 총 491명이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6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607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 치안서비스품질은 서비스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신속전문성, 공익성, 공감성, 체계성, 접근성 서비스가 활발히 이루어질수록 범죄발생억제 활동만족은 증가한다. 반면, 쾌적성, 보증성 서비스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수록 범죄발생억제활동만족은 감소한다. 체계성, 유형성 서비스가 활발히 이루어질수록 경찰력규모만족은 증가한다. 공감성, 체계성, 접근성 서비스가 활발히 이루어질수록 교통안전관련활동만족은 증가한다. 신속전문성, 공감성, 체계성, 유형성, 보증성 서비스가 활발히 이루어질수록 지역사회경찰활동만족은 증가한다. 둘째, 경찰 치안서비스품질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신속전문성, 공익성, 공감성, 접근성 서비스가 활발히 이루어질수록 안전생활만족은 증가한다. 신속전문성 서비스가 활발히 이루어질수록 일상생활만족은 증가한다. 셋째, 치안서비스만족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범죄발생억제활동만족, 교통안전관련활동만족, 지역사회경찰활동만족이 높을수록 안전생활만족은 증가한다. 경찰력규모만족, 교통안전관련활동만족, 지역사회경찰활동만족이 높을수록 일상생활만족은 증가한다. 넷째, 경찰 치안서비스품질은 치안서비스만족 및 생활만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치안서비스만족은 치안서비스품질과 생활만족을 매개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생태체계 요인이 폐광지역 주민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cosystem Factors that Affect Abandoned Mine Area Residents' Life Satisfaction)

  • 노효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869-6877
    • /
    • 2015
  •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폐광지역주민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폐광지역 주민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폐광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30세 이상 주민 195명이며 2014년 4월 3일부터 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폐광지역 주민의 정신건강 정도는 일반정신건강 척도(KGHQ)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생활만족도는 생활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폐광지역 주민의 생활만족도는 중간보다 조금 높은 수준으로 미래생활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미시체계 요인군의 정신건강이 생활만족도가 영향을 주고 있었는데 하부 변수인 우울과 불안이 낮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체계 요인에서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나타나지 않았다. 거시체계 요인에서는 폐광지역 개발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따라서 폐광지역주민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거시체계요인의 경제 활성화 정책의 지속적인 시행과 미시체계요인의 건강한 정신을 유지하기 사회적 및 정서적 지지를 위한 실천적 전략의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CPTED와 지자체 안전교육이 지역 무질서 및 안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역 무질서의 매개효과 (Effects of Local Governments Social Security Network on Safety life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 of regional disorder -)

  • 강현;김현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54호
    • /
    • pp.77-99
    • /
    • 2018
  • 본 연구는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CPTED'와 지자체 안전교육이 '안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관계를 살펴보며, 무질서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7년 수도권지역에 거주자를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임의표집법(Random Sample)을 통하여 300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최종분석에는 24부를 제외한 총 276부를 통계처리 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CPTED'는 '무질서'와 '안전생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났으나, '지자체 안전교육'은 '안전생활 만족도'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무질서'는 '안전생활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부트스트랩핑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CPTED'와 '안전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만 지역무질서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본 결과, 지역사회의 안전교육에 변화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며, 지역사회의 CPTED 지역주민의 안전생활을 위한 안전망으로써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민의 안전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국가의 가장 중요한 정책 중 하나이다. 지자체 또한 지역주민의 안전한 삶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나, 사회 안전망으로써의 효과가 선행적으로 입증되어야만 지역사회에 보급하고 운영할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안전망과 무질서 및 안전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인터넷 마케팅을 위한 외식업체 이용고객의 생활만족과 심리적 웰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ustomer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for internet marketing)

  • 권금택;장병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3호
    • /
    • pp.1-19
    • /
    • 2012
  • 본 연구는 외식업체의 효과적인 인터넷 마케팅을 위한 부산지역 외식업체를 이용하는 고객의 생활만족과 심리적 웰빙에 관한 연구이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지역 외식업체 이용고객의 생활만족이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검증결과, 생활만족은 심리적 웰빙의 구성요소인 개인적 성장, 자율성, 자아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설이 채택되고, 자주성과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연구가설은 기각이 되었다. 둘째,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부산지역 외식업체의 효율적인 인터넷 마케팅을 위해서는 이용고객의 생활만족을 통한 심리적 웰빙을 도모하여야 하며, 특히 심리적 웰빙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성장, 자율성, 자아수용 요인들을 고려한 인터넷 마케팅전략과 표적고객에 대한 인터넷 마케팅의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이 된다.

  • PDF

직장인의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생활변화와 여가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fe Change and Leisure Satisfaction by Reduction of Working Hours of Office Workers)

  • 최태월;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2호
    • /
    • pp.47-53
    • /
    • 2021
  • 본 연구는 직장인의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생활변화와 여가만족도에 관한 연구로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의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생활변화는 남자는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생활변화가 없는(42.4%)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자는 개인만족 증대(54.7%)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소득은 200~300만원이 96.1%로 개인만족이 증대하였고 지역은 중소도시, 읍면지역에서 개인만족이 증대되었다. 둘째,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여가만족도는 월소득 300~400만원(43.6%)과 600만원 이상(39.1%)에서는 여가만족도가 다소 높았으나 성별, 연령, 학력, 가족원수, 결혼여부, 종사자 지위별, 지역에는 여가만족도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의 활성화는 개인적인 삶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여가만족이 생활변화에 있어 긍정적으로 전이되고 있어 여가 사회화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