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사회 참여

Search Result 1,53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노블리스 오블리주-주 5일제 실시와 자원봉사

  • Yang, Yong-Hui
    • Venture DIGEST
    • /
    • s.34
    • /
    • pp.10-10
    • /
    • 2003
  • 선진국 기업 임직원 대부분 지역사회 NGO나 사회복지단체의 이사나 운영위원으로 활동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는 것처럼 우리 기업들도 임직원의 자원봉사활동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제도적 차원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 PDF

농촌주민의 사회단체 참여와 농촌역할에 대한 인식

  • 조영숙;이한기;박은식;고정숙;조록환;황대용;강경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229-239
    • /
    • 2004
  • 1990년 중반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녹색농촌체험마을(농림부), 아름마을다꾸기(행자부), 새농어촌건설사업(강원도) 등 중앙부처 혹은 지방정부의 주도로 다원적 농촌발전과 주민참여를 중시하는 새로운 시범사업들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60∼70년대 산업화ㆍ공업화 위주의 정책으로 인해 농촌의 청ㆍ장년층이 도시부문으로 유입되었고, 80년대 이후 농촌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변화되었고, 농촌지역의 인구사회학적 구성의 변화로 농업ㆍ농촌의 신규 인력 대체가 어려워지면서 2000년 농촌인구 중 여성인구 50.2%, 65세 이상 노인인구 14.7%를 차지하는 즉 도시 노인 인구의 2.7배나 되는 인구구조를 이루게 되었다.(중략)

  • PDF

농촌주민의 사회단체 참여와 농촌역할에 대한 인식

  • 조영숙;이한기;박은식;고정숙;조록환;황대용;강경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99-116
    • /
    • 2004
  • 1990년 중반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녹색농촌체험마을(농림부), 아름마을가꾸기(행자부), 새농어촌건설사업(강원도) 등 중앙부처 혹은 지방정부의 주도로 다원적 농촌발전과 주민참여를 중시하는 새로운 시범사업들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60-70년대 산업화ㆍ공업화 위주의 정책으로 인해 농촌의 청장년층이 도시부문으로 유입되었고, 80년대 이후 농촌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변화되었고, 농촌지역의 인구사회학적 구성의 변화로 농업ㆍ농촌의 신규 인력 대체가 어려워지면서 2000년 농촌인구 중 여성인구 50.2%, 65세 이상 노인인구 14.7%를 차지하는 즉 도시 노인인구의 2.7배나 되는 인구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중략)

  • PDF

Beneficial Effects of Community-Based Group Singing Program on Quality of Life, Loneliness,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커뮤니티 기반 그룹 노래부르기 프로그램 참여가 지역사회 초기 독거노인의 삶의 질과 고독감, 우울에 미치는 효과)

  • Kim, Ji Hyun;Kim, Aimee Jeehae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v.21 no.3
    • /
    • pp.113-133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mmunity-based group singing program on the quality of life, loneliness,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The study employ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ith 27 older adults who utilized community social welfare services. Participants took part in the community-based group singing program for a total of 12 sessions, each lasting 50 minutes, at a frequency of 1 to 2 times per week. Pre- and post-intervention assessments were conducted to measure changes in quality of life, loneliness, and depression. The program was structured into three stages based on the participatory process model of community music therapy. Stage 1 focused on fostering sense of community through music participation, Stage 2 aimed at developing group attachment through musical cooperation and mutual emotional support, and Stage 3 sought to enhance self-efficacy and self-actualization within the musical community.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articipants' quality of life scores (p < .001)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loneliness (p < .001) and depression levels (p = .001) after the progra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mmunity-based music therapy program can be beneficial in enhancing quality of life and alleviating social isolation among older adults in an era of rapid population aging. The current study also presents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music therapy programs for older adults in South Korea.

Effect of Attributes of Three Stakeholders on the Outcome of the Village-based Rural Tourism Project in Korea (농촌관광사업의 Stakeholders의 특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 Cho, Gyoung-Rae;Park, Duk-Byeong;Jeong, Gu-Hyun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 /
    • v.19 no.2
    • /
    • pp.267-282
    • /
    • 2008
  • 본 연구는 농촌관광사업의 Stakeholders간의 관계 측면에서 참여주민의 특성이 개발기관과 주민조직의 특성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이 세 요소가 개발 성과에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참여주민의 특성으로 사회와 참여주민에 대한 가치체계, 즉 사회자본의 요소들인 신뢰, 규범, 공동체의식 및 네트워크에의 참여를, 개발기관의 특성으로 지원내용과 지원만족도를, 그리고 주민주직의 특성으로 주민조직의 경영역량인 기획, 조직, 지도력, 통제를 측정항목으로 설정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45개 마을에서 227명의 농촌관광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상관분석과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사회자본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 0.60으로 상당 부분의 영향을 미침을 설명하고 있었다. 반면 개발기관의 지원특성은 주민조직의 경영역량과 유의성 있는 상관이 있었으나 사업성과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발사업의 효과가 외부지원에 의해서가 아니라 주민 자체의 역량에 의해서 결정됨을 설명한다. 농촌관광사업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공동체의식, 주민과 개발기관간의 상호 신뢰감 조성 등 주민의식의 고양이 필요하며, 특히 주민조직체의 경영역량 함량을 위해 제도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Self-support Program Participants' Social Capital on Their Quality of Lif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Lee, Mi-Ra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2 no.4
    • /
    • pp.413-443
    • /
    • 2011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survey the level of social capital owned by self-support program participants, and to analyz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ir quality of life. Particularly because an individual's life is highly likely to be influenced by multiple aspects including human relation, this study purpose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quality of life. The survey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in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the quality of life wa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social capital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job satisfaction as a mediating variable affecting the 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relation between self-support program participants' social capital and the quality of life, the network level and the normative level hand an import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Second, as to the relation between self-support program participants' soci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social capital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in the relation between self-support program participants' social capital and their quality of lif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 and this supports the spillover model among hypotheses on the 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