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사회 건강

Search Result 2,53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xperiences with Rapid Appraisal to Assess Health and Social Needs in Primary Care (Primary care에서 지역사회 건강과 사회적 요구사정을 위한 Rapid appraisal 경험)

  • Cho, Myung-Soo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2 no.1
    • /
    • pp.299-307
    • /
    • 2001
  • 본 연구의 목표는 rapid appraisal의 사용을 통한 지역사회의 건강과 사회적 요구들을 알아내고 이들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지역주민과 써비스 제공자들 사이에 활동계획을 만들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Rapid appraisal의 정보피라미드를 통한 primary care team에 의해 3개의 자원들인 지역사회내 기존자료들과 지역 내에서 많이 사용해왔던 반 구조화된 면담지, 방문과 크리닉을 통한 직접 관찰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반 구조화된 면담지는 pilot study하고 검증한 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대상은 Northern General hospital내에 등록되어진 100가구의 도시영세민 주택에 거주하는 자로 하였다. 결과로 면담자 들과 focus groups은 지역사회 내 지역건강요구들을 만나고 알아내며 건강뿐만이 아닌 사회적인 많은 변화가 요구되는 건강관련 우선순위를 알아내는 첫단계로써 rapid appraisal의 사용이 유용하다. 결론적으로 Rapid appraisal은 지역사회 내 Primary care에서 muti-displinary approach를 촉진하여 건강에 영향하는 다양한 요인사정의 질적인 방법으로 변화를 위한 행동 계획을 세우는데 좋은 평가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 PDF

Impact of Factors on community-leve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mmunity Unit Analysis (지역사회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 단위 분석)

  • Jeong, Yong-Rae;Hahm, Myung-Il;Min, In-Soon;Kang, Eun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
    • /
    • pp.276-285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community factors on the community-leve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Korea.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conducted in 2012 using secondary data(n=209) of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The framework was based on community factors provided by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Science (ICSU) and community factors were categorized based on six aspects. Multiple regression was applied to community factors depending on the community EQ-5D index. Smoking rate, "Good" self-rated health rate, water and wastewater coverage rate, and financial independency rate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Q-5D score. Net migration rate(more move out than move in), obesity rate, unmet needed health care rate, and community type(rural than urban) wer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EQ-5D score. This study identifies association for the impact of community factors on the community-level HRQOL and can provide useful evidence for development of community health promotion policies.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Social Capital of Local Residents: Focusing on Gyungsangnam-Do (지역 주민의 사회적 자본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 Jang, Yu-Mi;Yeum, Dong-M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2
    • /
    • pp.764-774
    • /
    • 2014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at which has to do with changes that are inherent in life or mental health of the local population, which appears as a subjective aspect of social capital of local residents.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 the mental health of the residents of a social capital accumulation and changes, as describ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in several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affect the mental health is the only community consciousness in 2010, higher community consciousness and higher network capacity of 2011 residents, but higher mental health scores, lower mental health scores were greater participation in social participation. Also score high in the mental health component of the group of the high number of people in all social capital and more social capital were higher than residents in low mental health score group. The indirect effects on mental health of the residents of social capital accumulation and changes.

행복하고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들어가는 대구$\cdot$경북지회

  •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 가정의 벗
    • /
    • v.37 no.12 s.436
    • /
    • pp.24-25
    • /
    • 2004
  •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대구$\cdot$경북지회는 62년에 개소한 이래 40여 년 세월동안 지역사회의 복지향상과 지역주민건강을 위해 노력해왔다. 우리 협회는 가족건강을 위한 보건의료사업, 성교육, 모자보건 등 기존의 사업 외에도 아동 및 사회에 소외되기 쉬운 분들의 건강과 사회적인 약자인 여성과 어린이, 장애인 등의 성폭력이나 가정폭력 상담 및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는 청소년 문제를 위한 상담, 교육에 노력을 기울여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

  • PDF

Community Based Nursing Service As An Alternative Background Forces and Current Practice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간호사업 그 배경과 실태에 관한 고찰)

  • Hong Yeo-Shin;Rhee Seon-Ja
    • The Korean Nurse
    • /
    • v.19 no.1 s.104
    • /
    • pp.68-84
    • /
    • 1980
  • 간호사업은 1970년대 후반부터 이제까지의 병원중심-환자중심의 간호사업을 수행해 오다가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간호사업인 건강간호사업으로 전환되기 시작하였다. 세계보건기구에서도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간호사업인 일차건강관리사업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전환의 배경과 실태에 관하여 문헌고찰을 하여 앞으로 국민건강사업 체계에 대한 논의에 참고자료가 되게 하고자 본 논문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에서 얻어진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고도의 과학문명의 발달과 물질적 풍요로 특징짓는 현대사회속에서도 인류의 건강문제는 영원히 충족되지 못한 상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통적으로 60년대 중반까지는 의료지식 및 기계공업의 발달과 이를 뒷받침할 재정적 지원속에 세계적으로 치료의학분야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다른 한편으로는 건강을 태생의 권리라고 규정하여 여러나라에서 사회보장제대로써 의료시해의 균점을 위한 각가지 방도를 마련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60년대말기부터 70년대로 넘어오면서 치료의학의 발달만으로는 의료수가가 앙등되어 모든 국민이 이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모든 국민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는 사실을 발견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지역사회의 건강문제를 요인별로 따져보면 복잡하여 사회경제적, 문화적, 환경적, 유전적 제요인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신체적인 질병의 치료만이 지역사회 건강문제를 해결하는 길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지역사회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차보건의료사업에 중점을 두어 노력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개선방안이라는 의견이 경험적으로 이론적으로 뒷받침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사조는 지역사회 건강문제가 복잡한 것과 같이 그 접근방법에 있어서도 여러보건요원이 팀이 되어 임해야만 하며 그중에서도 간호팀의 활동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여러 전문가들은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간호사업의 방향은 지역 사회에 기반을 둔 간호사업이 실시되어야만 국민건강문제 해결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고찰되었다.

  • PDF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Trust and Disability Identity on Subjective Health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economic Status (장애인의 지역사회 신뢰와 장애정체감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Yu, Dong Chul;Kim, Dong-Ki;Kim, Kyung Mee;Shin, Yu-R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7
    • /
    • pp.337-347
    • /
    • 2016
  • This paper investigates how social trust and disability identity influence subjective health,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economic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e used surveys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exclusion scal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social trust and disability identity influence subjective health. Namely, those who have more social trust and high disability identity experience subjective good health than other people with disabilities do.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identity and subjective health was moderated by social-economic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Namely,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identity and subjective health is bigger as the level of social-economic status is higher.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trust and self-rated health was not moderated by social-economic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policy and practice ways to promote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 Basic View on the Village Health Workers (마을건강원에 대한 기본 시각)

  • 김공현;임문혁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5 no.1
    • /
    • pp.42-46
    • /
    • 1988
  • 마을건강원의 개념은 단순하나. 그 의의는 크다고 말할 수 있다. 마을건강원이란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서 일할 수 있도록 단기간의 훈련을 받은후 보건의병체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자기 지역사회 주민을 위하여 봉사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우리나라에서 마을건강원이란 용어로 이 같은 유의 요원을 최초로 호칭한 것은 1977-1980년간에 한국보건 개발연구원(한국인구보건연구원의 전신)이 농촌지역에서 지역사회보건사업을 전개할 당시부터라고할 수 있다. 물론 이전에도 이와 비슷한 명칭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정건강요원(연세의대), 마을보건임원(이화의대), 그리고 마을건강요원(여수병원) 등을 열거할 수 있겠다.

  • PDF

건강을 지키는 현장-지역사회 노인 복지에 앞장서는 '은천노인복지회'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16 no.9 s.166
    • /
    • pp.2-5
    • /
    • 1992
  •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사회변화에 따른 핵가족화가 가속화 됨에 따라, "노인문제"는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노인문제는 과거 가족제도에 대한 향수 같은 것으로는 이제 해결될 수 없으며 사회적인 해결 방안이 모색되고 실현되어야 하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노인복지 현실은 전무한 상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어려운 여건 속에서 작으나마 지역사회 노인들의 건강, 식사, 소일거리 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곳이 있다. "사회복지법인 자선단 은천노인복지회 (회장 : 이벙만ㆍ동대문구 장안동)." 노인들의 어려운 일을 도와주고, 취업알선을 해주고 있는 이들의 활동을 소개한다.

  • PDF

Structural Model of health status in Rural Community: Social Trust, Medical Communication, and Health Information (사회적 자본과 건강정보, 의료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농어촌 지역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델)

  • Jang, Han-Jin;Noh, Ghee-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8
    • /
    • pp.483-493
    • /
    • 2015
  •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caused health inequality between rural areas and cities. Health care in rural area is insufficient comparing to urban area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Health Information, and medical communication factors on Health status in rural communit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rst, social capital has an effect on medical communication with physicians and medical communication impacts on health status. Second,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has an impact on health behavior and Internet health information. Lastly,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influenced by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s a mediator affects health status. As a whol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oretical explanation about determinants of health status in communities by examining structural path of the effects of social factors and communication factors on health status in rural area.

Health Promotion Practice, Standards and Activities Of Local Health Departments In the United States (미국 지방 보건소의 보건증진 사업과 표준 설정)

  • Jung H. Cho;Pat V. OConnor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1999.07a
    • /
    • pp.9-36
    • /
    • 1999
  • 21C기를 맞이하면서 미국의 보건소가 당면한 과제는 시민들을 상해질병에서 보호하고 예방하는 것이다. 금세기 초 남녀 평균수명은 50세에 불과하였으나 후반에 이르러서는 남자 평균 수명 72세, 여자 79세로 늘어나게 되었는데 이것은 공중보건의 기여라고 볼 수 있다. 지난 10년 동안 미국의 보건의료정책은 격변기를 맞았으며 지역사회 병원들은 점차 보건소 활동분야인 예방사업에도 침투하고 있어서 지방보건소 활동과 경쟁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지방보건소는 지역사회에서 보다 광범위한 보건증진계획을 세워야 했고 동반자의 참여를 절실해하고 있다. 미국 의학연구소는 "공중보건의 장래" 라는 지침서를 발간하였고 10대 필수보건수칙이 지방보건소를 위하여 정해졌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선 지방보건소가 갖추어야 할 사항은 1) 건강 평가 2) 정책수립 3) 행정력 4) 건강증진 계획 5) 시민건강 보호대책 6) 질적 확인 체재수립 7) 직원교육 훈련 8) 지역사회 자발력 및 참여 고취 등이 있다. 보건교육 사업이란 그 과제와 재능과 개념 등이 다양해 이의 포괄적인 수용이 모색되어야하며, 그래서 이 논문은 건강증진 사업에 대한 "새 눈의 시야"와 같다고 볼 수 있다. "보건교육/보건증진" 이란 공중보건의 이론과 실제를 일체화하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은 2010년 보건의료 정책수립에 "건강증진/ 보건교육" 역할을 문서화하였고, "보건교육/ 건강증진" 사업은 지역사회 안에서 체계화하여 "건강한 사회에 건강한 시민" 이라는 사회운동의 청사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콜로라도의 "건강한 사회에 건강한시민" 운동을 한 예로 들고 있으며 "보건교육/건강증진" 사업에 대한 표준 설정을 위하여 노스캐롤라이나주 지방보건소의 "보건교육/건강증진" 표준체제를 예로 들었다. 다음으로, 경제적인 효율면에서 볼 때 "보건교육/건강증진" 사업에는 단기 혹은 장기 투자가치가 있는가 하는 것이다. 새로 태어나는 미국 지방 보건소의 "보건교육/건강증진" 활동은 지역 시민 및 그 단체가 광범위하고도 자연 다발적으로 참여할 때만 성공할 수 있다고 결론 지울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