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별 기후

Search Result 1,03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Building Resilience through Integrated Urban Climate Education: A case study in Da Nang City, Central Vietnam (통합 도시 기후 교육을 통한 복원력 구축: 베트남 중부 Da Nang 시 사례 연구)

  • Tong, Thi My Thi;Tran, Van Giai Phong;Lee, Dal-Heui;Park, Tae-Yoon;Han, Sh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2 no.1
    • /
    • pp.1-17
    • /
    • 2019
  • The importance of education in formulating and complementing climate change response has been widely recognized by international and national frameworks, agendas, strategies and action plans. Climate change education has the potential to meet the needs of communities to access updated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climate change, supporting policy development and the enhancing effectiveness of climate change response. This study develops an innovative model of Integrated Urban Climate Education (IUCE) as one suitable method for teaching and learning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This paper presents approaches, methodology and key lessons learned from the case study of IUCE in Cam Le District of Da Nang City. Findings from the study identify a number of important characteristics about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UCE in a way that effectively contributes to urban resilience building. These characteristics include (1) multidimensional approaches, (2) teacher - centered base, (3) school-family-community connection, and (4) symbiosis principle.

Probable Precipitation Proposal for Strengthening Water Infrastructure Planning Applicability of Precipitation Forecasting (예측 강수의 물 인프라 계획 적용성 강화를 위한 확률강수량 제시)

  • Park, Hyo Seon;Choi, Gye Woon;Jang, Dong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98-398
    • /
    • 2017
  • 확률강수량은 하천, 하수도, 재해관련 시설 계획 등 각종 물 인프라를 계획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의 기후변화 양상을 고려할 때, 지역적으로 다양하게 변화되는 강수패턴은 확률강수량 산정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물 인프라 계획에 사용되는 확률강수량의 적용실태를 분석하였으며, 기후변화 영향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미래의 물 관련 인프라를 건설하거나 시설 개선에 사용되는 확률강수량이 미래 예측 강수를 고려하는 경우에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연구하였다. 인천관측소 지점을 대표 분석 지점으로 선정하여 연강수량, 일최대강수량을 제시하였으며, 기존 확률강수량을 검토하였다. 또한, 인천관측소 지점의 1961~2015년의 분단위 자료를 이용하여 임의시간에 따른 1440분 최대강수량을 산정하였으며, RCP 2.6, 4.5, 6.0, 8.5 시나리오에 따른 2016~2100년 기간의 미래 예측 강수자료에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를 적용하여 빈도별 확률 강수량을 산정하였다.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미래 예측 강수를 적용한 경우와 과거 관측 자료만을 이용한 확률강수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편의보정 여부와 관측지점 및 확률빈도에 따라 결과에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향후 물인프라 계획에 있어서는 미래 예측 강수의 패턴과 지역적 특성 등을 여러 측면으로 고려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물 관리에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특용작물 - 투기는 피하고 산지가공성 고려

  • 김경제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7 no.1
    • /
    • pp.56-60
    • /
    • 1986
  • 특용작물 선택은 자기지역의 입지조건에 알맞은 작물과 품종을 선정하여 농업경영을 합리적으로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다행히 기상변화가 뚜렷하고 작물의 종류도 대단히 많은 실정이므로 지역별 주산단지를 조성하여 생활필수품 또는 중요한 가공원료로서 용도를 가지고 있는 작목과 우리나라 고유의 특산품으로 각광을 받는 작물을 선택하여 재배함으로서 앞으로 다가올 올림픽용품 등을 제조 판매하거나 수출하여 외화를 획득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특용작물을 도입하여 농업경영을 합리화하려면 적지적작(適地適作)의 원칙에 따라 그 지방의 기후와 토지조건에 알맞은 종류와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 기술과 수확, 조제, 가공방법 등을 잘 파악하여 재배하도록 한다.

  • PDF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by Regions and Agro-Climatic Zonal in Paddy Fields of Korea (우리나라 지역별 및 농업기후지대별 논잡초 발생상황)

  • Lee, In-Yong;Oh, Young-Ju;Park, Jungsoo;Choi, Jun-Keun;Kim, Eun Jeong;Park, Kee Woong;Cho, Seng-Hyun;Kwon, Oh-Do;Im, Il-Bin;Kim, Sang-Kuk;Seong, Deok-Gyeong;Kim, Chang-Seog;Lee, Jeongran;Seo, Hyun-A;Kim, Whan-Su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6 no.1
    • /
    • pp.11-20
    • /
    • 2017
  • Ninety species belonging to 28 families of weeds were identified in Korean rice fields. They were divided by eight provinces and 19 agro-climatic zones to be used as basic data of weed control. Looking at the regional weed occurrence, there were 52 species of 20 families in Gyeonggi, 37 species of 17 families in Gangwon, 41 species of 15 families in Chungbuk, 21 species of 12 families in Chungnam, 24 species of 13 families in Jeonbuk, 54 species of 21 families in Chonnam, 36 species of 20 families in Gyeongbuk, and 32 species of 16 families in Gyeongnam province, respectively. The most dominant family was Poaceae followed by Cyperaceae and Asteraceae. Mostly dominant species were Echinochloa spp., Monochoria vaginalis var. plantaginea, Scirpus juncoides var. hotarui, Eleocharis kuroguwai, and Sagittaria sagittifolia subsp. leucopetala with slight differences among the provinces.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18 climate zones from Taebaek sub-highlands to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Coast (except for the Taebaek Highl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Echinochloa spp., Monochoria vaginalis var. plantaginea and Scirpus juncoides var. hotarui. The most dominant family was Cyperaceae followed by Poaceae and Asteraceae. The differences of weed occurrence between provinces and agro-climatic zones were largely influenced by various weather conditions rather than the provinces. The changes in cultivation mode and herbicide use might influence as well.

Impact Assessment on the Forest 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Global Warming (지구온난화로 인한 한반도 삼림의 영향 평가)

  • Jung, Hui-Cheul;Jeon, Seong-Woo;Lee, Dong-K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5 no.5
    • /
    • pp.1-10
    • /
    • 2002
  •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연구에서 삼림생태계의 영향과 적응은 가장 중요한 관심사중 하나이다. 지리적 위치와 통일문제 등을 고려할 때, 한반도는 역동적인 개발이 이루어질 지역이며 인구와 경제적 상황의 변화로 삼림 생태계에 급격한 변화가 예상된다. 기후변화의 영향은 이러한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IS92a 시나리오의 GCMs(General Circulation Models)결과들을 이용하여 가능한 기온 증가 범위내에서 삼림생태계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AIM/Impact[Korea](the Asian-Pacific Integrated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시기별 Holdridge 생물기후대를 예측하고 목본식물의 이동속도를 고려한 지역삼림의 영향 및 적응 패턴을 분석하여 생태계 변화로 인한 경제적 가치 손실액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목본식물의 추정 평균이동속도 0.25km/년의 경우, 한반도에서 삼림소실지역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인위적 개입이 없는 경우 고사의 위험이 높은 지역은 남한의 경우 남한 총면적의 14%를 차지하였고, 북한은 18%정도의 면적이 고사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 고사위험지역의 80%는 난온대림 지역으로 주로 남해일원과 전라도 서해안에서 발생하며, 북한은 고사위험지역의 대부분이 냉온대림지역으로 주로 평안도 내륙지역과 중국 접경지경, 함경남도의 영흥만 북부에서 나타났다. 2) 목본식물의 이동속도 변화에 따라 남한은 매년 0~976백만불, 북한은 0~2,492백만불 범위의 경제적 가치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목본식물의 추정 평균이동속도가 0.25km/년일 경우, 한반도 전체의 가치손실액은 매년 3,471백만불에 달했으며, 남한의 경우 목본식물의 이동속도가 0.5km/년 이상인 경우 삼림의 경제적 가치 손실은 발생하지 않았다.

Estimation of mean annual extreme minimum temperature raster and predict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for Ipomoea triloba using Proto3 model in the Korean peninsula (격자형 한반도 최저극값온도 예측 및 Proto3를 활용한 별나팔꽃 (Ipomoea triloba)의 서식적합지 예측)

  • Lee, Yong Ho;Choi, Tae Yang;Lee, Ga Eun;Na, Chea Sun;Hong, Sun Hee;Lee, Do-Hun;Oh, Young J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7 no.4
    • /
    • pp.759-768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mean annual extreme minimum temperature raster and predict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the invasive plant, Ipomoea triloba, on the Korean peninsula. We collected annual extreme minimum temperature and mean coldest month minimum temperature data from 129 weather st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from 1990-2019 and used this data to create a linear regression model. The min temperature of the coldest month raster from Worldclim V2 were used to estimate a 30 second spatial resolution, mean annual extreme minimum temperature raster of the Korean peninsula using a regression model. We created three climatic rasters of the Korean peninsula for use with the Proto3 species distribution model and input the estimated mean annual extreme minimum temperature raster, a Köppen-Geiger climate class raster from Beck et al. (2018), and we also used the mean annual precipitation from Worldclim V2.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I. triloba was estimated using the Proto3 model with 117 occurrence points. As a result, the estimated area for a potential distribution of I. triloba was found to be 50.7% (111,969 ㎢) of the Korean peninsula.

Climate Change by Global Warming and Its Effects on Production Efficiency of Lactating Dairy Cows in Korea : a Simulation Modeling Approach (지구온난화에 따른 국내 기후변화와 젖소 착유우의 생산효율에 미치는 영향 평가 : 모델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접근)

  • Lee, Jung-Jin;Lee, Jun-Sung;Kim, Jong-Nam;Seo, Ja-Keum;Jo, Nam-Chul;Park, Seong-Min;Ki, Kwang-Seok;Seo, Seong-Won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1 no.4
    • /
    • pp.711-723
    • /
    • 201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ccess climate change by global warming in Korea,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production efficiency of lactating dairy cows. Two regions, Daegu and Daekwanryung, were selected to represent a warm and a cold area, respectively. Time-series analyses on meteorological records for 25 years (from January 1, 1988 to December 31, 2012) revealed significant and different climate changes in two regions. In the warm area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P<0.05) increase in low temperature during the summer, which can cause heat stress to the animal. On the other hand, a decrease in low temperature during the winter was observed in the cold region (P<0.01), and cold stress in winter can thus be an issue in this region. Simulations using a model integrated the Korean feeding standard for dairy cattle and the environmental effect module of Cornell Net Carbohydrate and Protein System, indicated that a reduction in feed efficiency can be a problem during the winter in the cold region while during the summer in the warm area. We conclude that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by global warming varies in different areas in Korea and a region-specific management strategy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maintain productivity, health and welfare of lactating dairy cows.

Sensitivity of Precipitation and Storage Capacity Caused by Climate Changes in Agricultural Reservoir (농업용저수지의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와 저수량의 민감도 분석)

  • Shin, Hyung Jin;Kim, Hae Do;Lee, Jae Nam;Kim, Dae Eui;Kang, Mun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81-181
    • /
    • 2019
  • 기후변화의 노출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는 정확한 강우패턴의 파악이다. 시험지구인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버들저수지 저수지 상류지역 및 수혜구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유발인자(노출)인 강우량의 변화량을 조사 및 분석 하였다. 시험지구에 대한 강우 변화량 분석은 설계당시의 지배관측소인 수원관측소 자료(1967~2015년)를 이용해 기간이동 변화를 위해 월별, 분기별 강우량를 비교하였다(기준: 1967~2000년 평균). 강우의 공간이용은 수원관측소의 인접 강우 관측소간의 상대적 비교(연강우량 평균)를 통해 강우 변화를 분석하였고, 강우이동은 홍수기 최대강우량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5년 단위 평균 강수량은 (기준) 1,292mm 대비 (비교1 : 2001~2005년) 1,292mm, (비교2 : 2006~2010년) 1,408mm, (비교3 : 2011~2015년) 1,349mm로 평균 대비 총강수량은 많아지고 있으며, 5년 단위의 분기별 강우기여율 중 강우의 시간적 이동에 대한 지표인 2분기(4~6월) 기준대비(23%) 비교1(25%) 비교2(21%), 비교3(22%)로 비교1 구간에서만 조금 상승했고 그 후에는 차츰 강우량이 적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강우가 농업생산기반시설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강우량 대비 저수지의 저수율을 비교하였다. 연도별로 만수위가 아닐 때 내린 강우량을 저수지에 유효한 강우량(유효강우량)으로 조건을 주어 분석하였다. 만수위상태에서는 강우가 발생해도 하류하천으로 무효 방류된다. 특히 평수기에는 유효강우량이 30~40% 정도이지만 가뭄시기였던 2014~2016년에는 강우 기여율이 72~86%까지 올라 간 것으로 보아 강우량의 변화에 농업생산기반시설인 저수지가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강우량- 저수량"은 농업생산기반시설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기후변화에 대한 민감도 분석의 영향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Changes on Mixed Layer Depth with Climate Variability : SCHISM model (기후변동성을 고려한 연안해역의 혼합층 두께 변화양상 검토: SCHISM 적용)

  • Yoo, Hyung Ju;Lee, Joon-Soo;Kim, Dong Hyun;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73-273
    • /
    • 2022
  • 혼합층(Mixed layer)은 온도가 일정한 수심층으로, 해수표면에 작용하는 바람의 영향으로 인하여 해수가 위아래로 섞여 형성된다. 이러한 혼합층은 영양염의 순환과 산소의 공급 등과 함께 일차생산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혼합층 두께의 변동은 양식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및 해수온 상승 등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하여 수산업의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강원연구원, 2017). 이에 국립수산과학원, 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 등 유관기관에서는 정선해양 수온 관측 및 해수순환모델을 이용하여 혼합층의 분석을 수행하고 있으나 격자 구축 및 초기·경계장 설정의 한계가 존재하여 정밀하고 정확한 혼합층 분석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격자를 사용하여 격자 구축에 제약이 없는 SCHISM (Semi-implicit Cross-scale Hydroscience Integrated System Model)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계절변화 및 기후변동성에 따른 혼합층 두께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서해·동해·남해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체 연안 해역(위도: 32°N ~ 39°N, 경도: 124°E ~ 132°E)으로 선정하였으며, 격자크기 100 ~ 3,000 m인 삼각격자로 격자를 구축하였다. 혼합층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직격자 층은 50층으로 SZ(Sigma Z coordinate system)좌표계를 사용하였다. 초기·경계장은 FES(Finite Element Solution)2014, HYCOM(Hybrid Coordinate Ocean Model) 및 대기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설정하였다. 수치모형 검증을 위하여 수온관측소에서 수심별 측정한 수온 값과 SCHISM 결과 값을 비교하였고, 상대오차가 약 10% 이내로 나타나 모형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해수면 상승 및 해수온 상승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계절별 연안해역의 혼합층 두께의 변화 양상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향후에는 보다 정밀한 대기모델과의 혼합모형 구축 및 다양한 수심 별 관측자료를 활용한다면 실무에서 적용 가능한 혼합층 분석 및 수산업 피해 발생 지역에 대한 피해저감 대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ssessment of a rain barrel sharing network in Korea using storage-reliability-yield relationship (저류용량-신뢰도-수요량 관계를 이용한 레인배럴 공유 네트워크의 국내 성능 평가)

  • Kwon, Youjeong;Seo, Yongwon;Park, Chang K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11
    • /
    • pp.961-971
    • /
    • 2020
  •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reported that the amount of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would increase regardless of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oreover, the temporal and spatial rainfall variation would also increase in the future. Due to the geographic allocation of Korea, more than 80% of the annual precipitation occurs in the wet season from early July to late September. It is expected that the average precipitation in this period will increase from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scenario projections. These predictions imply an increased variability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Rainwater harvesting system is widely used as an alternative water resources today. This study introduces a RBSN (rain barrel sharing network) as an efficient way to utilize alternative water resources under the RCP scenarios. The concept of RBSN combines individual rainwater harvesting system to a sharing network, which make the whole system more reliable. This study evaluated a RBSN in South Korea composed of four users based on a storage-reliability-yield (SRY) relationship. The study area comprises all 17 provincal areas in South Korea. The result showed a huge benefit from a RBSN in Korea under the historical rainfall condition. Even in the climate change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 RBSN is still beneficial but the changes in reliability are different depending on province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a RBSN is a very effective and alternative measure that can deal with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in the near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