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간 교역계수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139 seconds

Estimating Interregional Trade Coefficient of Service Industry using the Gravity Model (중력모형을 이용한 서비스업의 지역간 교역계수 추정)

  • Yun, Kap-Sik;Kim, Jae-Ko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3
    • /
    • pp.457-469
    • /
    • 2010
  • The study aims to estimate interregional trade coefficient of service industry using the gravity model. The gravity model has been widely used for prediction of the level of human interaction between two regions which is positively related to attraction of them and negatively related to the distance between them. To apply the gravity model for explaining the interregional trade flow of service industry, the choice of proper proxy variables which represent a dependent variable and independent variables is most important. However, the literature shows that there are few studies on this issue. Four models concerned to the choice of proxy variables are considered. Finally, this paper employs the least-squares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model's goodness-of-fit, and suggests the most appropriate model based on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the interregional trade of service industry in regional input-output table developed by The Bank of Korea is desirable as a dependent variable, the service industry output of export region, the population of import region, and the spatial distance between regions are desirable as independent variables.

  • PDF

Estimating the Virtual Water by Industry Using Inter-Industry Analysis (산업연관분석법을 활용한 산업별 가상수 산정)

  • Park, Sung je;Park, Eun hee;Lee, Hyun hwa;Ryu, Si 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26-426
    • /
    • 2017
  • 국가간 지역간 물의 이동을 개념화하여 물 부족 현상을 정치경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려는 가상수(virtual water) 연구가 국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가상수를 양적 측면에서 산정하여 정확한 물 수지를 파악하면 수자원에 대한 국가의 계획과 전략 수립에 매우 유리한 여건이 조성된다. 우리나라의 국가계획인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은 국가 간의 물 이동을 고려하지 않고 국내에서 발생하는 용수의 수요와 공급 측면만을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에도 국내에서 소비하는 농산물과 축산물의 상당량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향후 국제교역과 FTA의 확대 등으로 그 의존도는 더욱 증대될 것으로 추산된다. 따라서 국가 간 물 이동에 대한 양적 규모를 파악하여 국가전략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법을 활용하여 국내 산업별(제조업, 서비스업) 가상수를 산정하여 국가 수자원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한다. 산업연관분석(Inter-industry analysis)은 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산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수량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를 가상수 산정에 활용하여 직접수와 간접수를 포함한 물의 전체 사용량을 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산업의 용수량을 총 생산량으로 나누어 물 강도($m^3$/원)를 계산하고, 생산유발계수와 최종수요를 곱하는 방식으로 산업별 가상수량을 산정하였다. 산업별 가상수 산정 결과는 경제총조사의 용수비와 산업연관표의 생산유발계수를 적용하였으며, 제2차 산업인 제조업 분야의 연간 가상수량은 60.4억 $m^3$, 제3차 산업인 서비스 분야의 가상수량은 연간 43.1억 $m^3$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향후 10년의 OECD 기술수준 제품군별 무역수지 전망을 고려한 결과, 기술수준 중 및 고 기술제품의 가상수 수출량이 2020년에는 2010년에 비해 약 3배 증가하는 것으로 산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산정된 산업별 가상수는 각 산업의 물 사용량을 추정하고 산업 전반의 수자원 활용도를 파악하는데 이용 가능하다. 더불어 국제 환경 및 기후변화가 반영된 가상수 시나리오 연구를 통해 장래 용수 수요변화예측 등 효과적인 물 관리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