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가치

Search Result 2,54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대도시 지역 지하수 오염저감기술연구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분석연구

  • 김성용;안은영;이재욱;손병국;김정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403-407
    • /
    • 2004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1998년부터 2002년까지 기본사업으로 5년간 수행한 대도시 지역 지하수 오염저감기술연구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로서 조건부가치측정법을 활용하여 연구사업성과의 비용, 편익, 순현재가치, 비용편익비, 내부수익률을 산정하였다. 분석과제의 주요성과 중 계량화가 가능한 직접 편익은 지하수 음용화 시설 구축에 따른 편익 및 지하수 데이터 가치 편익 두가지로 분석되었다. 이들 편익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2002년도 현재가치로 환산한 결과, 비용은 50.9억원, 편익은 676.9억원, 순현재가치는 626.0억원, 비용편익비는 13.3, 내부수익율은 152%로 나타났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ter Mode Choice Behavior between Regions : Case of Seoul and Ilsan New Town (촐근통행 교통수단 선택행태의 지역간 비교연구: -서울과 일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 조중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83-92
    • /
    • 1998
  • 서울과 일산 신도시의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모형을 구축하고, 두 도시간 수단선택행태를 분석.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1996년 서울시에서 수행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단선택모형으로는 다항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두 지역 출근통행 수단선택모형의 모형구조상의 차이 및 모형의 지역간 이전가능성을 분석하였고, 출근통행의 시간가치 및 탄력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통계적 검증의 결과 출근통행의 수단선택에 있어서, 모형구조적 측면에서나 선택행태적 측면에서 수단 선택모형의 두 도시간 이전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출근통행의 시간가치가 일산보다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특히 서울의 경우, 택시이용자의 시간가치가 자가용 이용자의 시간가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도시 모두 통행시간에 대한 탄력성 통행비용에 대한 탄력성보다 전반적으로 크며, 버스와 지하철간의 통행시간에 대한 교차탄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Reg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ter Mode Choice Behavior -Case of Seoul and llsan New Town-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행태의 지역간 비교연구 -서울과 일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조중래;김채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4
    • /
    • pp.75-88
    • /
    • 1998
  • 서울과 일산 신도시의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모형을 구축하고, 두 도시간 수단선택형태를 분석.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1996년 서울시에서 수행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단선택모형으로는 다항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두 지역 출근통행 수단선택모형의 모형구조상의 차이 및 모형의 지역간 이전가능성을 분석하였고, 출근통행의 시간가치 및 탄력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통계적 검증의 결과 출근통행의 수단선택에 있어서, 모형구조적 측면에서나 선택행태적 측면에서 수단선택모형의 두 도시간 이전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출근통행의 시간가치가 일산보다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특히 서울의 경우, 택시이용자의 시간가치가 자가용 이용자의 시간가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도시 모두 통행시간에 대한 탄력성 통행비용에 대한 탄력성보다 전반적으로 크며, 버스와 지하철간의 통행시간에 대한 교차탄력성이 매유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농촌 어메니티자원을 활용한 마을테마 개발 사례 -군산, 산청 농촌전통테마마을을 대상으로-

  • 김혜민;조순재;나장원;최혜성;이부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178-178
    • /
    • 2004
  • 현재 국민의 여가활동 패턴변화와 주5일 근무제 도입 등으로 전통문화, 자연체험 기회제공의 장으로서 농촌이 재인식되고 있으며, 농촌전통테마마을사업(농촌진흥청) 등 농촌지역 부존자원의 잠재서비스 개발ㆍ연출 및 농촌마을만이 가진 다양한 가치 발굴, 이를 자원으로 활용한 마을 활성화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이 추진되고 있다. 이때 농촌마을 부존자원의 다양한 부가가치 개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의 수단이자 공동체 활성화 수단으로서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략)

  • PDF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의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 박창석;전영옥;조영국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120-123
    • /
    • 2002
  • 본 연구는 농천어메니티의 개념을 토대로 농촌주민과 도시민의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정주기능으로서의 생활자원화와 방문가치로서의 관광자원화로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민과 농촌주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농촌자원의 중요도와 순위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자원을 자연적 자원과 문화적 자원, 사회적 자원으로 구분하여 37개 자원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어메니티를 형성하거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주민과 도시민이 지닌 가치에 기초하여 생활자원적 가치와 관광가치적 가치를 동시에 혹은 차등적으로 지닐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농촌자원에 대한 중요도 평균에 대한 차이검증(t-test)을 수행한 결과 전체 자원의 56.8%에 해당하는 21개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결과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셋째, 농촌자원에 대한 순위적 상관관계분석에서도 전문가와 전체집단에서 생활자원과 관광자원에 대한 순위상관관계가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위의 두번째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자원의 개발 방향과 가치부여가 자원의 속성에 따라 차등적으로 진행되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다섯째, 농촌자원의 유형을 생활자원화와 관광자원화에 대한 중요도의 표준화 점수에 기초하여 4개 유형(유형 I~IV)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유형별 자원중요도를 고려하여 농촌마을의 개발목적에 비추어 생활자원형이나 관광자원형과의 연계를 통해 마을의 정체성과 특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를 고지도와 지리지.읍지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변한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석하여 시대상의 복원과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

  • PDF

Economic Value Evaluation of Water Resources for Efficient Water Allocation (효율적인 물 배분을 위한 수자원의 경제적 가치산정 방안)

  • Choi, Jeong Wook;Jeong, Gi Moon;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5-255
    • /
    • 2017
  • 오래전부터 물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자유재로 인식되었지만, 산업혁명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인구와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인류가 사용할 수 있는 수자원이 그 수요에 비해 공급이 줄어들었으며, 이로 인해 자유재로 인식되어 왔던 수자원은 점차 그 가치를 매기는 경제재로 인식이 바뀌고 있다. 하지만 다른 경제재와 다르게 자연자원인 수자원은 환경재, 공공재라는 인식이 강하고, 더불어 공급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시장경제가 적용되기 어렵고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최근 수자원 전문가들은 공급이 한정된 수자원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배분하기 위해 수자원의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수자원의 용도별, 지역별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여 이를 용수배분에 적용한 CALVIN모형(CALifornia Value Integrated Network)을 개발하여 실제 주정부의 수자원 활용계획에 적용한 사례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구체적으로 수자원의 용도별, 지역별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고, 이를 실제 물 배분 계획에 적용한 사례는 드문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맞는 수자원의 용도별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고 편익함수를 산정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수자원의 용도를 생활, 공업, 농업, 하천유지 용수 등 네 가지로 구분하여 각 용도별로 용수의 경제적 편익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용수별 편익함수와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될 수자원의 용도별 편익함수는 향후 개발예정인 수자원-경제통합 물 배분 모형에 적용될 것이며, 나아가 수자원의 효율적인 배분 계획 및 정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zing the Economic Value and Planning Factors of Hubs within Urban Green Infrastructure - Focusing on the Case of Sejong Lake Park - (도시 그린인프라 핵심지역의 경제적 가치와 계획 요소 분석 - 세종호수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

  • Lee, Dong-Kyu;An, Byu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9 no.4
    • /
    • pp.41-54
    • /
    • 2021
  • This study targets the urban park corresponding to the core areas (Hubs) of Green Infrastructure and estimates their value utiliz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and determines the planning factors which affect them. The research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supporting the value improvement in the planning stage for urban parks representing green infrastructur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rive variables that affect economic value and planning factors to improve the use-value of urban parks, one of the Hubs of the green infrastructure. In this study, Sejong Lake Park, located in Sejong City, is the target site. This study collected the responses of 105 people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intention to pay for the use-value and the planning factors that affect it, targeting visitors to Sejong Lake Park. The study conducts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on this survey respon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ariables which affect willingness to pay for use-value, residence and age influence the willingness to pay significantly among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Next, the survey responses of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s (DB-DC) CVM are converted into variables through statistic techniques. Furthermore, the variables are used for a Logit model to draw coefficients. The average willingness to pay per person for the use-value of Sejong Lake Park using the derived coefficients was approximately found to be 8,597 won. Therefore, as of 2019, Sejong Lake Park, with a total of 430,000 visitors, is estimated to have an annual economic value of 3.7 billion won. Third, the average Likert scale of the planning factor affecting the decision to pay for the economic value of Sejong Lake Park was the highest along the waterfront landscape, and the convenience facilities and waterfront landscape showed the highest willingness to pay, 10,000 won. In the range between 2,500 won and 5,000 won, the waterfront area ranks highes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visitors to Sejong Lake Park take account of the economic value of using the waterfront landscape the mos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thesis on use-value and the planning factors that affected value evaluation results of urban parks, and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lanning factors of urban parks as hubs located in urban areas.

Impact Assessment on the Forest 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Global Warming (지구온난화로 인한 한반도 삼림의 영향 평가)

  • Jung, Hui-Cheul;Jeon, Seong-Woo;Lee, Dong-K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5 no.5
    • /
    • pp.1-10
    • /
    • 2002
  •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연구에서 삼림생태계의 영향과 적응은 가장 중요한 관심사중 하나이다. 지리적 위치와 통일문제 등을 고려할 때, 한반도는 역동적인 개발이 이루어질 지역이며 인구와 경제적 상황의 변화로 삼림 생태계에 급격한 변화가 예상된다. 기후변화의 영향은 이러한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IS92a 시나리오의 GCMs(General Circulation Models)결과들을 이용하여 가능한 기온 증가 범위내에서 삼림생태계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AIM/Impact[Korea](the Asian-Pacific Integrated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시기별 Holdridge 생물기후대를 예측하고 목본식물의 이동속도를 고려한 지역삼림의 영향 및 적응 패턴을 분석하여 생태계 변화로 인한 경제적 가치 손실액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목본식물의 추정 평균이동속도 0.25km/년의 경우, 한반도에서 삼림소실지역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인위적 개입이 없는 경우 고사의 위험이 높은 지역은 남한의 경우 남한 총면적의 14%를 차지하였고, 북한은 18%정도의 면적이 고사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 고사위험지역의 80%는 난온대림 지역으로 주로 남해일원과 전라도 서해안에서 발생하며, 북한은 고사위험지역의 대부분이 냉온대림지역으로 주로 평안도 내륙지역과 중국 접경지경, 함경남도의 영흥만 북부에서 나타났다. 2) 목본식물의 이동속도 변화에 따라 남한은 매년 0~976백만불, 북한은 0~2,492백만불 범위의 경제적 가치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목본식물의 추정 평균이동속도가 0.25km/년일 경우, 한반도 전체의 가치손실액은 매년 3,471백만불에 달했으며, 남한의 경우 목본식물의 이동속도가 0.5km/년 이상인 경우 삼림의 경제적 가치 손실은 발생하지 않았다.

An Classification of Management Area using Assessment of Conservation Value on Forest Wetland - Focusing on Sandeul Wetland in Mt. Jaeyak, Gyeongsangnam-do - (산지습지의 보전가치 평가를 통한 관리권역 설정 -경상남도 재약산의 산들늪을 대상으로-)

  • Lee, Woo-Sung;Park, Kyung-Hun;Jung, Sung-Gwan;You, Ju-Han;Kim, Kyung-T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2
    • /
    • pp.52-6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management area using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value on forest wetland, Sandeul wetland in Mt. Jaeyak, Miryang-si, Gyeongsangnam-do, Korea. The six assessment factors were selected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es and written evidences such as wetland vegetation, hydrological factor, soil factor, topographical factor, naturalness and risk. The assessment data were built on the basis of digital topographic maps, digital detailed soil maps,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field surveys of three tim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value and establishment the management area, the core area which has the highest conservation value was occupied by 1.9ha and the conservation area which conservation value is 2 grades was occupied by 33.7ha. The buffer area surrounded core area and conservation area was analyzed by 33.7ha. The transition area which conservation value is 4 grades showed by the widest area(151.2ha) and restoration area that is the ecological hazard area was occupied by 1.7ha. In conclusion, these results can provide methods and basic informations for conserving and managing wetlands because the management area was classified scientifically considering rational processes.

  • PDF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Values for Western Salad on Functional Attitude and Consumer Satisfaction (양식샐러드 메뉴에 대한 소비가치가 태도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Jung, Jin-Woo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22 no.2
    • /
    • pp.222-233
    • /
    • 2016
  • Current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social consumption values for the western salad on the functional attitude and the consumer satisfaction. To ver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in western style restaurants of five hotels located in Seoul, total 3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22 examples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PSS 18.0 program present study derive following conclusions. The consumption values such as rarity value, social value, emotion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have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functional attitude. Especially, the social value, among the consumption values, h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addition, the all consumption values of salad have a significant antecedent of the consumer's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functional attitude has affect the consumer's satisfaction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clarify the influences among the social consumption values for the western salad on the functional attitude and the consumer's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