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식 관리

검색결과 3,513건 처리시간 0.045초

지식관리시스템(KMS)을 통한 건설 현장지식관리 (Managing Field-related Knowledge based on Knowledge Management System(KMS))

  • 국윤상;백종건;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지
    • /
    • pp.525-530
    • /
    • 2001
  • 기업의 경쟁력이 지식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는 현대 사회의 실정과 더불어 IMF 이후 건설업계는 경영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식경영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하고 있다. 지식경영 실천의 도구인 지식관리시스템은 기업의 지식을 관리하여 조직지식자원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도구로 관리대상 지식의 형태와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와 관리방법을 갖는다. 따라서 산업별 지식의 특성에 적합한 지식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산업 지식의 특성을 적합한 지식관리시스템의 지식관리 방안을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현재 구축된 건설업 KMS 지식관리의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 PDF

그룹웨어를 이용한 지식관리시스템의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ased on Groupware)

  • 신은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9-87
    • /
    • 1999
  • 이 연구는 조직 내에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지식들을 조직 구성원 전체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지식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식관리시스템의 개념 및 유형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지식관리시스템에 응용되고 있는 정보기술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지식관리시스템의 한 예로 그룹웨어를 이용해 지식관리시스템을 개발한 KIEP 연구관리시스템을 택하여 개발 경위, 시스템 구성, 개발 성과를 기술함으로써 향후 지식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참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현재의 정보기술만 가지고도 지식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전혀 부족함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지식관리시스템은 조직 구성원의 지식 공유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식 공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식을 적극 공개하는 조직 문화 형성이 아직 미흡하여 지식관리시스템의 확산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었다.

  • PDF

수자원 통합지식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tegrated Water Resource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 이성학;김승;김학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38-342
    • /
    • 2006
  • 최근 들어 수자원관리에 있어서도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참여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수자원과 함께 생태, 환경, 사회, 경제적인 요소의 고려도 요구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수자원관리자들은 통합수자원관리의 실현을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수자원관리에 필요한 지식관리시스템(www.water21.net)을 구축하였다. 수자원 통합지식관리시스템에서는 지식을 구조화/체계화하기 위하여 관리계획의 준비, 모델의 구성, 계획의 수립, 계획의 평가 등 4단계로 구성된 프로세스 온톨로지(Ontology)를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수자원관련 지식의 효율적인 유통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물 관련 지식의 허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버퍼 개념을 도입하고, 지식제공자들과 '물관련 지식공유협약'의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통합수자원관리에는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참여와 생태, 환경, 사회, 경제적 요소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 자원통합 지식관리시스템은 사용자들에게 물관련 정보를 빠르고 체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여줄 것이다. 또한 국가적으로는 물관련 분야의 지식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PDF

지식 Life-Cycle을 기반으로 한 지식 관리 시스템 구조 연구 (The Study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rchitecture based on a life-cycle of knowledge)

  • 이종국;송희경;한관희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99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지식경영과 지식공학
    • /
    • pp.75-8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지식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기 보다 지식의 life-cycle을 통한 지식의 생성과 소멸을 모델화함으로 지식을 설명하려 한다. 본 논문은 노나카의 지식 창조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기존의 KMS들을 분석하여 일반적인 지식 life-cycle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기존 모델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지식 life-cycle 모델을 만들었다. 이 모델과 앞으로의 지식관리 시스템 발전 방향을 고려하여 지식 관리 시스템 아키텍쳐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아키텍쳐를 근거로 지식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6개의 컴포넌트를 도출하였다 6개의 컴포넌트는 지식 생성, 지식 분배, 지식 측정, 지식연결, 지식 검색, 지식 저장이다. 이 컴포넌트들로 지식 관리 시스템의 prototype을 구현해 본 결과 지식life-cycle을 단계적, 부분적으로 지원하지만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향후에는 지식 생성과 지식 연결 컴포넌트를 강화하여 전체적인 지식 life-cycle을 지원할 예정이다.

  • PDF

지식 Life-Cycle을 기반으로 한 지식 관리 시스템 구조 연구 (The Study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rchitecture based on a life-cycle of knowledge)

  • 이종국;송희경;한관희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999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지식경영과 지식공학
    • /
    • pp.75-8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지식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기 보다 지식의 life-cycle을 통한 지식의 생성과 소멸을 모델화함으로 시식을 설명하려 한다. 본 논문은 노나카의 지식 창조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기존의 KMS들을 분석하여 일반적인 지식 life-cycle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기존 모델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지식 life-cycle 모델을 만들었다. 이 모델과 앞으로의 지식관리 시스템 발전 방향을 고려하여 지식 관리 시스템 아키텍쳐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아키텍쳐를 근거로 지식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6개의 컴포넌트를 도출하였다. 6개의 컴포넌트는 지식 생성, 지식 분배, 지식 측정, 지식 연결, 지식 검색, 지식 저장이다. 이 컴포넌트들로 지식 관리 시스템의 prototype을 구현해 본 결과 지식 life-cycle을 단계적, 부분적으로 지원하지만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향후에는 지식 생성과 지식 연결 컴포넌트를 강화하여 전체적인 지식 life-cycle을 지원할 예정이다.

  • PDF

공정관리 지식기반 구축을 위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for Accumulating Scheduling Knowledge-Base)

  • 장세한;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83-91
    • /
    • 2001
  • 1990년 중반부터 지식(Knowledge)은 국가 및 기업 경쟁력의 원천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건설기업의 공정관리는 건설기업의 핵심 역량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국내 건설기업은 공정관리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저장,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건설기업의 공정관리 지식기반화에 대한 수준은 공정관리 지식기반 인프라 구축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상위 건설기업 조차도 공정관리 지식 활동 단계의 초기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는 공정관리 지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재, 관련 절차의 부재가 원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기업의 공정관리 지식기반화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건설기업 차원에서 현행 공정관리 표준 절차서의 내용에 공정관리 지식기반 인프라 요소와 공정관리 지식 활동 요소를 보안할 수 있는 공정관리 지식기반화를 위한 공정관리 절차서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인 공정관리 지식기반화를 위한 절차서 모델을 통해, 국내 건설기업이 공정관리 지식 활동의 절차를 마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추후 국내 건설기업의 건설통합시스템 및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과의 연계를 위한 공정관리 지식 기반의 구축의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공기업의 지식관리 영향요인과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철도공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Antecedents of Knowledge Management and Performance in Public Enterprise: Focus on the KORAIL)

  • 이홍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9-21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공기업의 지식관리 영향요인, 지식관리 활동과 그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부기관 중 지식관리를 최초로 도입한 기관이자 공공부문 지식관리의 선도기관으로 평가받고 있는 한국철도공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지식관리 영향요인으로는 학습지향문화와 지식품질, KMS 품질 등이 지식창출 및 공유 활동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검증되었으며, 개인태도는 지식창출 활동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창출은 지식공유 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식창출과 지식공유 모두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지식창출 및 공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디지털도서관과 지식관리시스템의 비교 분석을 통한 지식관리 통합모형 구현 (Implementation of KM Integration Model thru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Digital Library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 최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3-135
    • /
    • 2002
  • 지식관리 인프라의 구축에는 다양한 정보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와 통합이 필요하다. 특히 디지털도서관과 지식관리시스템은 조직 내·외부 지식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통합적인 시각에서 구현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관리의 주요 요소별로 두 시스템을 비교·분석하여 공통기반과 차이점을 도출하고 각각의 제한요소를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지식관리 통합모형을 제시하고자하였다. 정제된 외부지식을 적시적소에 공급하는 디지털도서관과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지식의 창출을 지원하는 지식관리시스템의 유기적인 연계와 통합은 지식관리의 성과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지식관리시스템의 단계별 분석 및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 김성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5-182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최근 들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지식의 정의 및 지식관리에 대해 살펴보고 지식관리시스템의 단계적 절차를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지식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논문은 효율적인 지식관리를 위해 이용자, 지식관리자, 지식관리 기술전문가가 하나의 파트너쉽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지식관리자로써 사서의 역할변화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의 기존문서, 웹문서 및 각종 멀티미디어 자료등 비정형정보를 지식시스템으로 축적, 유통시킬 수 있는 지식관리시스템 구현을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지식관리 아키텍처의 현황과 방향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in Knowledge Management Architecture)

  • 이해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36권1호
    • /
    • pp.103-124
    • /
    • 2005
  • 기관이나 회사에서 도입하는 지식관리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지식의 저장, 탐색 및 검색에 관련되는 지식관리 아키텍처에 관해 알아보았다. 먼저 기존에 발표된 문헌을 중심으로 지식관리 아키텍처의 개념을 살펴보았으며, 지금까지 발표된 관련된 이론을 정리해보고, 실제 사례에서 지식관리 아키텍처를 어떻게 운용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로써 실제 지식관리 아키텍처가 어떻게 활용되고, 어떤 특성을 가지고, 어떤 부분에 주력이 되어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가장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