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분류

Search Result 1,165,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on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Knowledge and Library Classification in the Epistemological Subject Viewpoint (인식론적 주제관점에서의 지식과 문헌분류의 전개고)

  • 김옥희;남태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4.12a
    • /
    • pp.133-136
    • /
    • 1994
  • 문헌분류는 지식분류에 입각하여야 한다는 분류의 제 1원리를 규명하기 위하여 지식의 발전과정을 인식론적 관점에서 규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식분류가 문헌분류에 어떤 영향력을 미쳤는가를 규명하였다. 주제개념은 주관적 관념론, 객관적 관념론, 실용주의, 유물론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따라 지식분류가 어떤 인식의 관점에서 전개되어 왔는지를 인도의 베다분류법을 비롯하여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식분류에서부터 현재의 머시럼, 브리테니카 3의 분류법에 이르기까지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지식분류와 문헌분류의 상보성을 규명하였다.

  • PDF

Construction of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for Sharing and Usage of Knowledge : a Case Study in KAERI (지식의 공유 및 활용을 위한 지식분류체계 설계방안 - 한국원자력연구소를 중심으로)

  • Yoo, Jae-Bok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5 no.1
    • /
    • pp.1-27
    • /
    • 2004
  • To share knowledge efficiently among our members on the basis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irst of all, we need to systematically design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that we can classify these knowledge wel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most suitabl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that all of us can share them i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To construct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all over the our organization, we established a few principles to design it and examined related many classification schemes. And I carried out 3 steps to complete the best desirable KAERI's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that is, (1) the step to design a draft of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2) the step to revise a draft of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3) the step to verify the revised scheme and to decide its scheme. The scheme completed as a results of this study is consisted of total 218 items : sections of 8 items, classes of 43 items and sub-classes of 167 items. I expect that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design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the frame to efficiently share knowledge among our members when we introduc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our organization. In addition, I expect that steps to design its scheme as well as this scheme itself can be applied when design a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at the other R&D institutes and enterpris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Bacon의s Knowledge Classification and SAGOJEONSEO Classification (지식분류에 대한 동서양의 비교 - 베이컨의 분류와 사고전서를 중심으로 -)

  • 이명규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1 no.2
    • /
    • pp.25-38
    • /
    • 2000
  • A knowledge classification is based on different types of knowledge system. which depends on classified objects, purposes, times, regions, and scholars. The classified contents. however, do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times or regions, 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representation methods and in arrangement priority of representing knowledge, Knowledge or library classification reflects the structure of a contemporary society and is decided by social philosophy of the time. The basic structure of knowledge system in the past was formed in the ancient time, and since then, it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In the course of this process, the development of studies has generated other branches of studie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changing the whole system of studies. This kind of development will continue to occur and many new branches of information will appear. resulting in taking each category of knowledge classification.

  • PDF

A Study on the Developing Standard Classsification of the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국가지식정보 자원 분류 체계 표준화 연구)

  • Ko Young-Man;Seo Tae-Sul;Cho Sun-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0 no.3
    • /
    • pp.151-17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out a draft for the standard classification of the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named "Knowledge Classification 'KC' is suggested. KC consists of 3 classification systems classification by subject, type of resources and type of media. The classification by subject has 12 main classes, and each main class has divisions. Main classes consist each of major discipline or group of related disciplines. The type of resources is classified by 10 types of content, likewise numbered 0-9, and the media of knowledge are classified by 8 types. likewise 0-7. In the Practice the notation always consists of 2 characters and 2 digits. The first character designate main class and the second character designate division. The first number designate the type of resources and the second number designate the type of media.

연구활동 분류의 이론적 검토

  • 설성수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 no.3
    • /
    • pp.19-33
    • /
    • 1999
  • 우리는 지식활동의 원천인 연구활동을 파악하기 위한 분류체계를 만들고자 하였다 그러나 지식활동분류와 관련된 이론체계가 정립된 것이 없어서 다양한 시가과 방법론을 검토한 후 이들을 체계화하며 새로운 방법론을 도출하였다. 이 논문은 바로 그 과정에서 이루어진 이론적인 작업을 정리한 것이다. 우리는 지식이라는 거대한 실체보다 새로운 지식을 추가하는 연구활동이 중요하다는 인식에 기반하였다. 또한 연구활동과 연구활동의 목적이 연계되고 학제연구라는 새로운 지적활동의 패턴이 자유자재로 반영되도록 하였다.

  • PDF

Knowledge of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Realization for a Specialist Distributed System (지식경영시스템의 지식 및 전문가 분류시스템 구현)

  • Seung Chang-Kyun;Kim Jeong-Woong;Yang Hae-So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427-430
    • /
    • 2006
  • 지식과 정보의 양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일정한 기준으로 지식을 분류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분류정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노력이 요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지식 원천에서 여러 경로를 통해 지식들이 수집되는 경우에 수집된 지식들을 지식경영시스템의 지식 맵에 맞추어 분류한다. 또한 지식경영사용자 중 특정분야에 관심이 있다고 표시한 사용자나 그 분야의 전문가에게 새로 수집된 지식을 추천하게 하여 신속하게 관련지식을 제공하여 줄 수 있게 한다. 이는 사용자의 사용이력을 가지고 사용자의 전문분야를 선정하는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는 국방 분야를 비롯한 여러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여 지식 분류를 위한 노력을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전문분야 파악을 통해 전문분야 정보관리 가 용이해 진다.

  • PDF

Studying Knowledge Management in Information System Field;Research Trend Analysis (정보시스템 분야에서의 지식경영 연구 경향분석)

  • Lee, Choong-Chung;Shin, Ho-Kyoung;Lee, Yoon-Hee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427-438
    • /
    • 2005
  • 본 연구는 기존 IS 연구 분야에 있어서 지식경영연구의 주된 연구 방향은 무엇인지, 그리고 기존의 지식경영연구들이 다루고 있는 지식경영의 특성과 내용에 따른 지식타입은 어떤 종류가 있는지를 연구 분류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알아보았다. 기존의 산발적인 지식경영 연구의 분류 방법론을 종합한 연구 분류 프레임워크에 준하여, 지식경영 연구의 국내외 주요 학술지 6종을 선정하여 1999년 이후 5년간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연구 분류 프레임워크의 세 가지의 대 분류인 지식경영 프로세스, 지식변환 형태, 그리고 지식경영 연구 분석단위로 본 지식경영 연구는 조직 내 지식활용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그 뒤로 조직 간 및 개인 지식활용 프로세스 연구, 조직 간 및 조직 내 지식전이 및 공유 프로세스 순으로 지식경영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식활용프로세스이외의 개인 분석단위의 연구와 지식창조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거의 수행되지 않은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지식경영 관련 연구들에서 나타나는 연구의 최근 경향을 밝혀내고, 향후 지식경영 연구에 있어서 기초연구로서의 역할과 균형적 연구 발전 방향에 대한 제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Bayesian Automatic Document Categorization Using Apriori-Genetic Algorithm (Apriori-Genetic 알고리즘을 이용한 베이지안 자동 문서 분류)

  • Go, Su-Jeong;Lee, Jeong-Hyeo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3
    • /
    • pp.251-260
    • /
    • 2001
  • 기존의 베이지안 문서 분류는 문서의 특징 표현에 있어서 단어간의 의미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Apriori-Genetic 알고리즘을 이용한 베이지안 문서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Apriori 알고리즘은 단어간의 의미를 반영한 연관 단어의 형태로 문서의 특징을 추출하며 추출된 연관 단어로 연관 단어 지식베이스를 구축한다. Aprrori 알고리즘만으로 연관 단어 지식베이스를 구축할 경우, 지식베이스 안에 부적당한 연관 단어가 포함된다. 따라서 문서 분류의 정확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Genetic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연관 단어 지식베이스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베이지안 확률을 이용하는 분류자는 최적화된 연관 단어 지식베이스를 기반으로 문서를 클래스별로 분류한다. Apriori-Genetic 알고리즘을 이용한 베이지안 문서 분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Apriori 알고리즘을 이용한 베이지안 문서 분류 방법, 역문헌빈도를 사용한 베이지안 문서 분류 방법, 기존의 단순 베이지안 분류 방법과 비교하였다.

  • PDF

Knowledge Assets Classification in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Construction Characteristic and Information (건설업 특징과 생성정보를 통한 건설업 지식자산 분류방안)

  • Lee Tai Sik;Lee Jin 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333-336
    • /
    • 2001
  • The future industry, intangible assets, like expertise, customer satisfaction, and employee's volition and capability, create more company value than any other components. The company's outcome mostly depends on managing these intangible knowledge assets. Construction industry is trying to adapt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o manage their knowledge assets, but Hey do not build up knowledge assets definition and knowledge assets classification as much as other industries do. Most researches related knowledge assets classification are not concentrated on construction industry so it is need to define knowledge assets and establish knowledge assets classification of construction based on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s. With this research result, construction knowledge assets classification can be the basis of knowledge asscts evaluation and knowledge map for knowledge management system.

  • PDF

A Study on the Link Between Knowledge and Classification (지식과 분류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정연경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1 no.2
    • /
    • pp.5-23
    • /
    • 2000
  •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nd 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schemes have properties that show the representation of entities and relationships in structures that reflect knowledge being classified. Four representative classifying methods. i. e. hierarchies, trees, paradigms, and faceted analysis those brings new knowledge are analyzed and those strengths and weaknesses are described. Based upon the analysis, the links between knowledge and classification are verified. Finally a better way of representing knowledge structure through classification schemes in the future is sugges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