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기반산업론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Theory of Science-Based Industry (과학기반산업의 속성과 논점)

  • 설성수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4 no.1
    • /
    • pp.49-63
    • /
    • 2001
  • This paper aims at setting up a theory of science-based industry, discussing the patter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he issues of industrial change. The paradigms of technological change are changing rapidly from engineering-based to science-based innovation and industry. New paradigms are clearly distinctive from old paradigms, and hence raises several issues of the theory of industry.

  • PDF

Ontology-based Implementation of the Process-oriented Knowledge Map (온톨로지를 이용한 프로세스 기반 지식지도 구축)

  • Yoo, Kee-Dong;Hwang, Hyun-Seo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7 no.4
    • /
    • pp.87-97
    • /
    • 2012
  • A knowledge map is a diagramed network among knowledge which is related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he referential navigation. To formally as well as structurely represent various contextual use of knowledge, the ontology technology has been recommended to be applied. This research proposes a methodology to build the ontology-based knowledge map promoting referential navigation between knowledge.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concepts, an ontology-based knowledge map is designed as an example, which demonstrates whether the designed knowledge network in the knowledge map is underpinned by the referential navigation between knowledge.

Technological Regime, Knowledge Spillover and Innovation (산업의 기술체제 특성이 지식전파와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 Hong, Jang-Pyo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8 no.2
    • /
    • pp.147-174
    • /
    • 2010
  • This paper aims to analysis sectoral innovation patter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Sectoral innovation system approach proposed that the specific pattern of innovative activity and knowledge spillover in an industry can be explained as the outcome of different technological regimes. Technological regime is defined by the particular combination of technological opportunities, appropriability of innovations, cumulativeness of technical advances and properties of the knowledge base. Based on a sample of 2,882 firms in manufacturing sector, this paper provides empirical estimat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firm's product innovation and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Results of the analysis provide considerable support to the hypothesis that firm's product innovation and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are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underlying technological regime. In the industry based on the tacit and specific knowledge, firm's product innov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This paper also shows that high stability in the ranking of innovators are related to high degrees of cumulativeness and appropriability.

  • PDF

산업경기예측 프로세스를 위한 온톨로지 개발에 관한 연구

  • Jang, Seong-Won;Lee, Geon-Cha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043-1048
    • /
    • 2007
  • 산업경기예측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예측관련 정보의 지식표현뿐 아니라 예측 프로세스를 공식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예측 정보들과 함께 예측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예측 온톨로지 개발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예측 정보들에 대한 지식표현을 위해서 의미적 지식기반인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예측 프로세스의 절차적 표현을 위해서는 프로세스 구성요소에 기반한 온톨로지 개발방법을 제안하여 예측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표현한다. 이를 국내의 대표적인 산업이며 경기변동이 심한 반도체 산업에 적용하여 경기예측에 대한 온톨로지를 구축한다. 완성된 온톨로지는, 실제로 예측을 계획하고 구축하고 표현하기 위한, 미래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인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echnological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in Large-Scale Facility-Intensive Steelworks

  • Jung, Kyung-Hee;Lee, Sang-Kyu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6 no.3
    • /
    • pp.358-37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일관제철 공정의 철강산업과 같은 대규모 기계설비 집약적 산업 환경에 적합한 기술지식 경영시스템에 대해 고려하고자 한다.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철강업체의 전략적 기술경영은 핵심기술에 대한 지식경영 활동과 연계될 때 비로소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철강업체의 지식경영은 암묵적 혹은 형식적 제철공정 기술지식의 창출, 획득 및 공유 등의 활동을 통해 활성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철강산업 현장의 기술지식 관리대상으로 조업설비 프로세스 및 무형 지식자산의 범위를 정의하고, 일관제철 공정의 핵심기술 로드맵에 따라 기술지식 경영활동에 적합한 계층적 지식경영 조직구조를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제철공정 노하우 등과 같이 암묵적 기술지식을 획득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기술지식 획득 방법론을 수립하고 이를 기초로 인터넷에 기반을 둔 제철공정 기술지식 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Knowledge Base and Future Skills Needs through Patentometrics - Case of Battery Industry (특허정보분석을 활용한 지식단위의 변화와 미래숙련수요 분석 - 이차전지 사례를 중심으로)

  • Hwang, Gyu-Hee;Shim, We;Coh, Byoung-Youl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4 no.spc
    • /
    • pp.1209-1231
    • /
    • 2011
  •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n analysis method on future skills needs for emerging new knowledge on the basis of technology outlook and patent analysis. It will extract knowledge base of patent classifica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will demonstrate that the density and centrality of knowledge bas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aradigm shift of battery industry. Furthermore, on the basis of that, it will execute diagnosis on current related curriculum and present necessary improvement items of curriculum. This study tries not only to raise the utilizing level of patent analysis by demonstrating how patent analysis is used in future skills needs analysis, but also to advance the analysis method for future skills needs.

  • PDF

A study on the method of Patent Audit using patent index analysis - Focused on the PRI(Public Research Institute) - (특허지표 분석을 통한 특허실사 방법론 고찰)

  • Park Jung-Kyu;Heo Eun-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5.10a
    • /
    • pp.637-646
    • /
    • 2005
  • 우리나라 정부는 공공연구기관에서 개발된 기술을 민간부문에서 사용을 극대화하여 기업 및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기술이전과 기술평가 및 기술정보유통 등의 기반을 확충하여 산업전반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기술이전촉진법 제정(2000. 1. 28). 이와 같은 변화는 국가경쟁력의 무게중심이 산업기반경제에서 지식기반경제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것이며, 미국을 비롯한 선진 국가들의 움직임은 우리나라보다 10년 이상 앞선 상태이다. 지식기반경제에서는 특허의 전략적 활용이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각 연구기관 및 기업은 특허의 포트폴리오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특허의 사업화 가능성을 판단하여 우수 특허군을 분류하거나 특허의 등록유지에 관한 결정을 내릴 때 현재 특허실사 맵, Risk-Return chart, 전문가 심의 방법을 범용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세 가지 방법은 평가자 개인의 주관적 입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본 고에서는 기존의 특허실사 방법론의 맹점인 평가의 주관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정보인 특허를 사용하여 고안된 두 가지 특허지수(CPP, TCT)를 사용하여 객관적인 특허실사 방법을 제안하고 실증분석을 통하여 사용 가능성을 고찰해 보았다.

  • PDF

Explanation-Based Data Mining in Data Warehouse (데이터웨어하우스 환경에서의 설명기반 데이터마이닝)

  • 김현수;이창호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5 no.2
    • /
    • pp.15-27
    • /
    • 1999
  • 산업계 전반에 걸친 오랜 정보시스템 운용의 결과로 대용량의 데이터들이 축적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지식을 추출하기 위해 여러 가지 데이터마이닝 기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특히 데이터웨어하우스의 등장은 이러한 데이터마이닝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 제공 환경을 주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의 적절한 판단과 해석을 거치지 않은 데이터마이닝의 결과는 당연한 사실이거나, 사실과 다른 가짜이거나 또한 관련성 없는(Trivial, Spurious and Irrelevant) 내용만 무수히 쏟아낼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마이닝의 결과가 비록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다 하더라고 그 정당성과 유용성에 대한 검증과정과 방법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데이터마이닝의 가장 어려운 점은 귀납적 오류를 없애기 위해 사람이 직접 그 결과를 해석하고 판단하며 아울러 새로운 탐색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인 이러한 데이터마이닝에서 추출된 결과를 검증하고 아울러 새로운 지식 탐색 방향을 제시하는 방법론을 정립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연관규칙탐사(Associations)로 얻어진 결과를 설명가능성 여부의 판단을 통해 검증하는 기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위해 도메인 지식(Domain Knowledge)과 연관규칙탐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지식표현방법으로 관계형 술어논리(RPL : Relational Predicate Logic)를 개발하였다.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연관규칙에 대한 RPL로 표현된 도메인 지식으로서 설명됨을 보이게 한다. 또한 이러한 설명(Explanation)을 토대로 검증된 지식을 일반화하여 새로운 가설을 연역적으로 생성하고 이를 연관규칙탐사를 통해 검증한 후 새로운 지식을 얻는 설명기반 데이터마이닝 구조(Explanation-based Data Mining Architecture)를 제시하였다.

  • PDF

Sectoral Patter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한국 제조업의 산업별 기술혁신패턴 분석)

  • Hong, Jang-Pyo;Kim, Eun-Young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7 no.2
    • /
    • pp.25-5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sectoral patter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Pavitt(1984) put forward a well-known taxonomy that industries three groups of industries characterized by markedly different innovative modes, namely science-based, production-intensive and supplier-dominated industries. Using Pavitt's taxonomy as a framework, we try to explai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sectors in the sources and impact of innovations. Based on a sample of 2,371 firms in manufacturing industry, this paper investigated its relevance to explain the sources and directions of innovative activities in Korean industries. Empirical study shows that in supplier dominated firms most process innovations come from suppliers of equipment and materials. In science-based firms product innovation is produced internally, based on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underlying sciences in the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It also shows that production-intensive firms have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innovativeness and customer collaboration. This explanation has implications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sources and directions of technical changes, the formation of technological advantages at the level of both region and country.

  • PDF

디지털 신경망을 고려한 학습모형개발

  • 노귀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0.11a
    • /
    • pp.763-780
    • /
    • 2000
  • 21세기 경영전략 중 속도와 유연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디지털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기술이다. 1959년 Edith Penrose 가 "경영자원론적 기업론"에서 핵심역량 이론을 통해 연구한 후로, 지식증가의 중요성은 더 이상 무시될 수 없게 되었다(Penrose,1959). 지식 및 지식경영에 대한 개념이 구체적으로 형성되기 전에 1980년대 초부터 실무에서 먼저 지식의 중요성을 깨닫고 기업에서 이러한 지식을 어떻게 축적ㆍ관리 할 것인가에 초점을 둔 활동들이 수행되었다. 특히, 상당부분의 관심이 기술적 지식을 창출, 조직화, 이용하고 그래서 결과적으로 혁신을 가져올 원천들을 응용하는 방법에 집중되고 있다. 특히, 그 초점은 새로운 제품이나 프로세스를 창출하거나, 기존 제품 혹은 프로세스를 개선해서 보다 잘 시장의 요구에 부합하고 지속적으로 경쟁우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Cole, 1998).(중략)1998).(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