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시의미

Search Result 236,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AIM (Agile and Intelligent Manufacturing) 관리 제어 시스템을 위한 PGL(Petrinet-type Graphical Language)의 설계

  • 김홍록;신연용;신석신;서일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18-218
    • /
    • 2004
  • 자동화된 조립 생산분야에서 복잡하거나 정교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Workcell 안에서 여러개의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지능적인 제어기를 개발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새롭게 만들어지는 생산 장비의 각 디바이스에서 센서들과 엑츄에이터들을 동시성(Parallelism)과 실시간성(Real timeness)을 고려하여 어떻게 작업 지시를 프로그래밍하는가 하는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대부분의 장비에서 사용하는 작업 교시 방법들은 특정한 동작을 나타내는 의미 명령어로 구성된 작업을 기술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장비업체가 일방적으로 정한 작업 지시를 입력하는 형태로서 개발되었다.(중략)

  • PDF

Generation of Natural Referring Expressions by Syntactic Information and Cost-based Centering Model (구문 정보와 비용기반 중심화 이론에 기반한 자연스러운 지시어 생성)

  • Roh Ji-Eun;Lee Jong-Hyeok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1 no.12
    • /
    • pp.1649-1659
    • /
    • 2004
  • Text Generation is a process of generating comprehensible texts in human languages from some underlying non-linguistic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Among several sub-processes for text generation to generate coherent texts, this paper concerns referring expression generation which produces different types of expressions to refer to previously-mentioned things in a discourse. Specifically, we focus on pronominalization by zero pronouns which frequently occur in Korean. To build a generation model of referring expressions for Korean, several features are identified based on grammatical information and cost-based centering model, which are applied to variou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e demonstrate that our proposed features are well defined to explain pronominalization, especially pronominalization by zero pronouns in Korean, through 95 texts from three genres - Descriptive texts, News, and Short Aesop's Fables. We also show that our model significantly outperforms previous ones with a 99.9% confidence level by a T-test.

Topic Continuity in Korean Narrative (한국 설화문에서 주제표현의 연속성)

  • Chong, Hi-Ja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89.10a
    • /
    • pp.288-295
    • /
    • 1989
  • 언어사용 목적이 효율적인 정보교환에 있다. 정보교환에 필요한 의미는 하나의 문에서보다는 담화에서 전달되기 때문에 담화분석을 토대로 의미, 형식, 기능의 관계를 검토하여 언어의 한 현상을 기술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는 자료분석을 토대로 한국 설화문에서 주제표현의 방식과 연속성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측정된 구문들은 영조응,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지시사 뒤에 오는 명사, 소유격을 따르는 명사, 한정적 명사. 비한정적 명사, 조건절, 모두 8개 구조들이다. 이들은 주제표현의 연속성 정도의 차이를 보여 준다. 이는 이들의 통사적 특징이외에 다른 화용상의 요인들이 작용함으로 생기는 현상이다.

  • PDF

굽타의 진리 수정론

  • Song, Ha-Seok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
    • /
    • pp.65-93
    • /
    • 1997
  • 거짓말쟁이 역설에 대한 전통적인 설명은 다음 두 가지로 주어진다. 역설을 일으키는 거짓말쟁이 문장이 자기지시적이기 때문에 역설이 발생하므로 자기지시적 문장을 금함으로써 그 역설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 첫 번째이고, 둘째는 모든 문장을 참이나 거짓이라고 주장하는 진리값에 대한 배중률(principle of bivalence)에 집착하기 때문에 그 역설이 발생한다고 생각하고 제3의 진리값을 갖는 문장이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설명과 달리 진리 개념을 비일관적인 개념으로 보고 진리 술어와 그 외의 술어의 용법상의 차이를 설명함으로써 거짓말쟁이 역설에 대한 새로운 설명을 시도하고자 하는 것이 굽타의 "진리 수정론"이다. 굽타의 진리 수정론에 따르면, 진리 술어 외의 술어들은 그 외연이 고정적으로 산출되고 그 과정은 적용 규칙(rule of application)에 의해서 설명되지만 진리 술어는 순환적 정의처럼 고정된 외연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단지 가설적 외연만 만들어 낼 뿐이다. 이렇게 진리술어의 가정적 외연을 산출해내는 과정은 수정규칙(rule of revision)에 의해서 설명된다. 요컨대 진리 수정론은 순환적 개념도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론적 구조틀이 있다는 것과 진리개념이 바로 그러한 의미구조틀에 의해서 의미를 갖는 순환적 개념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굽타는 그러한 의미구조 틀을 일정한 규칙을 갖는 함수로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즉 진리개념을 일관적인 것으로 보고 거짓말쟁이 역설을 해결해야 할 병리적 현상으로 보는 진리의 일관성론과 달리 굽타의 진리 수정론은 진리술어 자체가 비일관적이기 때문에 거짓말쟁이 역설은 그 술어의 속성상 자연스러운 것이지 피해야 만할 병리적 현상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필자는 의미론적 역설에 대한 여러 가지 설명 중에서 진리 수정론이 가장 설득력 있는 것으로 인정하고 그에 대한 가능한 반론을 검토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시도했다. 또한 진리 수정론을 통해서 거짓말쟁이 역설을 설명하고 -해결하려는 것이 아니라- 나아가서 진리 개념에 대한 이해를 제공해보려고 시도했다.

  • PDF

Intelligent Ship s Steering Gear Control System Using Linguistic Instruction (언어지시에 의한 지능형 조타기 제어 시스템)

  • Park, Gyei-Kark;Seo, Ki-Ye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2 no.5
    • /
    • pp.417-423
    • /
    • 2002
  • In this paper, we propose intelligent steering control system that apply LIBL(Linguistic Instruction Based Learning) method to steering system of ship and take the place of process that linguistic instruction such as officer s steering instruction is achieved via ableman. We embody ableman s suitable steering manufacturing model using fuzzy inference rule by specific method of study, and apply LIBL method to present suitable meaning element and evaluation rule to steering system of ship, embody intelligent steering gear control system that respond more efficiently on officer s linguistic instruction. We presented evaluation rule to constructed steering manufacturing model based on ableman s experience, and propose rudder angle for steering system, compass bearing arrival time, meaning element of stationary state, and correct ableman manufacturing model rule using fuzzy inference. Also, we apply LIBL method to ship control simulator and confirmed the effectiveness.

Intelligent Ship s Steering Gear Control System Using Linguistic Instruction (언어지시에 의한 지능형 조타기 제어 시스템)

  • 박계각;서기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93-97
    • /
    • 2002
  • In this paper, we propose intelligent steering control system that apply LIBL(Linguistic Instruction Based Learning) method to steering system of ship and take the place of process that linguistic instruction such as officer's steering instruction is achieved via ableman. We embody ableman's suitable steering manufacturing model using fuzzy inference rule by specific method of study, and apply LIBL method to present suitable meaning element and evaluation rule to steering system of ship, embody intelligent steering gear control system that respond more efficiently on officer's linguistic instruction. We presented evaluation rule to constructed steering manufacturing model based on ableman's experience, and propose rudder angle for steering system, compass bearing arrival time, meaning element of stationary state, and correct ableman manufacturing model rule using fuzzy inference. Also, we apply LIBL method to ship control simulator and confirmed the effectiveness.

3D Human Motion Control System using Visual Script (시각 스크립트 기반 3차원 인체 동작 제어 시스템)

  • Cha, Gyeong-Ae;Kim, Sang-Wook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6 no.5
    • /
    • pp.536-542
    • /
    • 2000
  • This paper proposes Visual Script Language which can direct a type of motion to 3D human model and create by dragging gesture like as we can express a certain meaning with hand gestures. Traditional motion control technique of articulated figures such as human needs a complex task that draws on highly developed human skills. So it will reduce the amount of motion specification to provide the motion control method that allow users to describe characters' motion at the higher level abstraction. Visual script is the visual gestures to direct various human motions, so users can express the spatial attributes of a motion such as the path of moving with high-level concepts if they use visual script. And we can show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tion of human model directly and intuitively by development of 3D human motion control system based on visual script.

  • PDF

통영시 방조제 매립부 지반의 분포 특성 연구

  • 김성욱;안윤희;김근수;이현재;최은경;이창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4a
    • /
    • pp.153-155
    • /
    • 2001
  • 법송 방조제 조성지역 매립부 지반의 측방 및 수직변화를 조사하였다. 매립부 지반은 측방 및 수직으로 구성광물과 풍화정도에서 차이를 보여준다 이러한 차이는 기원암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편광현미경분석, 주사전자현미경분석, X-선회절분석에서 공통적으로 인지 할 수 있다. 해성점토층의 출현심도는 10m의 일정한 심도로 분포하여 방조제 축조이전 해성층이 수평층이었음을 지시하며 이러한 심도는 매립층의 하한선이 된다. 매립물질의 토색,토성. 풍화도, 구성광물차이에 의한 매립부 지반은 모두 같은 모재를 사용하여 매립되지 않았음을 지시하며 매립물질이 층서구조를 가지고 있는 점은 방조제의 수 차례에 걸쳐 조성되었음을 지시한다. 조사 결과 방조제 코어부와 성토부는 서로 다른 시기에 매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성토부의 조성은 서로 다른 기원지의 모재를 사용하여 3회 이상에 걸쳐 시행되었음을 의미한다.

  • PDF

Causal Computationalism and Language Understanding (인과적 계산이론과 언어이해)

  • Kong, Yong-H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2.10a
    • /
    • pp.629-636
    • /
    • 1992
  • 컴퓨터의 언어이해 가능성을 반박하는 주된 근거는 형식적 기호들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이 의미론을 다룰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과적 계산이론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이 순전히 구문론적인 것은 아니고 컴퓨터 내부의 기호적 표상의 처리과정에서 의미론적인 지시와 해석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f Social Worker's Beliefs on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Practice Modes (사회복지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지시적 실천정도)

  • You, Young-j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no.36
    • /
    • pp.227-252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worker's beliefs on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which has been classified objectivism and constructivism and social work practice. As an epistemological position, constructivism is based on a view of knowledge that differs from that of objectivism, which holds that knowledge exists "out there" as objective truth. The focus of this paper is a examination on epistemological beliefs of social worker and social work practice. This paper proves that social work's epistemological beliefs have an effect on the practice modes.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social works have a higher constructivist veiws than objectivist veiws on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social worker who have a high level of objectivism show a positive determinative mode. It has suggested that the constructive theory offers useful epistemology to the social worker who should deal with the clients in uncertain situations. In conclusion, a social worker with a high level of constructivism use an approach that creats a more equitabl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 and client. This perspective will allows cliens to participate in the formulation of theories in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