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수정가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김득연의 <산중잡곡> 연구 - 지수정 경영과 관련하여 - (Study on Sanjungjapgok(山中雜曲) written by Kim Deuk-yeon(金得硏))

  • 남동걸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43권
    • /
    • pp.123-148
    • /
    • 2015
  • 김득연은 조선 중기를 살다간 인물로 관직에 나아갈 능력은 있었지만, 선조의 유지를 좇아 평생을 처사의 몸으로 살아간 인물이다. 그는 자신이 건립한 누정인지수정에서 많은 창작활동을 했는데, 시조 <산중잡곡>은 그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그가 경영한 지수정과 상당한 연관이 있다고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산중잡곡>을 김득연의 지수정 경영 목적과 관련하여 분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조선 중기는 고위관료의 전유물이었던 누정이 처사층까지 확대된 시기로, 김득연 역시 누정 경영에 대한 열망이 컸던 듯하다. 이에 30년 가까이 준비하여 60이 넘은 나이에 어렵게 지수정을 건립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지수정에 대한 애착이 상당하여 그의 만년 생활 대부분이 이곳에서 이루어진 듯하다. <산중잡곡>은 49수(혹은 53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사 <지수정가>를 지은 후 남은 뜻이 있어 창작한 작품이다. 동일한 제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연시조로 보기에는 그 연관성이 긴밀하지 못하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전혀 무관한 작품은 아니며, 연시조를 선호하는 그의 성향으로 보아 2~6수로 구성된 연시조 14편이 이어진 연작시조로 보았다. 이를 다시 긴밀성 있는 것들로 묶어보니 '산수자연의 감상', '학문수양과 강학', '시회와 계회', '유식과 자락' 등 크게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16~17세기 사설누정의 일반적인 기능과 거의 일치하는 이 4가지의 유형을 통해 작품을 분석한 결과, 김득연은 가사 <지수정가>에는 소략하게 서술했거나 싣지 못했던 내용들을 위주로 창작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김득연이 지역사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는 점과 누정을 경영하면서 만년을 보내고 있다는 점에 상당한 만족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한국(韓國) 주식시장(株式市場)에서 주가(株價)는 비합리적(非合理的)로 결정(決定)되는가? - 주가결정모형(株價決定模型)의 실증분석(實證分析)을 중심(中心)으로 -

  • 김규영
    • 재무관리연구
    • /
    • 제10권2호
    • /
    • pp.239-262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주가결정과정에 비합리적인 요소가 내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정가하기 위하여 Fama-French(1988)의 검증방법론을 이용하여 한국종합주가지수, 자본금규모별 주가지수, 산업 별 주가지수, 그리고 한경다우지수 등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주가의 평균회귀과정(mean-reverting process)이 주식수익률들간의 음의 자기상관관계를 유발한다는 관찰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미국에서의 실증분석 결과와는 판이하게 주식수익률들이 2년까지의 수익률계산기간(return horizon)에서 지속적인 양의 자기 상관을 갖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실증분식결과는 대상주가지수에 관계없이 일관성있는 패턴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Fama-French(1988)의 결과에 정면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실증분석 결과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경우 주가에 비합리적인 평균회귀요소(mean-reverting components)가 포함되어 있다는 가설을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것이 반드시 우리 주식 시장에서의 주가결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단지 본 연구에서 주장되고 있는 것은 우리 주식시장에서의 주가결정과정을 랜덤웍과 평균회귀과정의 합성 혹은 평균회귀과정 그 자체로 모형화하려는 시도는 실증적 증거에 뿌리를 두고 있지 않다는

  • PDF

과학기술사업 정가를 위한 인력양성지수의 개발 (Development of Manpower Cultivation Index for Evalu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Projects)

  • 박성현
    • 응용통계연구
    • /
    • 제15권1호
    • /
    • pp.165-177
    • /
    • 2002
  • 이 논문은 과학기술을 진흥시키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연구사업들이 과학기술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가를 평가하기 위한 인력양성지수를 제안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인력양성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대학원생(연구조원) 수, 연구조원 중에서 석·박사 학위 취득자 수와 취업자 수, 발표논문 수 등이다. 제안된 인력 양성지수에 의하여 과학재단의 우수연구센터 사업, 지역협력 연구센타 사업, 목적기초 연구 사업 등의 인력양성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이 사업들은 전반적으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상당부분 인력양성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