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속 가능한 농업

Search Result 37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김박사의 파워농업(4) - 지속가능한 농업과 녹색경제

  • Kim, Yong-Hwan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78
    • /
    • pp.32-33
    • /
    • 2012
  • 농업이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부, 소비자, 대학 그리고 농산업이 서로 협력하여 농업인이 생산성과 지속가능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법적 시스템 구축과 미래생명산업으로의 투자가 있어야 한다.

  • PDF

Exploring Practical Methods On Agriculture Technology Education of the Practical Ar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실과교과 농업 생명 기술 영역에서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실천 방안 탐색)

  • Kang, Kyoung-Ky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5
    • /
    • pp.509-51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actical method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agriculture technology. To archive this purpose, a case-study involving the specialized 'P school' was undertake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stimated value to not only the concept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but also integrated social, disciplinary, generation, intra-generation, and economic perspectives.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ggested plans for practical activities featuring which was all-rounded growth in circulating between education and the nature of the life. This study concludes that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 integration of agriculture, technology, and education, as well as hands-on activities are most effective.

21세기 지속가능한 농업의 대안-생활농업론

  • Do, No-Sa
    • 농업기술회보
    • /
    • v.43 no.6 s.507
    • /
    • pp.8-19
    • /
    • 2006
  • 과연 우리 농촌을 어떻게 지킬 것인가? 에 대한 물음에 이제까지의 인구증가에 기인한 상품과 소득 향상 위주의 공장 집약적 ‘생산성 농업론’에서 인구 감소시기를 맞이하여 생산자와 소비자인 사람 위주의 ‘생활 농업론’으로 우리의 눈을 돌려야 할 것이다. 이에 후계자(사람)를 갖고 있는 지속가능한 생활 농업론 즉 소량 다품목 중심의 자급자족적인 생활농, 겸업농을 창출하여 그들이 쾌적하고 자랑스럽게 살며 더불어 도시민은 양질의 농산물을 먹을 수 있는 도농상생의 농촌의 삶의 공간 형성이라는 최종 목표로 연구를 하고 있는 일본 쿠마모토대학 도구노 교수의 생활 농업론을 소개하고자한다.

  • PDF

Competitiveness of 'Saemi' in Sacheon Alluvial Fan as a Cultural-ecological Niche (문화생태적 적소로서 사천 선상지 '새미'의 경쟁력)

  • Dohyun Kim;Myeongcheol Jeong;Kichun Se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2 no.6
    • /
    • pp.516-532
    • /
    • 2023
  • This study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129 Saemies discovered based on field research conducted from September 2021 to June 2023 in the Sacheon alluvial fan area through ethnoscience and niche theory. The researcher viewed the Sacheon alluvial fan area as a suitable location for irrigation where both traditional and modern hydraulic facilities are used, and the cultural and ecological study of 'Saemi', a traditional irrigation facility that attracts attention for its public value for the ecologic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ustainable paradigm. By revealing its competitiveness, we aimed to contribute to finding ways to sustainably conserve and utilize Saemi. As a result of the study, Saemi is confirmed to be a competitive water facility in terms of cultural and ecological quality,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the times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I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technology is applied to traditional water treatment facilities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agriculture, it is expected that synergy will be created in productivity, public interest, and sustainability.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ies in Paddy Soil Under Organic and Conventional Farming Methods (유기 및 관행 영농법에 따른 논 토양 미생물 군집 분석)

  • Se yoon Jung;Yoon seok Kim;Ji hwan Kim;Hyuck soo Kim;Woon ki Moon;Eun mi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87-487
    • /
    • 2023
  • 농업 분야에서 미생물은 영양분 가용화, 유기물 분해 등 토양 영양분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토양 건강성 증진, 식량 안보 및 식품 건강 면에서 많은 활용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최근 유역 환경 건강성, 생물 다양성 보존, 효율적인 고품질 농산물 생산에 대한 관심이 커져, 지속 가능한 농업 중 하나인 유기농업과 관행농업 토양의 이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생물은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써, 미생물 다양성이 풍부할수록 토양 비옥도, 작물 성장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논 경작지를 대상으로 유기 및 관행농업 토양의 미생물 군집조성과 Alpha diversity analysis(Chao1, Shannon, Simpson index)을 통해 비교하였다. 경기도 양평군에서 유기 및 관행 논 지역을 각각 1지점씩 선정하였으며, 8월부터 11월까지 총 4회 현장 조사를 진행하였다. 미생물 분석은 차세대염기서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bacteria는 16S rRNA V3-4 영역, fungi는 ITS 3-4 영역을 sequencing 하였다. 미생물 군집조성은 문수준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속수준에서는 fungi 군집조성에 차이를 보였다. 예로 Ustilaginoidea 속은 관행 논 토양에서만 발견되었으며, 벼 이삭누룩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과도한 질소 비료 시비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종 다양성은 bacteria diversity의 경우 관행 논 토양에서 높게 측정되는 반면, fungi diversity의 경우 유기 논 토양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체계적인 시비 관리 통해 미생물 군집은 조절될 수 있으며, 관행농업은 적절한 시비를 통해 토양 건강성 및 식품 건강성 면에서 유기농업과 비슷한 효과를 보여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