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속도

Search Result 31,139, Processing Time 0.058 seconds

Sustainable Value for the Sustainability Evaluation of Corporate: Focused on Evaluation based on Sustainability Report (지속가능성보고서를 토대로 한 기업 지속가능가치평가)

  • Nam, Sa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0
    • /
    • pp.339-348
    • /
    • 2009
  •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approach to measure corporate contributions to sustainability called Sustainable Value. With some global corporations which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crisis and their social responsibility, enterprises are positively accept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Also, publication of the sustainability report is proliferating which is showing the enterprise's strategy, activity, result and influence in environmental, economic, social cases to the stakeholder. However, to settle and proliferate this current, it rests with how to evaluate enterprises sustainability in reasonable and reliable figure. In this context, what introduced and taking effects are sustainability report evaluation and awarding system. But the quality of sun stainability report and its content's depth and the evaluation of enterprise's sustainability itself should be distinguished. Because the enterprise which published excellent graded sustainability report is not always the enterprise that is sustainable. Then, how could we prove the result of enterprise's sustainable management based on sustainability report? This paper is to find the answer and to utilize it based on sustainability report, particularly sustainable value model as the central figure.

A Study on the Meaning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in the Ecological Ethics (생태적 지속가능성의 생태윤리적 의미에 대한 연구)

  • Byun, Sun-Yong
    • Journal of Ethics
    • /
    • no.85
    • /
    • pp.167-186
    • /
    • 2012
  •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sustainability in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cological ethics, and suggests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In the discussion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the relation between sustainability and change should be regarded as not conflictual but interactive. The concept 'ecological' in this context means network, and the concept 'sustainability' mean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ing being(or beings) which constitutes ecological system and its unchanging being(or whole relation). So there are two axes of human and ecological system, and three elements namely network which means mutual dependence of human and nature, sustainability which means the maintenance of ecological relations, and responsibility which humans should take for the sustainability, in the ecological sustainability. The maintenance between being and relations of beings, changing sustainability, the priority of being to non-being, mutual interdependence on the basis of solidarity of beings are important values in the ecological sustainability.

MANAGEMENT TREND - 지속가능경영에 기여하는 HR

  • Song, Ju-Heon
    • Cement
    • /
    • s.198
    • /
    • pp.145-149
    • /
    • 2013
  •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과 노력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구성원들에게 지속가능경영을 내재화 시키고 보다 장기적 관점의 인적자원관리로 기업의 지속적 성장에 기여하는 '지속가능 인적자원관리'(Sustainable Human Resource Management)가 새롭게 주목 받고 있다. 여기서는 LG경제연구원 원지현 선임연구원의 '지속가능경영에 기여하는 HR'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기업들의 사례를 분석하고 지속가능 HRM의 특징과 적용 범위, 효과에 대해 알아본다.

  • PDF

A Study on Effects of Hydrological Factors on Critical Duration of Design Storm - Centering on the Wi-Cheon Stream - (설계강우의 임계지속기간에 미치는 수문요소들의 영향에 관한 연구 - 위천 유역을 중심으로 -)

  • Lee, Jong-Kyu;Yang, Hee-Shng;Jang, K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681-686
    • /
    • 2004
  • 수공구조물의 설계를 위해서는 해당 수공구조물의 중요도에 따른 설계빈도 및 설계유량과 설계수위 등의 설정이라는 과정이 필요하다. 설계빈도는 하천설계기준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설물의 입지조건과 중요도에 따라 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며 설계홍수량은 확률강우량을 기초로 한 설계강우를 결정하고, 결정된 설계우량에 의한 유출량의 산정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설계수량의 산정에 있어서 설계강우의 지속기간 설정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설계빈도의 홍수량은 지속기간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설계강우의 지속시간 설정은 매우 중요한 설계인자가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IHP유역인 위천유역을 대상으로 최근 권장되고 있는 설계강우의 지속시간 선정을 위한 개념인 임계지속기간을 산정하여 임계지속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인자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IHP 유역인 위천 유역(동곡 외 4개 소유역)을 대상으로 설계홍수량의 첨두유출량이 최대로 발생하는 강우지속기간을 임계지속기간으로 설정하였으며, 설계홍수량의 산정시 설계강우로부터 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에서 이용되는 각종 수문요소들, 즉 강우시간분포와 유효우량 산정방법, 유출모형 그리고 면적의 변화에 따른 임계지속기간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임계지속기간의 개념을 고려할 설계강우의 지속기간을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각 수문요소별 산정방법은 국내 자료로부터 제안된 방법을 우선 사용하였으며, 임계지속기간의 개념에 따른 설계강우의 지속기간 산정을 위해 확률강우량 산정, 강우의 시간분포(Huff 분포, Yen & Chow의 삼각형 분포), 유효우량 산정방법(AMC-II, AMC-III, CN37), 대표단위도와 6가지 합성단위도법을 적용하였다. 산정 된 결과로부터 임계지속기간 산정에 영향을 주는 각 수문인자 중 강우시간분포와 유효우량 산정방법 그리고 유출모형에 대해 자자 검토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면적에 따른 임계지속기간과 유출량의 변화를 검토해 보았다.

  • PDF

Analysis on Critical Duration for Uncontrolled Single Detention Pond (자연방류형 단일저류지의 임계지속기간 분석)

  • Park, Jong-Young;Shin, Chang-Dong;Lee, J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413-141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인접하는 유역과 어떠한 동적인 상호작용없이 유출이 독립적으로 결정되는 자연방류형 단일저류지를 대상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임계지속기간 결정에 빈번히 이용되었던 최대첨두유량 발생시간, 최대저류용량 발생시간, 최대 저류비 발생시간을 기준으로 한 임계지속기간을 산정하여 분석하므로써 자연방류형 단일저류지의 임계지속기간의 결정에 있어 합리적인 성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적용결과, 최대 저류용량을 기준으로 한 경우에는 저류지 규모와 같은 제약조건을 가져오게 되고, 최대 저류비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는 강우지속기간에 따라 저류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므로 두 기준을 통하여 임계지속기간을 결정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허용방류량 고정개념을 통하여 최대 저류비, 최대 저류용량을 통하여 임계지속기간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자연방류형 단일 저류지에서는 최대 저류용량을 통하여 적정 임계지속기간을 검토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최대 저류비를 이용하여 자연방류형 저류지에서의 최대 저류비를 발생시키는 시간분포를 정리한 결과 전체적으로 Huff 2분위가 최대 저류비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첨두저류비 변화율을 검토한 결과 매우 제한적인 조건이기는 하지만 허용방류량 고정개념을 이용한 경우에 한하여 지속기간별 최대 첨두유량의 임계지속기간과 자연방류형 단일저류지의 임계지속 기간을 동일하게 간주하는 것이 큰 무리는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Estimating long-term sustainability of real-time issues on portal sites (포털사이트 실시간이슈 지속가능성 평가)

  • Chong, Min-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2
    • /
    • pp.255-260
    • /
    • 2019
  • Real-time search keywords are not only limited to search keywords that are rapidly increasing interest in real-time, but also have a limitation that they are difficult to determine the sustainability as there is a difference in ranking between portal sites. Estimating sustainability for real-time search keywords is significant in terms of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and providing some predictability. In particular, long-term search keywords that last for more than a month are of high value as long-lasting social issu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interest based on the ranking of the real-time search keywords and the duration based on sustained weeks, days and hours of real-time search keywords by each portal site and the integrated portal site, and then estimating sustainability based on high level of interest and duration, and present a method to derive real-time search issues with high long-term sustainability.

Enhancement in Stability of Foam Generated with Cationic Surfactant Solutions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거품 지속성 증진방법 연구)

  • Kim, Hongyeol;Jeong, Seung-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4 no.11
    • /
    • pp.735-742
    • /
    • 2012
  • This study tried to find a suitable method for enhancing the foam stability of cationic surfactants that normally generate less foam or no foam. Several trials were made to enhance the foam stability: addition of anionic surfactant, colloids and polymer. Cationic starch (CA-ST) did not form foam at all, while the foam stability of two other cationic surfactant also showed low levels; methyl triethanol ammonium methyl sulfate distearyl ester (CEQ90) for 46 sec. and Cet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CM29) for 31 seconds. Foam stability of cationic surfactan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addition of anionic surfactant, sodium dodecyl sulfate (SDS). Foam stability of CA-ST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addition of SDS, while those of CEQ90 and CM29 were decreased. Addition of colloids ($SiO_2$, kaolin) and polyvinyl alcohol (PVA) enhanced foam stabilities of CEQ90 and CM29. However, CA-ST did not form foam even in the presence of colloids or PVA. Effect of simultaneous addition of colloids and anionic surfactant on foam stability of cationic surfactant showed that foam stability of cationic surfactant was more influenced by addition of anionic surfactant than colloids. Effect of simultaneous addition of PVA and anionic surfactant on the foam stability of cationic surfactant also showed that presence of anionic surfactant significantly affect the foam stability of cationic surfactant. Foam stability of CA-ST was greatly increased to 8,780 seconds by addition of SDS 0.14% and PVA 2.5%. The foam stability of CA-ST was 8 times higher than CEQ 90. This study suggested that cationic surfactants not forming foam can generate foam by addition of anionic surfactant and its stability can be additionally increased by addition of colloids and PVA.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enhancement in foam stability of cationic surfactant was prominently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of anionic surfactant added.

Rainfall Quantile Estimation based on Scaling Invariance Property (강우자료의 지속기간별 스케일링 성질을 이용한 확률강우량 산정)

  • Jung, Young-Hun;Kim, Soo-Young;Kim, Tae-So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538-1542
    • /
    • 2007
  • 확률강우량은 일반적으로 년최대 강우량자료를 바탕으로 빈도해석을 실시하여 산정하며, 국내에서는 주로 매시각별로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지속기간 1시간에서 24시간 사이에 대하여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도달시간이 매우 단시간인 도시 유역의 확률강우량 산정을 위해서는 지속기간 15분 혹은 지속기간 30분과 같은 짧은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의 추정이 필요하며, 이와는 반대로 지속기간 24시간 이상의 장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의 추정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관측되지 않은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 우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강우자료의 지속기간별로 일정한 스케일이 유지된다는 스케일링 성질(Scaling Invariance Property)을 적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지역의 지속기간별 년최대 강우량자료를 구축한 뒤 L-모멘트법으로 산정된 매개변수와 스케일링 성질을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한 후 이를 기존의 빈도해석 결과에 의한 확률강우량과 비교하여 적용성을 판단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Huff's Method (Huff방법의 개선방안)

  • Jang, Su-Hyung;Yoon, Jae-Young;Yoon, Yo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50-185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Huff(1967) 방법의 국내유역 적용을 위한 개선방안으로서 유역내.외 관측소의 호우사상별로 점우량 25.4mm이상과 면적우량 12.7mm이상의 자료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강우지속기간 등급별 최빈분위의 대부분이 면적우량과 같은 분위가 선택되어 유역의 대표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교부(2000) Huff 방법과 본 연구의 방법으로 시간분포 시킨 결과 지속기간별 첨두강우강도의 크기는 본 연구의 방법으로 산정된 값이 컸으나, 지속기간에 따라 일관된 경향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전술한 두 방법에 의해 시간분포 시킨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입력으로 하여 유입수문곡선을 모의하였다. 첨두강우강도의 경우와는 달리 지속기간별 첨두홍수량의 값은 지속기간 12시간을 기준으로 지속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두 방법에 의한 값의 차이가 커졌다. 특히, 임계지속기간을 고려한 첨두홍수량에서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지속기간별 첨두홍수량 차이에서도 유사한 특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지속기간에 관계없이 하나의 누가곡선을 이용해왔던 기존방법에서 탈피해 지속기간별로 누가곡선을 구분함으로써 지속기간별 강우의 시간분포 특성과 유역의 대표성을 갖는 무차원 누가곡선 작성방법으로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A Study on Ceramic Package Design about Sustainable Environment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도자 제품의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연구)

  • Lyu, Mengy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337-338
    • /
    • 2014
  •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배경, 개념과 필요성을 포함하고 있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해 고찰해보고 패키지 다자인의 개념, 기능, 구성요소 및 지속가능한 도자 제품의 패키지디자인의 현황을 분석해 흐름을 파악한다. 이러한 지속가능한 도자 제품의 패키지디자인의 특성을 알아보고, 사례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자 제품의 패키지디자인의 실증분석 연구해본다. 분석한 문제점을 토대로 지속가능한 도자 제품의 패키지디자인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