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속가능한 평가시스템

Search Result 443, Processing Time 0.113 seconds

Support Modular System for Sustainable-Perpetual-Modular Road (지속가능한 장수명 모듈러 도로를 위한 지지 모듈러 시스템)

  • Donggyou Kim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4 no.1
    • /
    • pp.37-44
    • /
    • 2023
  •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the support modular system, as substructure of the proposed sustainable-perpetual modular road system to reduce road construction time and maintenance costs was evaluated. A modular road system consisting of 4 support modular cross-beams with a lower curved surface was constructed on the test-bed. Six load cells and eight LVDTs were installed in the center part of two cross-beam support modular systems. Two loads, 50kN and 100kN, were applied to 15 points on the pavement slab to measure the load and displacement occurring in the modular road system. The measured displacements were less than 1 mm, so it is considered that there was no problem in the stability of the actual road. When comparing the two applied loads and the measured loads in the field test, it was considered that the load transmitted to the ground under the support modular system is very small. It is considered that the modular road system with the support modular system is applicable to the actual road site.

Estimation of Agent Based Model for watershed management (유역관리를 위한 행위자기반모형의 평가)

  • Ko, Jin-Seok;Jee, Hong-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851-854
    • /
    • 2010
  • 유역관리는 유역이라는 한정된 범위 내에서 물에 영향을 미치거나 물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모든 인간 활동과 자연현상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역관리는 유역 차원에서 물을 경제적이고 공평하게 관리하고 분배하여 수자원에 대한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정부, 시민사회 및 기업 행위자가 사회경제적 개발목표와 정책 형성, 집행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유역관리를 위한 의사결정들은 행위자들과의 영향으로 수정되며, 이런 과정에서 토지와 수자원에서 분쟁이 발생하며, 수자원 관리자는 자연현상, 물 사용, 재정적, 인적자원 및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목적을 달성하는데 부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효과적인 유역관리를 위해서는 제약조건 하에서 수자원 관리자가 의사결정에 정보를 주고 주요 행위자들과 협력을 통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역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을 행위자기반모형(Agent based Model, ABM)으로 이해하고자 하며, ABM은 유역관리의 이해당사자간의 정책과정을 도출하고 다양한 유역관리 대안을 평가하고 유역관리의 영향을 설명하는 모델이다. 본 모형은 관측자료를 통해 상향식 접근법으로 가능한 많은 세부사항을 모의할 수 있다. 분석과정은 자료의 수집, 모델 확립, 모델의 개발, 통계 자료 수집 및 모델의 결과와 실제 시스템의 보충된 관측자료를 비교하는 검증 순으로 진행되며, 본 모델에서의 행위자는 과거의 행동으로부터 주위 환경의 반응하는 패턴을 확인하고 개발하며, 이러한 패턴은 정책들을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강화학습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행위자의 익숙한 방식의 합리적인 행동과 정책들의 상관관계를 평가할 수 있으며, 강화학습을 통해 실제적인 통계적인 모델이 가능할 것이다.

  • PDF

Developing An Evaluation Methodology of ERP System AHP Approach (AHP 접근 방법을 통한 ERP 시스템 평가방법론 개발)

  • 김진수;임세헌;이상헌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a
    • /
    • pp.163-176
    • /
    • 2002
  • 정보화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대됨에 따라 많은 기업이 ERP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ERP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자사에 적합한 ERP시스템을 도입, 구축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ERP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방법론이 부족하여 전문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은 자사에 적합한 ERP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ERP 시스템을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여 중소기업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자사에 적합한 ERP시스템을 선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있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ERP 시스템 평가요인을 도출하였으며 각 요인들의 가중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ERP컨설턴트를 대상으로 AHP 방식을 적용,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실무에서 적용 가능한 평가방법론을 개발하였다. 평가방법론을 통하여 ERP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대상업체의 솔루션을 보다 체계적으로 평가하여 자사에 적합한 ERP를 도입하는데 크게 도움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ustainable Urban Flood Reduction Alternatives and Optimization Plans (지속 가능한 도시홍수 저감 대안 및 최적화 방안)

  • Choi, Hee Dong;Hwang, Jun Sik;Seo, Yo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07-407
    • /
    • 2022
  • 21세기로 접어들면서 기후변화는 인류에게 가장 큰 위협적인 요소로 인류의 생활터전인 도시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래서 기후변화와 빠른 도시화로 인해 도시지역의 물순환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홍수 저감 대안 및 최적화 방안 메뉴얼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재해 저감방법 및 최적화 기법에 대해 설명 하고, 이러한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폭함수기반단위도법(WFIUH)을 소개하고 연구 대상지역을 선정하여 시범 적용했다. 시범유역을 대상으로 실질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그린인프라 대안을 검토하고, 이 중 불투수면적 직접유출의 투수지역 전환, 투수포장 등을 적용하여 이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고려하여 대상 유역에서의 첨두유출 감소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펌프장 증설, 관망 개선과 같은 전통적인 도시홍수 저감 대안과 그린인프라 대안을 시나리오별로 적용하여 각 대안 조합 시나리오의 홍수저감 편익과 도입 비용을 산정하고, 경제성 평가를 통한 최적화된 대안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은 인위적인 조작 및 운영으로 인한 위험성을 제거함으로써 기존의 구조적 대책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구조적 대책 및 비구조적 대책과 병행을 할 경우 도시유역에서 발생하는 홍수에 대하여 적극적이며,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Life Cycle Assessment (LCA) for Sustainable Basic Design Alternatives for Medium-Sized LNG-DF Propulsion Ship (LNG-DF추진 중형선박의 지속가능한 기본설계 대안을 위한 전과정평가(LCA) 분석)

  • Ki Seok Jung;Dong Kun Lee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60 no.5
    • /
    • pp.358-366
    • /
    • 2023
  • Due to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s (IMO) environmental regulations on NOx and SOx, LNG-fueled eco-friendly ships are gaining attention worldwide, and various eco-friendly ships are being proposed and demanded for conversion to eco-friendly ships in Korea, as the eco-friendly ship law has recently been enforced. In this study, the initial basic design was performed to convert an existing Marine Gas Oil (MGO) fueled ship into an LNG-DF propulsion ship, targeting medium-sized ship, to select the fuel tank capacity and main dimensions and appropriate fuel ratio between the two fuels. In particular, Sustainable basic design method considering environmental impact were proposed by performing a Life Cycle Assessment (LCA) throughout the design process, and various design opti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meet different design conditions by applying them.

Assessment of hydrological alteration and environmental flow for Buhang dam construction on Gam River (감천 부항댐 건설에 따른 수문환경 및 하천환경유량 변화 분석)

  • Cho, Yean-Hwa;Na, Jong-moon;Park, Seo-Yeon;Lee, Joo-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42-142
    • /
    • 2019
  • 하천 생태환경은 토지이용, 댐건설 및 기후변화 등 외부의 압력에 따른 변화로 인해 오염물 유입, 녹조 발생, 어패류 떼죽음 등 생태계 교란 및 환경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생태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하천생태환경시스템 복원이 논의되고 있으며 환경적 측면을 강조한 자연친화적 하천을 목표로 개발 방향이 바뀌고 있다. 이처럼 하천생태환경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를 위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감천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김천부항댐 건설로 인한 생태환경시스템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수문변화지표법(Indicators of Hydrologic Alteration, IHA)을 활용하여 33개의 수문변화지표군(IHA Parameters)과 34개 환경유량지표군(Environmental Flow Components Parameters)을 산정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감천유역 선산관측소의 2007년 ~ 2018년까지의 일 유량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댐이 건설된 2014년 1월 1일을 기점으로 댐 건설 전(2007 ~ 2013)과 댐 건설 후(2014 ~ 2018)가 하천생태환경 및 환경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하천생태계 보전을 위한 명확한 목표와 효율적인 평가과정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PDF

Monitor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ings in irrigated rice paddy fields (저수지 관개논 비점오염부하 모니터링 기법 연구)

  • Kang, Moon-Seong;Song, In-Hong;Choi, Jin-Yong;Lee, Kyong-Do;Jang, Je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75-475
    • /
    • 2011
  • 우리나라 토지계 비점오염부하에서 농촌계 발생오염부하 비중은 질소와 인이 가각 74%와 55%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농촌계 오염부하에서 저수지 관개논에서의 오염부하 비중은 질소와 인이 각각 29%와 44%이며, 전체 논 대비 저수지 관개논 비중은 45%에 달하고 있다. 따라서 하천 및 호소의 수질향상을 위해서는 저수지 관개논의 비점오염배출에 대한 효과적/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수지 관개논에서의 비점오염부하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저수지 관개논 비점오염부하 모니터링 기법 정립 및 계측시스템을 구축하고, 비점오염부하의 종합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비점오염원 주요 관리인자의 상호관련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평가하는 데 있다. 대상지구는 이동저수지 하류에 위치한 관개논을 선정하고, 수문수질 계측망을 구성하였다. 강수량, 증발산량, 담수심, 침투수량, 관개수량, 배수량 등의 수문/수질인자와 토양 인자 및 작물생육특성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관개논에서의 비점오염부하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비점오염부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 상호 관련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초기 연구에 해당되며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정량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농업비점오염에 의한 수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지속가능한 농업, 수계의 수질보전대책 수립, 그리고 물환경 정책 도출 및 수립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Factors in Franchise System: Symbiosis Index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평가 지표 개발을 위한 탐색전 연구 - 공생지수(symbiosis index)를 중심으로 -)

  • Choi, Sung-Sik;Kim, Hong-Seok;Ku, Bon-Hyuk;Lee, Weon-Ho;Na, Hwa-Sook;Han, Kyu-Chul
    • The Korean Journal of Franchise Management
    • /
    • v.1 no.1
    • /
    • pp.65-85
    • /
    • 2010
  • The key success factors for Franchise Enterprise as a virtual company which is established based on franchise system are the competitiveness of sub-systems in franchise system such as franchisor, franchisee, vendor(supplier), and customer, and to sustain the symbiotic relationship among sub-systems. In this regard, evaluating franchise system is considered to be implemented in different contexts and methods comparing with extant evaluation system in franchise business which is mor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anchisor and franchisee. The flagship role of establishing franchise system is to be franchisor system, however, the symbiotic relationship among other sub-system including franchisee, vendor, and customer leads to successful Franchise Enterpr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existing evaluation systems for franchise business and to explore the model of evaluating franchise system, what is called, "Symbiosis Index".

Study on Forest Functions Classification using GIS - Chunyang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ning -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구분에 관한 연구 - 춘양 국유림 산림경영계획구를 대상으로 -)

  • Kwon, Soon-Duk;Park, Young-Kyu;Kim, Eun-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1 no.4
    • /
    • pp.10-21
    • /
    • 2008
  • A forest functions classification map is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management planning of national fores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make out the map at the stand level by utilizing the Forest Functions Evaluation Program(FFEP), developed b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n this program, the potential of each function was evaluated in each grid cell, and then a forest functions estimation map was generated based on the optimum grid cell values in each sub-compartment unit. Finally, the program produced a forest functions classification map with consideration of the priority of the functions. The final forest functions classification map required for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ning made out overlapping those results which the rest of the forest classified referring priority functions classification map to national forest manager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ocal administrative guidance and sustainable forest resources management guida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orest function classification using the FFEP program could be an efficient tool for providing the data required for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ning. Also this study made a meaningful progress in the forest function classification by considering the local forest administrative guidance and sustainable forest resources management guidance.

  • PDF

Schematic Sustainability Assessment Model in Residential Area Using Residential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RPMS) (거주성능관리시스템(RPMS)을 이용한 주거지 지속가능성 평가모형 연구)

  • Lee, Hee-Won;Lee, Sang-Hyun;Kim, Young-S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4
    • /
    • pp.1954-1961
    • /
    • 2011
  •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in residential area is closely related to the notion of amenity, livability, health and interchangeably used with the terms of urban growth management, urban regeneration, new urbanism, urban village movement, compact development, smart growth and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Residential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RPMS This system is developed granted by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ICTEP) during 2005-2008.)is a kind of decision making supportive program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various urban performances. It can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by many of urban related expert like planner, manager, etc. This study investigate the schematic model for the applying the indicators of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developed by SDI (Seoul Development Institute) using RP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