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속가능개발

Search Result 2,669,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Sustainable Development and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y (지속가능개발과 한국무형문화유산정책)

  • Kim, Yong Goo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9 no.3
    • /
    • pp.256-269
    • /
    • 2016
  • In September 2015, the United Nations (UN) has adopte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goal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push forward from the year 2016 to 2030. Accordingly,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UNESCO) has established a new chapter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tangible heritage the through revision of the Operational Directiv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lthough Sustainable development is a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is believed that the Convention has not provided guidelines of safeguard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Operational Directives provide States Parties with guidelines on the integr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stitution of South Korea was designed to preserve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e economic development process of the industrialization since the 1960s. The institution played a role of cultural support on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concepts. Now South Korea should impleme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y combined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while succeeding the efforts from the former development.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how it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y in South Korea. An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outh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y should foster sustainable development particularly along with social development and human development.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지속가능한 개발에 관한 고등학생의 태도 : 탐색적 연구)

  • Kwon, Hyuksoo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40 no.1
    • /
    • pp.163-179
    • /
    • 2015
  • Sustainable development brings many potential advantages to the society and environment. As such, many educational communities have concentrated on incorporating this concept into their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K-12 classrooms. The K-12 technology educators have also exerted efforts to infus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concept into the K-12 national-curriculum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073 high school students from six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 self-reported instrument was used to obtain the students' demographic information and to come up with an attitudinal scale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employed statistical ways of exploring the attitudinal level of the South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of describing the subcategorie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e findings described the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regard to three components: (1) cogni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2) practices in pursui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3) perception of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ree perspectives of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Also, the qualitative data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open-ended question posed to them indicated two domains of the students' cognition of and practices in pursui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se findings were made on the bases of several recommendations regarding the research on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Understand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Water Security (지속가능개발과 물 안보)

  • Park, Jihyeon;Hong, Il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6-76
    • /
    • 2016
  • 2015년은 국제사회 거버넌스 및 정책 패러다임에 있어 전환점(tipping point)을 맞는다. 2000년 국제사회가 인류의 빈곤 퇴치라는 삶에 가장 절대적인 개발목표로 2015년까지 달성해야 할 빈곤, 의료, 교육 등 사회 환경 현안에서 해결해야 할 단순명료한 목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2015년 9월 UN 지속가능 세계정상 회의(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 WSSD)에서는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채택하여 2030년까지 전 세계가 경제성장, 기후 변화 등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인간정주환경을 조성하자는데 합의를 마쳤다. 17개의 지속가능개발목표와 부속적으로 169개의 타겟이 설정되었으며, SDGs 안에서는 MDGs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인간의 권리 구현과 성평등, 여성과 어린이의 권리 신장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와 예측이 불확실한 다양한 자연재난, 특히 물과 물 관련 재해가 빈곤 경감, 기후변화 대응, 인간정주의 모든 삶의 영역에 연계요소로 녹아 있다. 기후변화 적응과 물 안보, 특히 위기관리의 맥락이 내재되어 있는 2030년을 목표로 하는 국제사회의 Post-2015 개발의제에서 물 분야는 무엇보다 중요한 관심 분야로 부각이 되어 있다. 17개의 지속가능개발목표에서 SDG6을 "모두를 위한 물과 위생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이용(Ensure availability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water and sanitation for all)"으로 하고 수자원관리 및 물과 위생 분야의 중요성을 전세계가 공감하고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물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6번째 목표뿐만 아니라, 빈곤의 근절(SDG1), 기아근절과 지속가능한 농업의 증진(SDG2)을 비롯한 다양한 목표들에서 물 분야가 직접?간접적으로 연계 되어 있으며, 특히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더욱 심각해진 물관련 재해로부터 리질리언스 확보 등, 지속가능개발목표의 전반적인 기조에서 물안보 확보를 읽을 수 있다. 물 분야에서 지속가능개발목표의 이행을 위한 노력은 국제사회의 물 문제 해결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동반 성장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 PDF

Sustainable City Programme (지속 가능한 도시개발)

  • Ha, Seong-Gyu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56
    • /
    • pp.34-37
    • /
    • 2009
  • 지금까지 인류가 창안해 낸 가장 훌륭한 대안적 개발 패러다임은 '지속가능한 개발'이라 할 수 있다. 어젠다21(Agenda 21) 등 국제기구에서 논의되는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은 '미래 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환경과 여건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 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개발'이다. 그리고 이 지속가능한 개발은 세 가지 핵심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바 이는 환경적 가치, 미래 지향성, 그리고 형평성이다. 이와 관련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에 대해 알아보자.

  • PDF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위한 지표설정과 평가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동굴 관광지를 사례로 하여-

  • 차승훈;이희연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126-131
    • /
    • 2003
  • 환경의 파괴와 함께 환경에 대한 위기 의식이 증대되면서 1980년대 후반부터 지속 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에 대한 논제가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고 있다. 'Our Common Future (WCED, 1987)'라는 보고서에서 '지속 가능한 개발'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이후, 1992년 리우회의를 거치면서 지속 가능한 개발 개념은 사회 전반에서 추구해야 할 보편적 패러다임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중략)

  • PDF

체계동태기법을 이용한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 전략 평가모형의 정립과 적용 - 담양군 대나무 신산업 육성전략의 파급효과 분석

  • Jeong, Hoe-Seong;Jeon, Dae-Uk;Kim, Byeo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6.04a
    • /
    • pp.79-100
    • /
    • 2006
  • 지역개발과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의 수립을 위해 지역의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통합한 지속가능발전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발전 전략의 모색과 관련정책의 파급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러한 통합모델의 개발과 적용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높은 환경질을 유지하고 대나무와 같은 생태자원을 육성함으로써 생태관광과 대나무신산업 등의 새로운 지역개발 정책을 수행하는 전라남도 담양군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 체계동태모형을 구축한다. 담양군 사례분석의 결과는 죽림육성 정책과 대나무신산업과 같은 지역특화산업에 대한 기술개발 및 각종 재원의 병행이 인구유입과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매우 효과적임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지역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시스템적 사고를 통해 지역개발에 있어서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살린 생태자원의 육성과 적절한 산업정책을 병행하는 생태발전 전략이 지역의 지속가능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Sustainable Development of Urban Area in Green Belt -Focused on City Development of Sustainable Compact City Method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연구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을 중심으로)

  • Chung, Jae-Yong;Oh, Min-J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12
    • /
    • pp.5917-5930
    • /
    • 2011
  • This study suggests Compact City type urban development strategies and planning elements with the purpose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uggestions are based on analysis of the development projects promoted in the cities within Green-Belt.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n the late 20th century, Compact-City has been suggested as standard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n the developed countries, and this promoted urban development plans were presented in detail. Second, The development plans are suggested plan elements by urban environment, space, community, and management. It was classified as an applicable element in Green belt and Compact City type. Finally, after comparing several city development projects (Gwacheon, Uiwang, Hanam), differences and Limitations between the Compact-City type urban development. Considering analysis of this study, urban development projects in Green Belt should be prepared to sustainable Compact city type urban development.

Indicators for Evaluation of Sustainabl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and Management (지속가능한 수자원 개발과 관리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

  • Choi, Si-Jung;Lee, Dong-Ryu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9 s.158
    • /
    • pp.779-790
    • /
    • 2005
  • A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come a major concern in international debate on water resources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lthough sustainabl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and management takes a significant amount of concern in the development research, its applicability has not been insufficient in pract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a definition of sustainabl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and management and to illustrate relevant indicators. The study has also attempted to develop localized indicators hence to assess an availability of water resources development and management and to evaluate the water resources in Korea with the indicators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Proposition of Green Star for the Practice of Rio+20, and Application of Four Rivers Project (Rio+20의 실천을 위한 녹색별 제안과 4대강사업에서의 적용)

  • Koo, Ja-Kong;An, Hyo-Wo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2 no.1
    • /
    • pp.35-39
    • /
    • 2014
  • The world has been interested i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 be considered important the three values(Environmental Integrity, Economic Growth, Social expandability) of sustainability. Rio+20 conference was attention to "Green Economy", trying to solv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ut Rio+20 proposed "The Future We Want", They can't solve it and it is regret. Also It is judged that Only three values of sustainability are limi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Five values; Green Star is suggested the answer for "The Future We Want". Four Rivers Project verified by Green Star, Green Star proposed new paradig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xpect the strong well-being country of Korea.

SDGs approach towards Building Resilience to Disaster and Climate Change (재해에 대한 리질리넌스 확보를 위한 지속가능개발목표의 이행)

  • Hong, Ilpyo;Park, Ji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7-77
    • /
    • 2016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기상학적인 극한 사상들은 점점 대형화되고 있고, 그 발생빈도 또한 잦아지고 있다. 인구의 증가와 급격한 도시화, 자산 가치의 증가 등으로 물과 관련된 재해로 인한 피해는 점점 더 규모가 커지고 있다. 홍수와 가뭄, 허리케인, 쓰나미와 같이 물과 관련된 재해는 그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수로 본다면 지구상의 재해 중 90%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그 규모가 크다 할 수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물관련 재해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를 약 1,000억 달러 규모로 추산하고 있는데, 2030년에는 그 현재의 두 배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재해로 인한 피해는 개도국이나 최빈국뿐만 아니라 관련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는 선진국 또한 예외는 아니다. 2015년 9월 UN 세계지속가능 정상 회의에서 각국의 수반들 또한 17개의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채택함으로서 post-2015 아젠다가 세계를 지속가능하고 균형 있게 바꾸어 나가기 위해서 취해야 하는 가장 시급하고 필요한 과감한 혁신적인 조치임을 인식하였다. 재해경감과 지속가능개발은 2005년 채택된 "효고프레임웍(Hyogo Framework for Action) 2005-2015"에서 도 중요하게 다루어 졌다. 2015년 3월 제3차 세계재해경감대회에서 채택된 "센다이 프레임웍(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15-2030"은 Post-2015 개발의제의 첫 번째 합의 결의안이라 할 수 있으며, 인명피해의 실질적인 감소와 재해에 의한 영향으로 피해 보는 사람들의 수를 줄이고, 경제적 손실과 대형 인프라 피해의 경감을 주요 타겟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리질리언스의 중요성은 SDGs의 Goal 11인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도시와 정주지 조성(Make cities and human settlements inclusive, safe, resilient and sustainable)"에서 강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골에서 재해로 부터의 리질리언스 확보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재해 위험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지역적으로 또는 국경을 넘어서는 협력 관계의 구축이 중앙정부나 지방정부를 비롯한 국가적으로 절대적으로 필요한 노력이라 할 수 있다. 특히나, Post-2015 개발 아젠다에 대한 기후변화와 재해경감을 위한 금융지원을 포함한 최빈국, 개도국, 군소 도서국가들과 중견국 선진국들의 양자간이나 다자간 협력 채널을 통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