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상피해분석

Search Result 14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f th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s on th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s for Solar Maximum (태양극대기 대비 위성통신망에 관한 재난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 Oh, Jongwoo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7 no.3
    • /
    • pp.78-85
    • /
    • 2012
  • This paper takes precautions proposals against prospective disasters from the space weather maximum in 2013. The space weather maximum could wreak havoc in this world. A geomagnetic space storm sparked by a solar eruption like the one that flared toward earth is bound to strike again and could wreak havoc across the modern world. Despite of the fact that not only researches by colleges and institutions current researches have been focusing on warning systems of space communication and the earth network systems, but also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s are not situated for the space weather blaste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at the damage reduces methods implementation on the ultimate space weather communication systems by above lists proposed type analysis. In resul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munication disaster management systems deals with the smart IT converged GIS analysis on the flare, solar proton event, geomagnetic storm to the effects of the geomagneticsphere, ionosphere and troposphere from solar maximum. This research can provide affective methods for the saving lives and property protections that implementation of the disaster prediction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s adapts smart IT systems and converged high tech information systems using decision making support systems of the GIS methodology.

A Study on Fault Structure Analysis using Spatial Index Structure (공간자료구조를 활용한 단층구조분석 연구)

  • Bang, Kap-S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390-393
    • /
    • 2016
  • 지진 활동의 결과로 발생하는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지층의 단층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층 탄성파 데이터를 공간자료구조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효율적인 공간정보를 생산하는 시스템 개발과 관련된 연구를 제안한다. 공간자료구조는 방대한 탄성파 데이터를 지층을 이루는 암석층을 공간데이터로 저장하고, 분석하여 단층대를 이루는 공간을 검색 가능하게 한다. 검색된 단층가능 구간은 전문가의 판단을 통해 주변의 다른 단층구간과 다양한 요소들과 결합하여 지진 활동 연구에 중요한 판단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최근의 불안정한 지진활동 피해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단층대의 확인 작업은 다양한 지상/지하 구조물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료가 된다.

Comparsion Between RAMMS And FLO-2D through Danaged by Debris Flow Analysis (토석류 피해지 분석을 통한 RAMMS모형과 FLO-2D모형의 비교)

  • Tak, Won-Jun;Jeon, Gye-Won;Jeon, Byeong-Hui;Lee, H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12-112
    • /
    • 2015
  • 우리나라는 산지가 국토의 64%이상으로 토석류 등 지반재해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2011년 7월 우면산 토석류, 춘천시 펜션 토석류 등 규모가 큰 토석류 재해가 일어나며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피해지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고 지상 LiDAR스캔을 통한 현장조사로 연구지역과 유사한 매개변수 값을 산정하고 정밀도가 높은 지형자료를 생성하여 토석류 해석에 대한 정확도를 높혔다. 토석류 해석프로그램은 국내에서 토석류 해석에 많이 사용되는 FLO-2D와 아직 국내에서는 사용 빈도가 높지는 않지만 국외 연구사례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모델 중 RAMMS 모형을 선정하여 토석류 피해가 발생한 동일 지역에 두 모형을 적용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Agricultural Drought Assessment Based on Evaporative Stress Index (ESI) Calculation using MODIS Satellite Image and ROC Analysis (MODIS 위성영상 기반 ESI 산정 및 ROC 분석을 활용한 농업가뭄평가)

  • Yoon, Dong-Hyun;Nam, Won-Ho;Lee, Hee-Jin;Park, Jong-Hwan;Kim, Dae-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56-156
    • /
    • 2020
  • 가뭄은 다른 자연재해에 비해 진행 속도가 느리고 발생 시작 시기가 명확하지 않다. 또한 피해지역이 광범위하다는 점에서 사회, 경제적 피해와 농업 생산 시스템 및 수확량 등 농업 전반에 걸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지구적 기후변화로 인해 국내의 가뭄 발생빈도는 2000년 이후 증가하고 있으며, 가뭄의 정량적 분석은 선제적 가뭄 대응을 위해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여러 유관기관에서 지상 관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뭄을 모니터링하고, 가뭄 공간 분포 지도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지상 관측 데이터를 통한 가뭄 분포 지도는 미계측 지역에 대한 데이터 취득이 어렵고, 지형학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자원 및 재해 분야에서 위성영상이 활용되고 있다. 위성영상을 활용한 가뭄 판단 및 예측에는 정규식생지수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가 사용되고 있으며, 식생지수는 가뭄 발생, 진행 등에 있어 즉각적인 반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잠재 증발산과 실제 증발산의 비를 이용해 산정된 위성영상 기반 가뭄 지수인 Evaporative Stress Index (ESI)를 활용하였다. 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에서 제공하는 ESI는 전지구를 대상으로 5km 해상도로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가뭄 판단을 위해서는 높은 해상도의 영상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영상을 활용한 ESI의 산정을 통해 해상도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한다. 산정한 500m 해상도의 ESI는 기존 5km 해상도의 ESI와 비교 검증하였으며, SPI 및 과거 가뭄 발생 현황 자료를 근거로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분석을 통해 시군 단위 농업가뭄평가의 적용성을 확인하고 한다.

  • PDF

Study on the Cause of Die-bark of Shoot in the Mulberry Field in the Reclaimed Hill Land in Korea (개간지상전에 발생하는 지조고사현상의 원인구명시험)

  • 류근섭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14 no.1
    • /
    • pp.1-7
    • /
    • 1972
  • Recently, young mulberry trees grown in the reclaimed hill land are frequently attacted by the die-bark and the buds of the trees developed poorly. In order to learn the cause of the injury mentioned above available boron content in the soils and the bark of young shoots have been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 Available boron content in the soil of the damaged mulberry fold was 0.3-0.20 ppm, against 0.39-49 ppm in that of healthy mulberry field, and boron in the bark of the damaged trees was 10.63-12.99 ppm, and 18.42-21.02 ppm in that of the healthy trees. The organic matter content and available boron content in soils showed a highly significant possitive correlation. The moisture content in percent in the soil of the damaged mulberry held was 11.16 and 14.22 in that of healthy mulberry field.

  • PDF

Definition of flash drought and analysis of hyd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국내 돌발가뭄의 정의 및 수문기상학적 특성 분석)

  • Lee, Hee-Jin;Nam, Won-Ho;Yoon, Dong-Hyun;Svoboda, Mark D.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72-72
    • /
    • 2021
  • 가뭄은 수개월, 수년 이상에 걸쳐 서서히 발생 및 지속되며, 식생에 대한 피해가 발생할 때까지 확실한 인식이 어렵다.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가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상 이상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가뭄이 발생하고 있다. 미국에서 정의한 'Flash Drought'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표면온도의 상승과 비정상적으로 낮고 빠르게 감소하는 토양수분으로 인하여 식생에 대한 극심한 스트레스를 유발하면서 광범위한 작물 손실 및 용수공급 감소 등에 대한 피해를 야기하는 가뭄이다. 국내에서는 Flash Drought에 대한 모니터링이 활성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돌발가뭄'이라는 새로운 정의를 제시하면서 토양수분, 증발산량, 강수량, 기온 등의 가뭄 관련 주요인자를 활용하여 국내에서 발생한 돌발가뭄 (Flash Drought)를 감지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돌발가뭄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가뭄 관련 주요인자 기준 유형, 증발산량 기반 가뭄지수를 활용한 유형 등을 활용하였으며, 지상관측자료로는 국내 76개 종관기상관측 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토양수분 자료는 GRACE (Gravity Recovery and Climate Experiment) 위성영상 자료를 취득한 후 5 km 공간해상도 자료로 활용하였다. 가뭄지수의 경우 증발산 기반 가뭄지수 중 표준강수증발산지수 SPEI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증발스트레스지수 ESI (Evaporative Stress Index) 등을 활용하여 국내 돌발가뭄 유형에 대한 분석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직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은 돌발가뭄에 대한 유형별 분석 및 국내 돌발가뭄의 수문기상학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Minimum Separation Distance for Aboveground High-pressure Natural Gas Pipelines (지상 고압 천연가스 배관의 최소 이격거리 기준에 관한 연구)

  • Lee, Jin-Han;Jo, Young-Do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7 no.2
    • /
    • pp.225-231
    • /
    • 2019
  • In Korea,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boveground high-pressure natural gas pipeline and buildings is regulated by Korea gas safety (KGS) code. In this paper, The technical backgrounds for the revision of the KGS code related to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was presented. A consequence-based approach was adopted to determine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by a reasonable accident scenario, which was a jet fire caused by the rupture of one inch branch line attached the gas pipeline. Where, the higher thermal radiation flux threshold was selected for workers in industrial area than for people in non-industrial area, because the workers in industrial area were able to escape in a shorter time than the people in public. As result of consequence analysis for the accident scenario, we suggested the KGS code revision that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s between high-pressure natural gas pipeline installed above ground and buildings should be 30 meter in non-industrial area and 15 meter in industrial area. The revised code was accepted by the committee of the KGS code and now in effect.

A Study on Fire and Life-safety Measures of the Grand-scale Underground Space through Case Studies (사례를 통해 본 대규모 지하공간의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 Ahn, Tae-Young;Sung, June-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297-302
    • /
    • 2010
  • 대규모 지하공간은 지상공간에 비하여 화재취약요소가 많으며, 재해 발생 시 폐쇄적인 공간 특성으로 인하여 중대재해로 이어져 막대한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는 대규모 지하공간의 방재 특성 분석 및 일본 "샤레오" 방재계획과 국내 C Mall의 방재계획 사례 연구를 통하여 지하공간의 화재 안전상 고려되어야 할 대책들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Effects of Postfire Logging on Bird Populations and Communities in Burned Forests (산불 발생 지역의 피해목 벌채에 따른 조류 개체군과 군집의 변화)

  • Choi, Chang-Yong;Lee, Eun-Jae;Nam, Hyun-Young;Lee, Woo-Sh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6 no.1
    • /
    • pp.115-123
    • /
    • 2007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stfire logging on bird populations and communities through 57 point counts in unburned, burned and logged burned plots of coniferous forests in Samcheok, Korea. We found that lower species richness, abundance, and diversity in logged plots where were controlled by a typical postfire management. As results of guild analysis for nest sites and food resources, postfire logging reduced densities of ground-shrub nesters, primary and secondary cavity nesters, but was also related to reduction in densities of some foraging groups such as timber drillers and foliage searc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nag-retention is essential for birds in burned forests and that postfire logging is incompatible with the maintenance of bird populations and communities. Consequently we need to develope guidelines of postfire management for snag-retention in burned forests through intensive researches focused on some target species such as Great spotted woodpeckers Dendrocopos major.

Study on Estimating the Unit of Suppression Ability of Forest Fire Suppression Resources (산불진화자원의 진화능력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 Kim, Dong-Hyun;Kim, Eung-Sik;Kim, Ja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44-147
    • /
    • 2011
  • 동시다발적인 산불발생시 한정된 진화자원을 효과적으로 운영하여 산불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산불상황에 맞는 진화자원 투입과 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진화자원 투입 및 운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각 진화자원별 진화능력단위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아직 국내 외적으로 산불진화자원에 대한 진화능력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진화자원을 중심으로 진화능력단위 기준 설정과 함께 각 진화자원별 진화능력단위를 산정하였다. 우리나라 진화자원은 크게 지상진화자원과 공중진화자원으로 구분됨으로 지상진화에 투입되는 주요 진화자원인 등짐펌프 및 불갈퀴 등 손도구를 이용하는 진화인력과 산불진화차량, 이동식 동력살수장치와 산불진화헬기로 구성되는 공중진화자원에 대해 진화효과를 분석, 능력단위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