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상피복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Hydrophysical effect of vegetation cover factors on soil erosion (토양침식에 대한 식생피복 인자의 수문물리적 영향)

  • Seung Sook Shin;Sang Deog Park;Sang Jin S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43-343
    • /
    • 2023
  • 식생피복(Vegetation cover)은 대기 중의 강우와 토양 사이에서 침식으로부터 표토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자유 낙하하는 강우의 물방울은 식생을 통과하면서 차단(interception), 수관통과(throughfall), 수간유하(stemflow)의 형태로 변화한다. 식생은 강우입자의 운동에너지와 수량을 감소시키고, 지표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킴에 따라 지표유출(overland flow) 저감에 기여한다. 유출수의 흐름과정에서 식물의 줄기, 낙엽, 뿌리 등은 유속을 감소시키는 장애물로 작용하여 궁극적으로 토양침식은 감소한다. 토양침식은 식생피복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감소하며, 지수함수의 관계를 갖는다. 식생의 종류와 구조 그리고 잎의 모양 등에 따라 수문물리적인 반응이 달라진다. 캐노피를 갖는 지상식물(canopy cover plant)은 물방울의 운동에너지를 갖는 반면, 지피식물(ground cover plant)은 낙하고가 작기 때문에 운동에너지는 적으며, 특히 낙엽층은 지표면을 보호하여 토양침식의 저감효과가 더욱 크다. 산불지역의 식생피복에 따른 토양침식 측정 자료에 따르면, 강우운동에너지는 식생피복이 증가함에 따라 지상피복(canopy cover)에 의한 감소보다는 지면피복(ground cover)과 낙엽피복(litter cover)에 의한 감소효과가 상대적으로 컸다. 식생피복에 의해 차단되는 강우의 손실량보다 침투량 증가에 의한 손실량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낙엽피복에 대한 강우모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낙엽의 피복율이 증가함에 따라 지수적으로 토양침식량은 감소하였다. 낙엽 피복율의 40% 이상은 토양침식량을 현격이 감소시킨 반면, 피복율의 70% 이상은 지표유출량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낙엽 피복율이 70%이상이면, 유출계수가 33%가 감소하였으나, 토양침식민감도는 94%로 크게 감소하였다.

  • PDF

Methodology of ground-truthing for land cover mapping using remote sensor data (원격탐사 영상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도 제작을 위한 지상자료 획득 방법)

  • Lee, Kyu-Sung;Kim, Sun-Hwa;Shin, Jung-I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33-36
    • /
    • 2007
  • 토지피복분류, 식생분류, 식물피복도 분류 등 원격탐사 영상자료의 주된 이용분야에서 지상자료는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가령 감독분류를 위한 training site 에 대한 측정이나 또는 분류 정확도 검증을 위한 측면에서도 지상측정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피복분류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지상측정을 위한 표본조사에서 유의하여야 할 통계학적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검토한다.

  • PDF

Effect of Vinyl Mulching and Tunnel Treatment for Stable Cultivation of Maca (Lepidium meyenii Walp) (마카(Lepidium meyenii Walp)의 안정적인 재배를 위한 비닐 피복 및 터널 처리의 효과)

  • Gu, Eun Young;Lee, Joong-Hwan;Song, Young-Un;Ryu, Jung-Gi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83-83
    • /
    • 2018
  • 마카(Maca, Lepidium meyenii Walp)는 십자화과 두해살이풀로서 페루의 안데스 산맥이 원산지이며 세계 여러 나라에서 건강기능식품, 음료 등의 가공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마카의 기능성 성분이 밝혀지면서 국내에서도 재배 면적이 증가하고 있으나 연작장해, 동계 저온으로 인한 고사 등으로 인하여 생산량은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지 환경에서 비닐피복과 지상부에 비닐 터널을 처리하여 겨울철 고사율을 줄이고 연장장해를 회피하여 마카를 안정적으로 재배하고자 실시하였다. 마카 재배는 경상북도 경산지역에서 2017년 9월 24일 파종하여 2018년 4월 30일에 수확하였으며, 처리는 비닐피복, 비닐피복+터널, 비가림하우스 및 대조구로 노지에서 무피복재배로 실시하였다. 동해에 의한 마카 고사율은 비닐피복과 노지재배에서 55.7, 79.1%였으나 비닐피복+터널과 비가림하우스에서는 3%이하로 조사되어 노지환경에서 비닐피복 후 지상부 터널설치로 동해를 방지할 수 있었다. 수확 시 마카의 생체중은 비가림하우스에서 주당 57.8g으로 가장 높았으며, 비닐피복+터널설치, 비닐피복 및 노지재배에서 각각 52.7, 21.3, 10g으로 조사되어 동계 지상부 15cm 지점의 평균온도(비가림하우스 : $3.4^{\circ}C$, 비닐피복+터널설치 : $1.9^{\circ}C$, 노지 : $-2.1^{\circ}C$)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마카의 이용부위인 뿌리의 무게는 비가림하우스와 비닐피복+터널에서 각각 주당 15.5, 19.9g으로 조사되어 비교적 비닐피복+터널처리의 생육이 좋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마카는 다닥냉이속 작물로 저온경과 후 뿌리비대가 이루어지는 속성을 가지고 있으나 생육후기 고온으로 인한 지상부 생육은 뿌리비대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어 3월 이후 온도관리는 좀 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노지와 비닐피복 재배에서는 뿌리의 무게가 주당 3.9, 2.7g으로 정상적인 수확이 불가능하였다. 마카를 노지에서 재배할 경우 비닐피복 후 지상부에 터널을 설치하면 연작장해 회피와 동해에 의한 고사율을 줄일 수 있어 안정적인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Growth and Flowering of Oriental Hybrids Lilies in Alpine Area (피복재료가 고랭지 재배 Oriental 백합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 Hong, Sae Jin;Kim, Hak Ki;Park, Se Won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19 no.4
    • /
    • pp.585-590
    • /
    • 2001
  • Bulbs of Lilium Oriental hybrids cv. 'Casablanca' and 'Marco Polo' were grown in a plastic house in alpine area of Pyongchang Kangwondo. Saw-dust, black film, reflective film, transparent film, and white/black double film were used as mulching materials to ascertain the growth of foliage, the quality of flower, and the size of bulbs. Foliage weights of both lilies were higher when lilies were grown with mulching materials than control.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bulb weight among the control and mulching treatments, except delayed bulb growth in black film and white/black double film. Mulching cultivation with saw-dust and reflective film stimulated foliage growth, root growth and bulb production, but black film delayed the growth and development. Transparent and white/black double films showed no effects on foliage growth and bulb development than the control. As mulching materials tended to delay lily growth, including foliage and bulb, an extension of growing term might be better to produce high quality lilies than common cultivation in alpine area.

  • PDF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on Growth and Yield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피복재료(被覆材料)가 백출(白朮)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 Kim, Soo-Yong;Kwon, Oh-Heun;Ryu, Tea-Suog;Oh, Sei-Myoung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8 no.3
    • /
    • pp.216-224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oil mulching effect on growth and yield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The number of stem, stem diameter, and fresh weight of aerial part in black poly-ethylene film and 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mulched condi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mulching and rice-straw mulching. Number of flowers were high in the order of non-mulching, rice-straw, trans-P. E. film, and black P. E. film. Yield of underground part was higher in mulching condition than that of non-mulching. Dry rhizome yield in black P. E. film mulching was significantly high to compare with the other treatments. There was lower disease incidence of Phytophthora blight in trans-P. E and black P. E. film compare with the other treatments but any difference was not observed in essential oil content of rhizom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rhizome weight and fresh weight of aerial part. It was also shown that the fresh weight of aerial part was greatly dependent on the number of stems and stem diameter.

  • PDF

Zircaloy-4의 크립거동

  • 김영석;정연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277-283
    • /
    • 1996
  • 최종 pilgering 단계에서의 가공량이 서로 다른 Zircaloy-4 피복관을 대상으로 350-50$0^{\circ}C$, 원주응력 80-150 N/$\textrm{mm}^2$의 이축응력 조건에서 크립시험이 수행되었다. Zircaloy-4 피복관의 크립변형률 및 크립변형량은 최종 pilgering 단계에서의 가공량에 비례하여 커졌다. 이를 토대로 크립모델 제시되었으며 제시된 모델은 Zircaloy-4 피복관의 크립거동을 매우 잘 모사하였다. Zircaloy-4 피복관의 크립활성화 에너지는 $\alpha$-zirconium에서의 자기확산의 활성화에너지 값과 거의 동일한 60 Lcal/mole 이므로, 크립지배기구는 전위상승이다. 따라서 가공량에 따라 크립변형률 및 크립변형률의 증대는 가공량에 따른 기지상내의 점결함의 증가 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A Method of Generating Trafficability Analysis Map for UGV Navigation (지상무인로봇의 경로계획을 위한 가동맵 생성 방법)

  • Chang, Hye 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3
    • /
    • pp.79-85
    • /
    • 2014
  •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unmanned ground vehicles(UGVs), optimal path planning should be considered with trafficability analysis, threat analysis, and so on. From among these, trafficability analysis is immensely important for safeness of UGVs especially in the case of driving the off-road such as unpaved road, grassland, and open fields. Geographical information has a pivotal role in extracting data and measuring cost for specified regions of interest. In this paper, we review possibilities to apply Land Cover Map(LCM) as a new, fundamental source and propose a new generation method of trafficability analysis map for optimal path planning of UGV.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significantly improve the previous method by applying LCM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he other GIS.

Improvement of MODIS land cover classification over the Asia-Oceania region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의 MODIS 지면피복분류 개선)

  • Park, Ji-Yeol;Suh, Myoung-Seo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1 no.2
    • /
    • pp.51-64
    • /
    • 2015
  • We improved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land cover map over the Asia-Oceania region through the reclassification of the misclassified pixels. The misclassified pixels are defined where the number of land cover types are greater than 3 from the 12 years of MODIS land cover map. The ratio of misclassified pixels in this region amounts to 17.53%. The MODIS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time series over the correctly classified pixels showed that continuous variation with time without noises. However, there are so many unreasonable fluctuations in the NDVI time series for the misclassified pixel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put data for the reclassification, we corrected the MODIS NDVI using Correction based on Spatial and Temporal Continuity (CSaTC) developed by Cho and Suh (2013). Iterative Self-Organizing Data Analysis (ISODATA) was used for the clustering of NDVI data over the misclassified pixels and land cover types was determined based on the seasonal variation pattern of NDVI. The final land cover map was generated through the merging of correctly classified MODIS land cover map and reclassified land cover map. The validation results using the 138 ground truth data showed that the overall accuracy of classification is improved from 68% of original MODIS land cover map to 74% of reclassified land cover map.

The Distribution and Geomorphic Change of Debris Slope at Ongjeom-ri in Cheongsong-gun (청송군 옹점리 일대 암설 사면의 분포와 지형 변화)

  • Lee, Gwang-Ryul;Park, Han-Sa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5 no.3
    • /
    • pp.360-374
    • /
    • 2010
  • The distributions, factors, and vegetation covers of debris slopes and changes of debris at the eastern Ongjeom-ri, Cheongsong-gun are analyzed.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on the developments of the slopes are felsites having advantages to the developments of cliffs and supply of enough debris, and the relatively long days below zero temperatures promoting the physical weathering processes. The distributional areas of the slopes at southern and western slopes are more extensive than those of northern and eastern slopes due to the active water evaporation by high insolation. The Ga area at eastern Ongjeom-ri has experienced the steady decreases of area of the slopes due to the vegetation covers and shows the increasing rates of vegetation covers of $431.0m^2/yr$ as averaged values. However, it is estimated at the Na area using terrestrial LIDAR that 1 or 2 debris were moved or displaed per year in slope.

EO-1 Hyperion / Landsat-7 ETM+ 영상을 활용한 영상분류 정확도 분석

  • Jang Se-Jin;Chae Ok-Sam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223-227
    • /
    • 2006
  • 최근 위성기술의 발전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나는 고해상도(High Resolution)라는 말로 대표되는 공간해상도(Spatial Resolution)의 향상이고, 다른 하나는 초분광(Hyperspectral)으로 대표되는 분광해상도(Spectral Resolution)의 향상이다. 특히 초분광영상(Hyperspectral Image)은 지상피복 및 대상물에 대해 실험실에서 얻을 수 있을 정도의 연속적이고 좁은 파장 간격의 분광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기존에 사용하던 다중분광영상(Multispectral Image) 보다 많은 양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분광영상과 초분광영상의 분광 정보를 활용한 영상분류능력을 비교분석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중분광영상에서 식별이 어려웠던 초지, 농지, 나지에 대한 분석 능력이 초분광영상에서 상당히 향상됨으로써 감독분류에서 약 20% 정도의 정확도 향상을 가져왔으며, 무감독분류의 경우에는 미소한 차이로 그 정확도가 향상된다는 것이다. 이런 결과는 향후 초분광영상의 토지 피복분류 및 대상물 탐사에 긍정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