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방해양수산청

Search Result 4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44톤급 항만순찰선 건조해설

  • Kim, Sang-Ho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v.16
    • /
    • pp.14-19
    • /
    • 2004
  • 본선은 부산지방해양수산청으로부터 발주받아 선박검사기술협회의 설계 및 감리로 당사에 건조된 선박으로서 총톤수 44톤급 강재 및 알루미늄 합금재의 항만 순찰선으로 조정성 및 능파성이 타 선박에 비해 우수하고 선체 구조의 견고성, 복원성, 내파성 및 적절한 트림을 유지하도록 건조되었으며 2003년 12월 4일 착공하여 10개월의 건조공사를 거쳐 완공되었습니다.

  • PDF

송도해수욕장 수중방파제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김민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5-7
    • /
    • 2023
  • 전국 수중방파제 현황 및 최근 사고사례를 공유하고, 특히 지속적으로 사고가 발생하는 포항권역 '송도해수욕장 송도해수욕장'수역의 항로표지시설 확충·재배치 및 안전시설물 추가설치, 어민 대상 홍보·계도 등 좌초예방을 위한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스마트 항로표지 해양환경측정장비 설치 요구분석 연구

  • 채정근;박종현;이충진;고재영;정재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52-53
    • /
    • 2022
  • 해양 4차 산업 도래에 맞춰 기존 항로표지 역할에 ICT 기술을 융합하여 표준화된 디지털 해양 정보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으며, 신항행 안전과 시설 관리 효율성을 추구하는 차세대 디지털 항로표지 기술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항로표지를 이용하여 해양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마트항로표지 설계시 고려사항을 분석하였다. 국내외 해양정보 수집 표지의 현황을 조사하여 기존 측정 정보와 관련 기관의 측정 현황을 조사하여 제공 정보를 선별하였다. 지방해양수산청에서 적용중인 기상측정장비의 규격 및 기상표지의 센서 위치를 분석하여 스마트 항로표지 상세 설계시 고려할 사항을 분석하였다.

  • PDF

효율적인 항로표지시설 관리를 위한 거점등대 중심의 광역관리체계 구축 연구

  • Guk, Seung-Gi;Park, Hye-Ri;Jeong, Hae-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344-346
    • /
    • 2015
  • 항로표지시설(Aids to Navigation, AtoN)은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 및 효율적인 항해를 위하여 설치 운영되는 것으로 현재 우리나라는 총 4,722기의 항로표지시설을 해양수산부 산하 해사안전국 항로표지과를 중심으로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11개의 지방해양수산청을 두고 항로표지시설 설치 유지 및 보수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각 직무에 대한 명확한 업무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지방청별 관리해역을 기준으로 항로표지시설을 관리하고 있어 실질적인 업무 상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항로표지시설을 인적요소와 물적요소로 구분하여 전체 항로표지시설 관리체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업무량 기반의 항로표지시설 관리 인적요소 체계를 구성하고, 이를 통한 거점등대 중심의 효율적인 물적요소 관리체계 구축하고자 한다.

  • PDF

유인등대 주변 건축으로 인한 항로표지 기능개선 방안

  • 이선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154-156
    • /
    • 2023
  • 등대는 일반적으로 해양에 돌출한 섬, 곶 등 육지와 해상이 만나는 곳 끝단에 설치되지만, 묵호·주문진등대의 경우 내륙 안쪽에 위치하여 주변 주거지역 건축으로 인해 항로표지 기능 효율 저하로 인한 항로표지 기능검토 민원커리 사례가 발생하여 이에 따른 민원처리 방안 및 해결방안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ptions of Objection Procedure in the Supervision and Guidance of Maritime Safety Supervisors (해사안전감독관 지도·감독 이의신청 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 Lee, Seok-Ma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6
    • /
    • pp.708-716
    • /
    • 2019
  •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maritime safety supervisor system was introduced to strengthen maritime safety control for coastal vessels. If any critical defect is found in vessel facilities during periodical or occasional guidance and supervision on a vessel, a maritime safety supervisor takes an administrative measure: detention of the vessel until it has been completely corrected. The detention order is one of the most powerful regulations exercised by a maritime safety supervisor. It would not be an overstatement to say that the guidance and supervision conducted by a maritime safety supervisor is very important for the safety of a vessel and protection of the maritime environment. However, the regulatory level of each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toward vessels may vary with the enforcers, and an individual's intentional act or negligence might occur during the execution process. Detention of a coastal vessel by the Regional Office of Ocean and Fisheries can easily lead to delayed navigation, and a vessel owner may suffer economic loss from suspension of a charter party. Nevertheless, the Maritime Safety Act does not prescribe filing a petition for objection to the measure of detention order by a maritime safety superviso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refore, the objection procedure under the Maritime Safety Act has to be reformed to reclaim a right against an inappropriate detention order measure caused by an individual's intentional act or negligence through a formal objection.

등부표의 야간 시인성을 높이는 태양광 LED윤곽표시조명의 적용사례

  • 김종구;박대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40-42
    • /
    • 2023
  • 해상등부표는 선박 통항의 안전을 위해서 필요한 시설로, 낚시 배와 소형 어선을 포함한 선박의 항로표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야간에는 해상에 설치된 등부표의 위치나 번호판 식별이 어려워 소형 어선이나 선박이 등부표에 가까이 접근하여 등부표를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 충돌하여 선박이 파손되거나 인명사고가 발생한다. 이 적용사례는 소형 어선이나 선박이 야간에도 등부표의 위치와 번호판을 손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등부표에 윤곽표시조명장치를 구비하여 충돌사고의 예방과 항로표지서비스를 향상시키는 목적을 갖고 개발을 추진하였다. 윤곽표시조명장치는 태양광전원을 이용하여 IP68 방수형 고효율 LED조명을 구비하여 멀리서도 식별이 가능하여 야간에도 신속하게 안전한 항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근접센서 콘트롤러를 결합하여 선박이 등부표에 가까이 접근하면 LED조명이 점멸하며 깜빡이면서 충돌위험을 알리는 경보기능을 추가하여 등부표와 충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어 항로표지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하게 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Harbor Tranquility of Multi-directional Irregular Waves Condition (다방향 불규칙규파랑의 정온도에 관한 연구)

  • Park, Chul Ho;Shim, Kyu Tae;Shin, Bum Shick;Kim, Kyu 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89-89
    • /
    • 2015
  • 항만 및 어항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양한 해안구조물은 파랑의 천수효과, 굴절, 회절, 부분반사, 해저마찰, 쇄파의 영향 등을 고려해야하며 파고 및 파향 등의 해양특성의 검토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실제의 해양파가 방향스펙트럼을 갖는 다방향 불규칙파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기존의 해안구조물의 내파설계 또는 천해역의 파랑변형 검토에 있어서도 실제 해양파에 보다 가까운 다방향 불규칙파를 이용한 수리모형실험에 의해 파랑현상을 정도 높게 재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해양파를 정도 높게 재현할 수 있는 다방향 불규칙파 조파장치를 사용하여 구조물 전면해역에서의 파랑스펙트럼을 재현하고, 심해에서 발달된 파랑이 천해로 진행될 때 지형에 의해 발생되는 천수변형과 구조물 주위에서 나타나는 파랑변형의 현상을 고려하여 항내로 유입되는 파랑의 분포 특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다방향 불규칙파로 인한 항내 파고분포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동일 파랑에 대한 규칙파 및 불규칙파랑을 조파하여 그 결과를 상호 비교하였다. 아울러, 정온수역유지를 위한 월파현상을 수리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3차원 수리모형실험 수행하여 월파현상이 항내정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 해석하여 항만 시설물 계획시 안정한 정박 및 이용에 대한 가능한 정온유지여부를 검토하였다.

  • PDF

야간에 등부표의 시인성을 높이는 윤곽표시조명의 개발

  • 김종구;박대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1-33
    • /
    • 2022
  • 등부표는 소형 어선을 포함한 선박의 항로표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야간에 어두워지면 해상에 설치된 등부표의 위치나 번호판 식별이 어려워 소형 어선이나 선박이 등부표에 가까이 접근하는 경우 등부표를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충돌하여 선박이 파손되거나 인명사고가 발생한다. 이 연구에서는 소형 어선이나 선박이 야간에도 등부표의 위치와 번호판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등부표에 조명장치를 구비하여 충돌사고의 예방과 항로표지서비스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분석하고 고안하여 태양광전원을 이용한 방수형 LED조명과 통신모듈IoT를 결합하여 원격디밍 RGB제어 및 조명자가진단기능을 갖추어 야간에 시인성을 높이는 등부표의 윤곽표시조명을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