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방질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33초

수유기간의 경과에 따른 인유 인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Phospholipids from Human Milk in the Course of the Lactation)

  • 윤태헌;임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7-50
    • /
    • 1985
  • 한국인 중류층 수유부들로부터 분만 후 70일까지 채취한 유즙의 인 지방질의 자방산 조성이 수유기간의 경과에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8 : 0 은 이행유 단계에서, 그리고 10 : 0, 12 : 0, 14 : 0 등은 성숙유 I단계에서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w6계 대사산물들(20 :2w6, 20 : 4w6, 22 : 4w6)은 수유기간의 경과에 따라 점진적인 감소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24 : 1w9는 이행유 단계에서 유의한 증가의 수준을 유지하다가 그 이후는 초유 수준 이하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 PDF

인유, 조제 분유 및 시유의 인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의 비교 (Comparison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Phospholipids from Human Mature Milk, Infant Formulas and Market Milk.)

  • 윤태헌;임경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3-36
    • /
    • 1985
  • 인유, 조제 분유 및 시유의 인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조제 분유는 인유에 비하여 8 : 0, 10 : 0, 18 : 0, 20 : 0, 22 : 0 등의 지방산들이 유의하게 높았다. 18 : $2{\omega}6$은 조제 분유가 인유에 비하여 2.3배나 많은 18% 수준을 유지하였다. 대체로 보아 ${\omega}9$계, ${\omega}6$계 및 ${\omega}3$계 대사산물들은 조제 분유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인유에 비하여 시유도 조제 분유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국산 잣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s from Seeds of Pinus koraiensis)

  • 윤태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3-97
    • /
    • 1987
  • 한국산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 et Zucc.)의 종자 즉 잣에는 수분이 3.6%, 정제한 상태의 총지방질이 70.4%, 회분이 2.5% 함유되어 있었으며, 잣 수확년도에 따른 일반성분 차이는 없었다. 잣 총지방결의 지방산에는 14:0에서 22:0까지 21종류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 중에서 5-olefin계 지방산으로 18:3(5,9,12), 20:2,11), 20:3(5.11.14) 등 3종류가 검출되었다. 지방산 조성에서도 잣 수확년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지방산 중 47.9%의 $18:2{\omega}6$, 28.4%의 $18:1{\omega}9$, 11.1%의 18:3(5,9,12) 등 3종의 지방산이 주요 지방산이었다.

  • PDF

일반계 및 다수계 미강유의 극성지방질 조성 (Comparative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Polar Lipids in Japonica and Indica Rice Bran Oils)

  • 권경순;최광수;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35-740
    • /
    • 1996
  • 일반계 및 다수계 미강유의 극성지방질 조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미강유 중의 당지방질의 주요성분은 esterified steryl glycoside가 48.8~52.1%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그 다음으로는 steryl glycoside, monogalactosyl diglyceride, cerebroside 및 digalactosyl diglyceride순이었다. 인지방질은 phosphatidyl choline이 33.1~36.7%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그 다음이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inositol+phosphatidyl serines, phosphatidyl glycerols, dipho sphatidyl glycerols, lysophosphatidyl cholines 순이었다. 미강유의 당 및 인지방질 획분의 주요지방산은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palmitic acid이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평지씨 기름의 지방질(脂肪質)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Korean Rapeseed Oil)

  • 강숙;이강현;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5-121
    • /
    • 1980
  • 6종의 평지씨(한국산 5종과 카나다산 1종)를 n-hexane으로 추출한 유지와 2종의 시판 평지씨 샐러드 기름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과 지방질 조성을 column, thin layer 및 gas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지씨 중의 조 지방 함량은 평균 43.3 %였으며, 우리나라산이 카나다산의 것보다 약 3% 정도 지방함량이 많았다. 2. 우리나라산 평지씨에서 추출한 유지의 비중, 굴절률, 비누화 값, 요오드 값, 산값 및 비 비누화물 함량의 평균값은 각각 0.9133, 1.4726, 173.6, 103.6, 0.51 및 1.17 %였다. 카나다산은 우리나라산의 것보다 비중 비누화 값, 요오드 값은 모두 약간씩 높았고 굴절율은 약간 낮은편이었다. 3. 평지씨에서 추출한 층 지방질 중 극성 지질과 비극성 지질의 평균 함량은 각각 2.7 및 97.3 %였다. 비 극성 지질 중에는 triglyceride가 92.7 %로 가장 많았고 sterol ester와 diglyceride가 각각 1.5 및 1.2 %로 그 다음이었고, monoglyceride, free fatty acid acid 및 free sterol이 부성분으로 약간씩 함유되어 있었다. 한편, 극성 지질 중의 인 지질 및 당 지질의 평균 함량은 1.8 및 0.7 %였다. 4. 우리나라산 평지씨 기름의 총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은 평균적으로 erucic acid가 46.7 %로 가장 많았고, oleic(15.5 %), linoleic(13.4 %), eicosenoic(9.3 %) palmitic acid(4.3 %)의 순으로 그 함량이 적었다. 그러나 카나다산은 erucic acid의 함량이 0.7 %에 불과하였다. 중성 지질 획분의 지방산 조성은 총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과 그 페턴이 비슷하였다. 5. 인 지질 및 당 지질 획분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 지질 획분에 비해 erucic acid의 함량이 매우 적었고 linoleic, linolenic 및 palmitic acid의 함량은 많았다.

  • PDF

흰 민들레 뿌리의 항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 개선 효과 (Effects of Root of Taraxacum coreanum Nakai on the Inhibition of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in ICR Mice)

  • 조병제;김미정;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763-1770
    • /
    • 2015
  • 한방에서 염증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흰 민들레 뿌리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염증 효과 및 산화 스트레스 개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ICR mice에 lipopolysaccharide(LPS)를 1회 복강 투여하여(10 mg/kg bw) 염증 및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고, 한국에만 자생하는 흰 민들레 뿌리 열수 추출물을 1.4 g/kg bw 농도로 2회 경구 투여하였다. LPS에 의한 염증 유발은 체중 감소 현상으로 확인하였고, 민들레 뿌리 열수 추출물 투여군은 유의적으로 체중이 증가하여 염증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LPS 처리는 혈액의 중성지방질, 혈액 및 간의 reactive oxygen species(ROS), peroxynitrite 농도 그리고 간의 지질과산화 수준을 증가시켰다(P<0.05). LPS를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흰 민들레 뿌리 열수 추출물 투여군은 혈중 및 간의 중성지방질, ROS, peroxynitrite 농도 그리고 간의 지질과산화물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는 흰 민들레 뿌리 열수 추출물이 간의 $NF-{\kappa}B$ 전사인자 및 이의 조절을 받는 COX-2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관련 매개체 및 유리기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LPS 처리군에서 간의 중성지방질 농도가 감소한 것은 염증에 의해 간 조직이 손상되어 중성지방질의 합성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한방에서 사용하여 온 한국 토종 흰 민들레 뿌리가 $NF-{\kappa}B$ 전사인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판 마른 멸치의 종류에 따른 지방산 함량 (Fatty Acid Content of Five Kinds of Boiled-Dried Anchovies on the Market)

  • 이응호;오광수;이태헌;정영훈;김세권;박희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3-186
    • /
    • 1986
  • 수산식품의 가공 및 저장중 지방질성분의 변화에 대한 일련의 연구로서 tricosanoic acid (23:0)를 내부표준물질로 하여 시판 마른멸치의 지방산을 측정하였다. 시판 마른멸치의 조지방질함량은 대멸 $16.9\%$, 중멸 $12.5\%$, 소멸 $9.5\%$, 자멸 $8.7\%$ 및 세멸이 $7.6\%$이었다. 마른멸치의 산값은 $14.9{\sim}20.1$, 과산화물값은 $22.4{\sim}89.8meq/kg$ lipid, 카아보닐값은 $14.7{\sim}49.6meq/kg$ lipid의 범위로서 마른멸치의 개체가 커질수록 그 값이 증가하였다. 각 마른멸치제품의 지방산함량은 지방질 1g당 23:0의 mg 수로 나타내었을때 대멸이 562.8mg, 중멸 572.2mg, 소멸 542.8mg, 자멸 587.7mg 및 세멸이 568.8mg이었고, 함량이 많은 지방산은 16:0, 16:1, 22:6, 18:1, 20:5 및 14:0 등이었다.

  • PDF

추출방법이 모르티에렐라(Mortierella)속 유래 단세포유지 지방질과 아라키돈산 추출 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ion Methods on the Extraction Yield of Total Lipid and Arachidonic Acid from Single Cell Oil, Mortierella sp.)

  • 김선기;정국훈;한정준;조상우;윤석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81-285
    • /
    • 2015
  • 아라키돈산(AA)은 포유동물에 식품을 통해 섭취되는 필수지방산으로써 동물조직에서 추출되어 이용되어 왔다. 경제적으로 AA를 생산하기 위하여 토양으로부터 AA를 다량으로 생산하는 모르티에렐라 종으로 확인된 M-12균주를 선발하였다. 균체로부터 지방질과 AA를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전처리 공정, 공정 순서, 추출 용매, 추출 방식, 입자 크기 등을 달리하여 추출 효율을 분석하였다. M-12를 GY배지로 $25^{\circ}C$에서 7일 배양하여 동결건조한 시료를 사용하였을 때 지질방 중 47% 이상의 AA를 함유하고 있었다. 지방질 추출 효율은 균체의 젖은 상태와 건조 상태로 나눈 전처리 공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클로로폼과 메탄올(2:1) 용액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추출율을 보였으며 헥세인이나 아이소헥세인도 우수한 추출 효율을 나타내었다. 균체를 분쇄하기 위하여 blending, ultrasonication, Ultra-turrex homogenization 등 기계적 분쇄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추출 효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균체 입자가 고울수록 유지의 추출 효율은 높게 나타났고 추출 시간보다는 추출 시 입자 크기가 추출 효율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추출된 유지를 분획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neutral lipids 내에 AA의 함량이 65.3-68.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밀배아 지방질의 산화 안정성과 카로티노이드 및 토코페롤의 변화 (Oxidative Stability of Wheat germ Lipid and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Carotenoid and Tocopherol during Oxidation)

  • 김혜경;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8-482
    • /
    • 1995
  • 밀배아를 저장온도 $30^{\circ}C$에서 산화반응을 시키면서 밀배아 지방질의 구성성분과 지방산의 함량변화를 관찰하였고, 이에 따른 카로티노이드와 토코페롤의 산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밀배아 지방질 구성성분의 변화를 보면 초기에는 triglyceride 함량이 66%, 유리지방산 함량이 7%였는데 30일 저장 후에는 각각 49%, 24%로 변하였다. 유리지방산의 조성은 초기에 lauric acid(29%), palmitic acid(21%), linoleic acid(20%)이던 것이 30일 후에는 linoleic acid가 30%로 크게 증가하였다. 밀배아 중에 있는 카로티노이드로는 베타-, 알파-카로틴, lutein, taraxanthin 등이 있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저장 전에는 밀배아 1g당 각각 306, 59, 383, 356ng이던 것이 20일 저장 후에는 36, 4, 203, 149 ng으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는데 특히 베타-카로틴의 산화가 심하여 22.5ng/day의 최대 산화속도를 나타냈다. 밀배아 중의 토코페롤 동족체로는 알파-, 베타-, 감마-토코페롤 등이 있었는데 이들의 함량은 밀배아 1g당 각각 $55,\;48,\;38\;{\mu}g$이었고, 특히 가장 산화가 심하였던 알파-토코페롤의 최대 산화속도는 $1.26\;{\mu}g/day$를 나타내었다.

  • PDF

대두의 동결처리에 의한 두부의 텍스쳐 특성의 증진 (Improvement on Textural Properties of Soybean Curd by Freeze Denaturation of Soybeans)

  • 백상호;김명곤;윤세억;주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67-272
    • /
    • 1996
  • 동결이 대두의 익힘속도를 촉진하고 맛을 증진시켰던 사실로부터, 동결이 대표적 대두가공품인 두부의 가공공정과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이치는 지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동결 대두로 제조한 두부는 비동결 대두로 제조한 두부보다 견고성, 껌성, 씹힘성이 각각 3배 정도 높았으며, 응집성과 탄성은 비슷하였다. 관능특성에 있어서도 동결은 두부의 맛과 풍미를 증진시켰다. 또한 대두 곤죽의 가열시 간을 단축(5분${\longrightarrow}$-2.5분) 하였을 경우 비동결 대두로 제조한 두부는 텍스쳐 특성이 열약하였으나 동결 대두로 제조한 두부는 가열시간에 관계없이 우수하였다 대두의 동결은 두부제조시 대두단백질의 가열변성을 용이하게 해주며, 대두단백질간의 응집체 형성과 응집체의 $Ca^{++}$과의 가교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두부중의 조단백질 함량은 동결여부, 가열시간에 관계없이 거의 동일하였으나 지방질 함량은 동결구에서 낮았으며 수율에 있어서도 동결구에서 낮았다. 이와같이 동결구의 지방질 함량과 수율이 낮은 것은 동결구에서는 지방질이 whey중으로 보다 많이 유출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