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리공간 분석

Search Result 1,76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fficient Capturing of Spatial Data in Geographic Database System (지리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공간 데이타 수집)

  • Kim, Jong-Hun;Kim, Jae-Hong;Bae, Hae-Yeo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1 no.3
    • /
    • pp.279-289
    • /
    • 1994
  • A Geographic Database System is a database system which supports map-formed output and allows users to store, retrieve, manage and analyze spatial and aspatial data. Because of large data amount, takes too much time to input spatial data into a Geographic Database System and too much storage. Therefore, an efficient spatial data collecting system is highly required for a Geographic Database System to reduce the input processing time and to use the storage efficiently. In this paper, we analyze conventional vectorizing methods and suggest a different approach. Our approach vectorizes specific geographic data when the users input its aspatial data, instead of vectorizing all the map data. And also, we propose optimized vector data format using tag bit to use the storage that collected data efficiently.

  • PDF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사회인구학적 상관요인에 대한 공간분석

  • Jo, Dong-Gi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3
    • /
    • pp.1-20
    • /
    • 2009
  •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지리적 가중 회귀(GWR)를 이용하여 건강 관련 삶의 질(HRQoL)의 사회인구학적 상관요인에 대한 공간분석을 시도한다. 관찰의 독립성과 오차의 동분산성을 가정하는 전통적 회귀분석과 달리,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은 속성정보뿐만 아니라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공간분석 기법이다. 분석모형은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EQ-5D를 종속변수로 하고 지역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인 노령인구비율, 조이혼율, 병상수, 재정자주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구성하였다. 종속변수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독립변수는 통계청 온라인 DB에 수록된 지역별 자료를 이용하였다. 모형을 추정해 본 결과 전반적으로 사회적 특성보다는 노령인구비율이나 조이혼율과 같은 인구학적 특성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적 변이를 고려하는 지역모형은 전역모형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중요한 유형을 보여주는데, 노령인구비율 변수와 조이혼율 변수의 지역별 추정치를 지도상으로 살펴본 결과 변수들의 효과가 공간적 위치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는 또한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이 전통적 회귀분석에 비해 공간적 자기상관의 문제를 극복하고 모형의 부합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SDTS Conversion System (SDTS 변환 시스템)

  • Lee, Kang-Jun;Kim, Jun-Jong;Sul, Young-Min;Han, Ki-J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8.07a
    • /
    • pp.181-195
    • /
    • 1998
  • 지리 정보 시스템(GIS)은 그 특성상 대용량의 GIS 데이타를 사용하며, 다양한 운영체제와 하드웨어 상에서 구현된다. 이렇게 상이한 운영체제와 하드웨어상의 공간데이타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GIS 데이타 포맷을 갖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자료 교환이 불가능하다면 데이타 공유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통 데이터의 중복 보관 및 관리로 인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온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외에서는 이미 GIS 데이타 교환을 위한 방안으로 공통 교환 표준 포맷 작업이 10여년 전부터 진행되어왔으며, 국내의 경우도 국가 차원에서 지리 정보시스템의 국가 표준을 설정하고, 기본 공간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다. 그리하여, 국가 기본 포맷과 공통 데이타 교환 포맷의 표준으로 SDTS(Spatial Data Transfer Standard)를 채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범용의 SDTS 변환 시스템의 구현에 필요한 공간 데이타 분석, 논리적 설계, 물리적 설계 등의 전반적인 SDTS 변환과정, 테스트 검증 사항, 그리고 반드시 지켜야 할 규칙들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공간 데이타인 GOTHIC과 SDTS 간의 변환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대해서 언급한다.

  • PDF

Basic Concepts in Geographic Education: The Estimation by Secondary Geography Teachers and the Quest for Reformation (지리교육의 기본 개념: 지리교사들의 인식과 재정립 방향의 모색)

  • 이영민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3
    • /
    • pp.281-293
    • /
    • 1999
  • 이 연구는 개념 및 개념학습의 의미와 가치를 평가해 보고, 기존의 지리교육 기본 개념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여 현장 교사들의 기본 개념 인식과 비교한 후, 향후의 지리교육 내용 구성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지리교육의 개념은 지리적 현상의 작동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개괄적인 관념으로서 관련 지식들을 인지구조 속에 붙들어 매어주는 역할을 한다. 현장교사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기본개념은 인간-자연관계, 입지, 지역, 지도화, 지역적 차이, 문화 등이며, 이는 전통지역지리학에서 강조되어 온 개념들이다. 반면에 지역적 결합, 공간 및 공간관계, 장소, 지구사회, 이동 등의 개념은 교사들이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개념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과 관련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할 점은 지리학과 지리교육의 기본개념을 무차별적으로 혼용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학문적 성과와 교육적 성과는 다른 것이며, 이에 맞춰 지리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하위개념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ML Document Management System (GML 문서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김동오;윤재관;한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85-87
    • /
    • 2001
  • 최근 지리 정보 시스템(GIS)이 전 국가적으로 대중화되면서 지리 정보가 다양한 분야와 다양한 서버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렇게 다양해진 지리 정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선 지리 정보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은 필수적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 OGC(Open GIS Consortium)에서는 상호운용성에 대한 표준 명세인 OpenGIS(Open Geodata Interoperability Specification)를 제시하였으며, 또한 이를 웹 환경에서 검증하고 활용하기 위해 웹 매핑 테스트 베드에서 여러 가지 시도를 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 중 하나로 웹 환경의 이질적인 지리 정보를 공통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지리정보를 구조화된 문서인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인코딩하는 GML(Geography Markup Language) 명세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환경에서 지리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GML 2.0 명세와 GML 2.0 에서 사용하고 있는 XML 스키마 명세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사용자들이 GML 2.0 문서를 쉽게 생성, 디스플레이, 편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존의 공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의 지리 정보를 GML 2.0 문서로 변환하고, 반대로 GML 2.0 문서를 공간 데이타베이스로의 변환을 쉽게 할 수 있는 GML문서 관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GOOD 2.0 : a Geographical Data Manager using Spatial indices (GOOD 2.0 : 공간 인덱스를 사용한 지리 데이타 관리기)

  • Oh, Byoung-Woo;Han, Ki-J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3 no.2 s.6
    • /
    • pp.137-149
    • /
    • 1995
  • A spatial index is necessary to support an efficient search in a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that is important in these day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geographical data manager, called GOOD (Geo-object Oriented Data Manager) 2.0, by extending GOOD 1.0 with a spatial index processing module. That is, R-tree and R*-tree are used as a spatial index in this paper to make an efficient search possible. In addition, this paper conducts a performance evaluation to measure the improvement in search efficiency and analyzes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When the performance evaluation is carried out, we consider various environment factors to allow an GIS administrator to use the results as a basic data in selecting an appropriate spatial index.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