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르코니아 비니어 세라믹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비니어 세라믹과 지르코니아 세라믹의 Push-Shear 결합강도 (Push-Shear Bond Strength of Veneering Ceramics and Zirconia Ceramic)

  • 안재석;노형록;이정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384-39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원통형 지르코니아 코어에 다섯 종류의 지르코니아 비니어 세라믹을 축성하여 push-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비니어 세라믹의 이축굽힘강도와 지르코니아 글라스 라이너 처리에 따른 전단결합강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르코니아 비니어 세라믹은 piston-on-three-ball test로 이축굽힘강도를 측정하였고, 지르코니아 실린더 코어와 비니어 세라믹은 push-shear test로 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값은 이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축굽힘강도는 Cercon ceram kiss (CE)군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전단결합강도는 글라스 처리군과 Triceram(TR)군이 높게 측정 되었으며 Creation ZI(CR)군에서 가장 낮은 값이 측정 되었다. 실험군에서 지르코니아 라이너 처리군이 라이너 처리하지 않는 군보다 전단결합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따라서 지르코니아 라이너 처리는 지르코니아와 비니어 세라믹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심미수복을 위한 글라스-세라믹 재료의 치과 응용 (Dental application of glass-ceramic materials for aesthetic restoration)

  • 배태성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8권7호
    • /
    • pp.435-442
    • /
    • 2020
  • 치과의사가 수복재료를 선택하고 환자에게 추천할 때는 수복할 치아 위치, 결손 정도, 환자의 심미적 요구도, 저작력, 나이, 경제적 여건 등 여러 가지의 요인을 고려한다. 그렇지만, 수복재료를 선택할 때의 일차적인 기준은 구강 내에서 기능 시 작용하는 교합력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미국 국립보건원(NIH) 지원으로 조사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전치부 수복재료로서는 리튬 디실리케이트계 글라스-세라믹이 54%, layered zirconia가 17%, 루사이트 강화 글라스-세라믹이 13% 순을 보여, 전치부 수복재료로서 리튬 디실리케이트계 글라스-세라믹이 가장 많이 사용었다. 또한 구치부 수복재료로서는 단일구조 지르코니아가 32%, 금속-세라믹이 31%, 리튬 디실리케이트계 글라스-세라믹이 21% 순을 나타냈다. 세라믹 수복 재료의 특성을 살펴보면, 단일구조 지르코니아는 강도는 높지만 명도가 높고 저온열화로 인한 강도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layered zirconia는 심미성은 우수하지만 강도가 낮은 비니어 세라믹의 칩핑과 박리가 문제가 되고 있다. 리튬 디실리케이트계 글라스-세라믹은 심미성은 우수하지만 지르코니아에 비해 강도가 낮으므로 구치부에 적용 시 파절이 일어날 위험성이 있다. 루사이트계 글라스-세라믹은 심미성은 우수하지만 기본적으로 강도가 낮기 때문에 전치부에 한정하여 적용한다. 세라믹 크라운이 구치부 교합력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350 MPa 이상의 굴곡강도를 가져야 한다. 리튬 디실리케이트계 글라스-세라믹은 광투과성이 양호한 심미성이 있는 재료이므로 비니어 없이 전치부에 적용할 수 있고, 굴곡강도가 400 MPa 이상이므로 구치부 교합력에 저항할 수 있고, HF에 의한 산부식과 실란(silane) 처리가 가능하므로 레진과 강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고, 또한 포세린에 비해 대합치의 마모가 적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 리튬 디실리케이트계 글라스-세라믹 재료는 전구치부의 단일치 수복에 적합한 성질을 갖고 있음을 알수 있다. 그렇지만 그의 임상 응용이 더욱 증가하기 위해서는 이들 재료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와 이해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