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뢰제거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지뢰제거 장비의 발전추세와 운용방안(2)

  • Sin, Yong-Bok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7 s.233
    • /
    • pp.78-87
    • /
    • 1998
  • 비무장지대에 매설되어 있는 100만여개의 지뢰와 북괴의 호전적인 태도를 감안한다면 전시에 전투력 발휘를 보장하기 위한 전력화 측면에서 그리고 인도주의적 측면에서 우리군도 정책적으로 추가적인 지뢰제거장비의 연구개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겠다. 지뢰제거장비는 1종류만 사용한다면 100% 지뢰제거에는 제한이 따르며 기계식, 전자기식, 폭파식, 비폭파식 장비를 종합적으로 운용하여 전시 기동부대에 기동성을 보장하고 또한 군사작전지역이 아닌 지역에서 지뢰로 인한 민간 사상자를 방지하고 통일에 대비할 수 있도록 지뢰탐지 및 제거장비개발 획득에 박차를 가해야 하겠다.

  • PDF

지뢰탐지 센서의 기술동향

  • Lee, Jun-U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7 s.293
    • /
    • pp.32-37
    • /
    • 2003
  • 지뢰 제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지뢰의 탐지인데, 현재 이용되고 있는 장비들의 성능에는 나름대로 장.단점들이 있어 주로 미구기과 유럽에서 새로운 지뢰의 센서기술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대단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캄보디아나 아프칸 등 전쟁 또는 내전의 후유증으로 제거되지 않고 방치된 무수히 많은 지뢰들에 의해 민간인들의 피해가 계속되자 UN을 중심으로 한 소위 '인도적 지뢰제거'(Humanitarian Demining)사업이 펼쳐지게 되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 분야의 연구개발 예산이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 PDF

지뢰제거 장비의 발전추세와 운용방안

  • Sin, Yong-Bok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6 s.232
    • /
    • pp.80-87
    • /
    • 1998
  • 최근 실시한 워게임에서 한반도에서 지뢰를 제거하고 지뢰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수만명의 추가적인 군사상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한국이 대인지뢰 금지협약에 가입하고 지뢰를 제거할 수 있는 시점은 한반도의 평화정착 여건이 가시화되었다는 믿음이 확실할 때 뿐만 아니라 북한이 대남 적화노선을 포기하고 이를 실천적인 행동으로 보여줄 때이다

  • PDF

지뢰탐지 센서의 기술동향(2)

  • Lee, Jun-U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8 s.294
    • /
    • pp.26-37
    • /
    • 2003
  • 지뢰의 제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지뢰의 탐지인데, 현재 이용되고 있는 장비들의 성능에는 나름대로 장.단점들이 있어 주로 미국과 유럽에서 새로운 지뢰의 센서기수리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대단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캄보디아나 아프간 등 전쟁 또는 내전의 후유증으로 제거되지 않고 방치된 무수히 많은 지뢰들에 의해 민간이니들이 패해가 계속되자 UN을 중심으로 한 소위 '인도적 지뢰제거'(Humanitarian Demining)사업이 펼쳐지게 되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 분야의 R/D 예산이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 PDF

Clearance Depth Control for the Non-explosive Demining System of a Tracked Mobile Robot (비폭파식 지뢰제거 무한궤도형 주행 로봇의 작업 깊이 제어)

  • Jeong Hae Kwan;Choi Hyun Do;Kim Sang Do;Kwak Yoon 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2 no.9 s.174
    • /
    • pp.155-161
    • /
    • 2005
  • Up to now, a lot of unmanned demining system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some inferiority surely exist by reason of their large platform and explosive mechanism. To settle this inferiority, non-explosive demining system adaptable to a mobile robot already has been developed. Brief experiment indoors showed that developed demining system can remove landmines well. But, out of doors, several problems are detected. In this research, a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developed non-explosive demining system is mainly discussed. To overcome downhill effect, mechanical sensor composed of shaft and spring is used. It is confirmed that clearance depth control using the mechanical sensor is a good solution for the inclination of the system.

지뢰탐지 센서의 기술동향(3)

  • Lee, Jun-U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9 s.295
    • /
    • pp.28-39
    • /
    • 2003
  • 우리 나라는 남-북 대치하고 있는 특수한 상황 때문에 '대인지뢰 금지협약'에도 가입하고 있지 않고, 그 결과 우리 정부 당국자는 물론 과학계에서도 지뢰제거와 관련된 기술개발에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어느 때고 닥칠 수 있는 남-북 통일이 현실화되면, 그야말로 막대한 경비와 장시간이 소요되고 그로 인한 불가피한 인명피해는 물론 방대한 토지를 장시간 활용하지 못하는데서 오는 경제적인 손실 등으로 인해 통일한국을 건설하는 데 있어서 커다란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높다.

  • PDF

A Study on the Robot Teleoperation for Mine Removal (지뢰제거를 위한 로봇 텔레오퍼레이션 기술 연구)

  • Lim, Soo-Chul;Yoo, Sam-Hye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v.11 no.6
    • /
    • pp.156-163
    • /
    • 2008
  • Future Combat System(FCS), such as unmanned systems that reduce the danger faced by soldiers in the field, are likely to be studied and developed. Soldiers when finding and disposing of mines risk injury and death. Several methods of safe mine retrieval are investigated. In this paper, a mine removal method, which uses a remote controlled robot to get rid of mines using a 4 channel architecture teleoperation method is used. The robot, when in contact with soil and mines, is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The feasibility of using teleoperation controlled system to remove mines is demonstrated in this paper. The Matlab-Simulink was used as a tool to simulate mine removal with robots. The force and position of the robot{slave system of 4 channel architecture) and controller(master system of 4 channel architecture) are analyzed when users handle the controller with sinusoidal force.

Variable Configuration Tracked Mobile Robot for Demining Operations (지뢰제거작업을 위한 가변 형상 무한궤도형 주행 로봇)

  • Jeong, Hae-Kwan;Kim, Sang-Do;Lee, Cheong-Hee;Kwak, Yoon-Keun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4.04a
    • /
    • pp.804-809
    • /
    • 2004
  • This paper introduces a link-type tracked vehicle which is developed for demining operations. The vehicle consists of three parts - front frame, rear frame and body. The front frame is connected to the rear frame by a rotational passive adaptation mechanism which is a driving mechanism of the vehicle. Additionally, the demining system which is adaptable to mobile robot is developed to clear small Anti-Personnel(AP) mines with inexplosive method. In other words, assembled rakes unearth mines by their opposite rotation to the direction of the robot. Finally, the motions of demining rakes and design parameters of the demining system are analyz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