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도구축

Search Result 1,289, Processing Time 0.04 seconds

Construction of 3D Digital Maps Using 3D Symbols (3차원 심볼을 활용한 3차원 수치지도 제작에 관한 연구)

  • Park, Seung-Yong;Lee, Jae-Bin;Yu, Ki-Yun;Kim, Yong-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4 no.5
    • /
    • pp.417-424
    • /
    • 2006
  • Despite of many researches related to create 3D digital maps, it is still time-consuming and costly because a large part of 3D digital mapping is conducted manually. To circumvent this limitation, we proposed methodologies to create 3D digital maps with 3D symbols automatically. For this purpose, firstly, the 3D symbol library to represent 3D objects as 3D symbols was constructed. In this library, we stored the attribute and geometry information of 3D objects which define types and shapes of symbols respectively. These information were used to match 3D objects with 3D symbols and extracted from 2D digital maps and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data. Then, to locate 3D symbols into a base map automatically, we used predefined parameters such as the size, the height, the rotation angle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3D objects which are extracted from LiDAR data. Finally, the 3D digital map in urban area was constructed and the results were tested.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identify that the developed algorithms can be used as effective techniques for 3D digital mapping.

The Establishment of the Quality Estimation Elements for Spatial Data (공간데이터의 품질평가요소 정립에 관한 연구)

  • Choi, Byoung-Gil;An, Ki-Dok;Shin, Sang-Ho;Cho, Kwang-He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27-331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데이터 구축시 아직까지 체계화되어 있지 않은 공간데이터의 품질 평가요소를 정립하는데 있다. 총 17개의 국내 공간데이터 품질관련 법규를 구축 공정, 작업방법, 장비, 정확도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항공사진 촬영이 가능한 대규모 업체를 대상으로 작업순서, 사용장비, 작업순서 전후의 결과물의 정확도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팀장급 직원들을 대상으로 현행 관련법규와 실무의 차이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공간데이터의 구축공정을 항공사진을 이용한 수치지도 신규제작, 기존 수치지도 수정제작, 영상지도제작, 수치표고모델 구축 공정으로 구분하고, 각 공정별로 생성되는 공간데이터의 품질을 체크할 수 있는 요소들을 정립하였다.

  • PDF

The Establishment of the Quality Management Method for Spatial Data Construction Process (공간데이터 제작과정의 품질관리방법 정립에 관한 연구)

  • Choi, Byoung-Gil;Cho, Kwang-Hee;Lee, Kwang-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3 no.3 s.33
    • /
    • pp.3-13
    • /
    • 2005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quality management method for spatial data construction process. Total 17 regulations related to spatial database construction and major aerial survey firms were analyzed in terms of working process, equipments, accuracy of results. It is standardized the process of making new digital maps using aerial photography, revising existing digital maps, producing digital elevation models and developing imagery maps. Quality checking factors for spatial data construction process are also established.

  • PDF

A Study on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the Zone-Based Landuse Information system Using Digital Maps; A Case of Pohang City (지형 수치지도를 활용한 표준분석구역 설정 및 토지이용 정보체계의 구축방법론)

  • 구자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6 no.2
    • /
    • pp.169-182
    • /
    • 1998
  • The Zone-Based. landuse Information System(ZBLIS) is an useful information system for city administrators and researchers for planning and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concept and methodology of the ZBLIS. The concept of Planning Analysis Zone(PAZ), as a basic unit of analysis, was defined to establish the ZBLIS. Then, various PAZs were suggested through a case study of Pohang city. Also, various useful attribute data were recommended in this study for ZBLIS. Digital Maps were used to establish ZBLIS. Among 730 subcategory items in the Digital Maps, some necessary items were selected for ZBLIS. A 84 items was recommended to be use of the ZBLIS. And 250 more items were recommended for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ZBLIS. While previous studies of landuse infonnatiom systems have focused on establishing Parcel-based Landuse Infonnation System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is trying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he ZBLIS and suggest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the ZBLIS.

  • PDF

Automated Generation of Multi-Scale Map Database for Web Map Services (웹 지도서비스를 위한 다축척 지도 데이터셋 자동생성 기법 연구)

  • Park, Woo Jin;Bang, Yoon Sik;Yu, Ki 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0 no.5
    • /
    • pp.435-444
    • /
    • 2012
  • Although the multi-scale map database should be constructed for the web map services and location-based services, much part of generation process is based on the manual editing. In this study, the map generalization methodology for automatic construction of multi-scale database from the primary data is proposed. Moreover, the generalization methodology is applied to the real map data and the prototype of multi-scale map dataset is generated. Among the generalization operators, selection/elimination, simplification and amalgamation/aggregation is applied in organized manner. The algorithm and parameters for generalization is determined experimentally considering T$\ddot{o}$pfer's radical law, minimum drawable object of map and visual aspect. The target scale level is five(1:1,000, 1:5,000, 1:25,000, 1:100,000, 1:500,000) and for the target data, new address data and digital topographic map is used.

Preliminary Study for Constructing Housing Demand and Supply Mapping Model (주택수급지도 구축 기초연구)

  • Choi, Jun-Young;Kim, Yeon-Sik;Yu, Chang-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28-235
    • /
    • 2008
  • 새정부 들어 주택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대책을 내놓고 있으나, 주택 수요 공급과 관련된 통계 및 정보의 종합적 관리 체계 미흡으로 주택수급상황을 파악하여 주택수급에 대처하는 주택하위 시장별 대응정보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수급상황을 분석 및 제공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을 구축 "주택 수요"가 있는 곳에 "주택을 공급"하는 정책지원체계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행정생활권, 광역교통망, 주택사업위치, 공공 민간 사업지구 등의 GIS정보 기반에 주택 수요 공급 통계 및 정보를 분석하여 정책지원 및 대국민 서비스를 하는 정보체계인 주택수급지도(Housing Demand and Supply Mapping Model)의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에서는 주택수급에 필요한 수요현황 및 예측 등 "주택수요정보"에 기초하여 주택건설, 공급, 재고 등의 "주택공급정보"를 분석하여 주택수급지도에 대한 기본설계 방안을 도출하였다. 향후 주택수급지도를 활용하여 주택수급상황을 한눈에 파악하고, 주택수요를 고려한 수요자별 맞춤형 주택공급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지역별, 주택 규모별, 주택유형별, 인구계층별 주택수급 예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patio-temporal Data Model for 2D Map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2차원 지도용 시계열 공간 데이터 모델과 구축방법)

  • Hwang, Jin Sang;Kim, Jae Koo;Yun, Hong 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2
    • /
    • pp.105-111
    • /
    • 2015
  • Domestic 2D maps includes only most up-to-date information at the time of production without historical information. Therefore, it is hard to identify the change history of real world objects. In this research, Spatio-temporal model for 2D map were developed and it's compatibility was verified through the pilot project conducted on the Gwanggyo area of Gyeonggi province. Also, the procedure to generate 2D spatio-temporal database using maps made periodically on the same target area was introduced for showing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nation wide spatio-temporal 2D map using the national base map updated periodically.

A Development of GVP for Hierarchical POI Information Visualization (계층적 POI 정보 가시화를 위한 GVP 개발)

  • Park, Yong-Jin;Xin, Jin;Han, Won-Hee;Seo, Se-Kwang;Song, Eun-Ha;Han, Sung-Kook;Jeong, Yo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b
    • /
    • pp.390-395
    • /
    • 2007
  • 현재 컴퓨터 성능의 발달과 함께 GIS 서비스는 기존의 단순 지도 서비스를 비롯한 각 개체들의 위치 정보인 POI 서비스까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GIS 서비스는 그 핵심적 기반이라 할 수 있는 지도 데이터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각 개발 업체 및 연구기관마다 각기 다른 지도데이터 포맷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곧 데이터의 중복 구축뿐만 아니라 기존 GIS간의 상호 운용성이 결여되어 서로 간에 호환 불가라는 문제점을 야기 시킨다. 또한, POI 서비스에서도 POI를 이루는 개체들에 대한 위치 정보가 불충분하여 단순히 지명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어,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도 표준인 GML을 기반으로 하여 지도 가시화의 중복 구축 및 비호환성을 극복하고, 단순한 POI 정보에 대해서는 계층적이고 사용자 중심적인 위치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가시화하는 GVP를 개발한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Hazard Map using Where 2.0 Service (Where 2.0 서비스를 이용한 재해지도 작성에 관한 연구)

  • Kim, Jung-Ok;Kim, Ji-Young;Kim, Yong-Il;Yu, Ki-Yu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447-452
    • /
    • 2007
  • Where 2.0은 Google Map, Yahoo! Map 등이 공개한 API를 이용하여 다양한 교통, 환경, 범죄, 지역정보 등의 정보 및 개인정보를 혼합하여 지도 위에 시각화하거나,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웹(web) 서비스가 일반화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here 2.0 서비스를 이용한 재해지도의 작성 가능성을 제안한다. 재해지도 작성을 위해 기 구축된 건축물정보, 도로정보, 소방시설물정보 등의 공공자료를 바탕으로 재해지도를 작성함으로써, 재난을 예방관리하고 재해 발생 시에는 대피 등에 활용하며, 공공정보의 디지털화 및 기 구축된 공공정보의 이용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웹 2.0 시대 매쉬업(mash up)과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재난정보를 새로운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

Concurrent Merge Updates of Tile-based Geometry Data for Building a GIS Database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타일-기반 기하 데이터의 동시 합병 변경)

  • 이상현;김동현;홍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376-378
    • /
    • 1999
  • 공간 데이터 수집과정을 통해 제작된 수치지도는 타일 기반의 교환 포맷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타일 기반의 수치지도를 이용해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먼저 타일로 분리되어 있는 수치지도를 Seamless 수치지도로 재작성해야 하며 이를 위해 타일 합병 작업이 필요하다. 타일 합병 작업을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수행할 경우, 작업의 선후 관계에 따라 작업을 잃어 버리거나 (작업손실(Lost-Work)) 또는 동일한 엔티티들에 대해 교차 잠금이 요청되어 교착상태(DeadLock)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작업자 상호간의 메시지 교환을 통한 동시 합병 작업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수치지도 합병 처리기를 설계 및 구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