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니

검색결과 178,305건 처리시간 0.102초

기획 - 특수인쇄용지 - 최첨단 기능성 종이로 진화한다 -

  • 박성권
    • 프린팅코리아
    • /
    • 제8권5호
    • /
    • pp.70-75
    • /
    • 2009
  • 특별한 용도에 맞게 특수 성질을 가진 용지를 특수 기능지라고 한다. 특수 기능지는 새로운 섬유나 무기분말 및 약품 등을 이용하여 초지기술이나 코팅 기술 등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를 부여한 종이로 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식품포장용의 내수 내유지, 감압지, 항균지, 방청지, 감응지, 감열지, 항수지, 내세지들이 대표적인 특수 기능지라고 할 수 있다. 기능지는 사회의 다양화에 따라 종래으 단순한 패키지 가공 필름이나 알루미늄의 합지품에서 리싸이클이 가능하고 분리 폐기가 가능한 '환경 적응성' 기능지들이 요구 되고 있다. 인스턴트식품으 수요증가와 맞물린 새로운 옷, 새로운 특수 기능지들을 알아본다.

  • PDF

정박지 점유율을 이용한 집단 정박지 면적 제시 방법 연구 - 울산항 E 정박지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 (A Study on the Method of Representing Anchorage Using Occupancy Rate - Simulation Based on Ulsan E Anchorage -)

  • 박준모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7-17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정박지 해상교통 환경을 재현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정박지의 적정 면적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울산항 E정박지에 적용하여 울산항 정박지 면적의 적정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박지 사용현황에 따른 시간별 정박지 점유율과 필요 정박지 면적 계산식을 제시하였다. 시간별 정박지 점유율 분석을 위해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을 구성하고, MATLAB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으며, 이를 울산항 E 정박지에 적용하여 시간별 정박지 점유율과 필요 정박지 면적을 도출하고 현재 울산항 E정박지 면적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E1 정박지의 필요 정박지 면적은 현재 정박지 면적의 1.41배, E2와 E3 정박지는 0.90배, 0.96배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박지 면적의 적정성 분석 결과를 정박지 설계기준에 반영할 경우 정박지를 이용하는 선박의 안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J2ME 디바이스를 위한 써로게이트 시스템 설계 (The Design of the Surrogate System for J2ME CLDC-Devices)

  • 장준;최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A)
    • /
    • pp.649-651
    • /
    • 2004
  • 최근 소형 디바이스들이 인터넷 같은 IP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면서, 디바이스간에 동적 분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술인 지니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 지니 기술은 J2SE 자바가상머신(JVM)을 탑재한 디바이스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J2ME CLDC를 탑재한 소형 디바이스가 지니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니 네트워크에서 제시한 지니 써로게이트 구조를 이용하여 지니 써로게이트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이질의 네트워크 간의 상호운용을 위한 양방향 지니 어댑터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wo-way Jini Adaptor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 오일진;황윤영;이규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4권9호
    • /
    • pp.864-875
    • /
    • 2008
  • 유비쿼터스 환경이 도래하면서 유비쿼터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서브네트워크들이 다양화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서비스 검색을 위해 지니(Jini), UPnP, DPWS 등 여러 서브네트워크들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서브네트워크들은 서비스 기술방식, 통신방식 및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언어가 상이함으로 인하여 서로 간에 상호운용이 되지 않는다. 유비쿼터스의 정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용자가 모든 서비스를 발견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한다. 하지만 기존의 서브네트워크는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브네트워크의 상호운용을 위하여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웹서비스를 중간매개체로 하여 서비스들을 검색하고 사용하는 방식인 WSUN(Web Services on Universal Networks)을 기반으로 지니 시스템과 이질의 서브네트워크 간의 상호운용을 위한 지니 어댑터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지니 어댑터는 Lookup Service, 지니 사용자, 웹서비스 사용자를 확장한 것이다. 지니 어댑터는 지니 서비스를 발견하여 웹서비스로 변환하고 UDDI에 등록한다. 지니 어댑터는 지니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여 WSUN을 이용하여 이질 서브네트워크 사용자의 서비스 검색에 활용한다. 지니 어댑터를 통하여 WSUN 클라이언트는 지니 서비스 상태정보를 활용한 서비스 검색 및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지니 사용자는 지니 어댑터를 통해 이질의 서브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검색 및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지차체 GIS 고도화 모델 연구 (A Study on Advanced Model for GIS Implementation in Local Governments)

  • 김은형;박준구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7-94
    • /
    • 2007
  • 지자체 GIS 정보화가 확산되어감에 따라 구축된 공간정보의 활용확산, 타 정보와의 연계 등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지자체 GIS 통합 연계는 지자체 정보화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지자체에서는 도로, 상하수도 등 공간정보 수요가 높은 업무 분야를 중심으로 지자체 GIS 통합연계를 추진하고 있으며, 지자체 지리정보 담당부서의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어 지자체 전 부서 대상의 공간정보 활용에 대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선 지자체 내 전부서에서의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지자체 GIS 통합연계 고도화 모델이 필요하다. 지자체 GIS 통합연계 고도화 모델은 지자체 지리 정보 담당부서 중심의 통합연계에서 확대하여 지자체 전 부서 및 국가적 차원에서의 협력체계를 고려한 모델로서 지자체의 수평적 수직적 통합연계 모델이다.

  • PDF

확장된 평균-지니 기준의 헤지모형에 활용 가능성 평가

  • 권택호;조대우
    • 재무관리연구
    • /
    • 제12권2호
    • /
    • pp.143-162
    • /
    • 1995
  • 평균-분산 기준보다 우수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는 평균-지니 기준은 위험회피 정도를 고려할 수 있는 확장된 평균-지니 기준으로 확장되면서 선물시장에서의 헤지모형에 도입되어 분포특성과는 무관하게 헤지비율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확장된 평균-지니 기준을 실제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확장된 지니평차를 계산가능한 형태로 변환해야 하는 문제와, 수익률의 누적확률 값을 추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누적확률 값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수익률의 분포함수와는 관계없이 순위에 의한 방법이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분포의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해서 누적확률을 계산하는 경우와 순위를 이용해 추정하는 방법을 비교함으로써 순위방법의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확장된 지니평차를 실제로 계산하는 데 있어서의 문제점도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확장된 평균-지니 기준을 헤지 모형에 도입하여 활용하는 것의 현실적 유용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확장된 지니평차의 계산을 위해 변형한 식에 대한 정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과, 확장된 지니평차를 헤지모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누적확률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문제의 해결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 PDF

지니 어댑터를 이용한 지니 클라이언트에서의 웹서비스 검색 및 호출 (Web Services Discovery and Binding From a Jini Client Using the Jini Adaptor)

  • 오일진;류동호;이규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26-1129
    • /
    • 2008
  • 컴퓨팅 및 네트워크의 발전은 정보가전의 기능을 다양화하고 지능화를 촉진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 어떤 네트워크에 있는 어떤 디바이스도 사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한 관심을 증가 시키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실현하기 위해 많은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표준이 정해지지 않아 서로 다른 서비스 기술방식이나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질적인 서비스들 사이에 상호운용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고, 본 논문에서 이야기 하는 지니 어댑터는 웹서비스를 중간 매개체로 하여 상호운용을 지원하고자 한다. 지니 서비스를 웹서비스로 변환하여 UDDI에 등록하면 웹서비스를 호출할 수 있는 서비스는 지니서비스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지니서비스에서 웹서비스를 호출할 수 있다면, 웹서비스와 웹서비스로 변환된 다른 서비스들을 사용함으로써 상호운용이 가능해 진다. 본 논문에서는 지니 어댑터를 통하여 지니 클라이언트가 웹서비스를 검색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이야기 한다.

핸드폰 기반 지니 서비스 (Mobile phone­based Jini Service)

  • 오길원;정갑주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3)
    • /
    • pp.661-663
    • /
    • 2003
  • 주변에 존재하는 임의의 다양한 소형기기 기반 서비스(예, 각 지역의 유틸리티 장비 서비스)들을 동적으로 발견하고, 이들간 상호 서비스 호출이 동적인 분산컴퓨팅 환경을 퍼베이시브 컴퓨팅 환경이라 한다. 지니는 이러한 퍼베이시브 컴퓨팅 환경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미들웨어이다. 그러나 지니 미들웨어의 높은 H/W 및 S/W 요구사항 때문에 많은 소형기기에서는 지원이 되지 않아, 퍼베이시브 컴퓨팅 환경에서 광범위한 활용이 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H/W 용량과 S/W 기능을 갖고 있는 소형기기 상에서 범용적 지니 지원방법 (지니 Surrogate 아키텍쳐)를 논의하고, 대표적 인터넷 소형기기인 핸드폰 상에서 지니 서비스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원자력발전소 직류전원계통용 축전지 적용사례 (Application of Batteries for DC Power System in Korea Nuclear Power Plant)

  • 김대식;차한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1173-1174
    • /
    • 2011
  • 원자력발전소에 사용되는 직류전원계통은 발전소 운전제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축전지는 교류전원 상실시 전원이 회복될 때까지 발전소의 계통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계측제어설비의 전원공급과 발전소의 안전정지 등에 대비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설비이다. 발전소 직류전원계통용 축전지에 대한 설계 및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국내 외 기술기준과 축전지 용량 및 동작책무 그리고 안전등급 축전지가 공급하는 부하, 축전지의 점검 및 성능시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현재 전기자동차에 사용될 축전지와 신재생에너지의 출력변동 보상용 축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향후 축전지의 연구개발로 축전지 형식이 납축전지에서 기타 다른 우수한 방식의 축전지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사용될 축전지의 특성, 배터리관리시스템, 축전지에 대한 원자력발전소용 기술기준의 개발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이미지 패치 기반 합성곱 신경망을 통한 아날로그 게이지 인식 (Analog Gauge Reading with Image Patch-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견민수;백승한;박종일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5-98
    • /
    • 2022
  • 아날로그 게이지는 여전히 많은 산업 시설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게이지 값을 사람이 수동으로 읽기 때문에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모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합성곱 신경망을 사용하여 아날로그 게이지 값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게이지가 촬영된 영상을 그대로 입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사람이 게이지를 읽는 과정을 고려하였을 때 불필요한 부분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게이지 전체 이미지를 학습에 사용하지 않고, 게이지의 특정 이미지 패치 기반으로 아날로그 게이지 값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게이지의 중심, 눈금의 최소, 최대, 지침의 좌표를 기반으로 이미지 패치를 생성하고 채널 축으로 병합하여 학습을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게이지의 각도를 계산한다. 이는 게이지의 평균 각도 오차를 통해 제안한 방법이 게이지 값을 인식하는데 우수한 성능이 보였으며, 게이지 이미지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게이지 값을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