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능정보기술

Search Result 3,83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a technological-level evaluation based on integrated data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Domain (지능정보기술 분야에 대한 통합적 데이터기반의 기술수준평가 조사연구)

  • Cho, Ilg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35-236
    • /
    • 2017
  • 최근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지능정보기술은 대규모 데이터에 대한 자가학습(Machine Learning)을 통해 알고리즘 성능을 지속적으로 강화함으로써 데이터와 지식이 산업의 주요 경쟁 원천으로 부상시키고 있다. 지능정보기술은 산업전반에 구조적 대변혁을 촉발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지능정보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 도입 및 확산하여 국가경쟁력을 제고해나가려 하고 있다. 따라서 지능정보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R&D 전략수립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본 조사 연구에서는 IoT, Cloud, Bigdata, Mobile, AI 등 지능정보기술 분야의 기술경쟁력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 정성적 기술수준평가와 함께 특허, 논문 등 데이터기반의 기술수준평가에 대한 것이다.

  • PDF

Analysis on the Media Content Research Trends in Media Convergence Era Based on Intellectual Information Technology (지능정보기술 기반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의 콘텐츠 연구경향 분석)

  • Jeon, Gyongran;Kim, Young-Chul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0 no.2
    • /
    • pp.113-122
    • /
    • 2020
  • This study is the research tendency(2016~2019) on the content and the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fter the IIT emerged as a social topic, related research increased, and interest in VR and AR was the highest. In games, more research has been done on VR and AR. In the case of big data technology, it was a tendency to pay attention to the study of movie contents. Many studies have attempted a technological approach to IIT. With regard to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re were differences by technology and content area, mainly viewed from a leg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

A Case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Counseling Vocational Field (상담 직업 분야의 인공지능 도입 사례 분석 연구)

  • 김태연;이재두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676-677
    • /
    • 2023
  • 본 논문은 상담 직업 분야에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했을 때의 사례를 분석하고 상담직업의 발전방안을 제시한다. 상담 직업의 역할과 중요성을 살펴보고, 상담을 할 때 심리적인 요인으로 원활한 상담 진행이 어려웠던 부분에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했을 때 상담사의 심리적인 요소에 소비되었던 비용은 줄이고 기존 상담 데이터 분석을 통한 상담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는 등의 상담도구를 발전시키는 방안을 수립하여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상담 직업이 어떻게 발전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Technology trends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intelligent geographic information (지능형 지리정보 기술 동향과 전략)

  • Kim, Eun-Hyung;Park, J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37-238
    • /
    • 2009
  • 최근 GIS는 지리정보에 u-IT 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지능형 지리정보 기술로 융합 및 확장되어 가는 추세이다. 이미, 지리공간정보와 관련한 글로벌 IT 업계에서는 GeoSpatial Web 기술을 통해 실세계와 가상세계를 연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쉽게 지리공간정보에 접근, 활용할 수 있는 엔진이나 플랫폼 등의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능형 지리정보 기술의 핵심인 GeoSpatial Web 에 관해 간략히 살펴보고, 아울러 국내외 지능형 지리정보 기술 동향 및 u-GIS 표준화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지능형 지리정보 기술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진 기술 분야로 진출할 수 있는 기술 개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KorSciDeBERTa: A Pre-trained Language Model Based on DeBERTa for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Domains (KorSciDeBERTa: 한국어 과학기술 분야를 위한 DeBERTa 기반 사전학습 언어모델)

  • Seongchan Kim;Kyung-min Kim;Eunhui Kim;Minho Lee;Seungwoo Lee;Myung-Seok Cho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704-706
    • /
    • 2023
  • 이 논문에서는 과학기술분야 특화 한국어 사전학습 언어모델인 KorSciDeBERTa를 소개한다. DeBERTa Base 모델을 기반으로 약 146GB의 한국어 논문, 특허 및 보고서 등을 학습하였으며 모델의 총 파라미터의 수는 180M이다. 논문의 연구분야 분류 태스크로 성능을 평가하여 사전학습모델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구축된 사전학습 언어모델은 한국어 과학기술 분야의 여러 자연어처리 태스크의 성능향상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isaster Information System and AI technology (재난정보시스템과 인공지능 기술)

  • Son, Ki-Chon;Park, Choo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19-221
    • /
    • 2017
  • 재난정보시스템은 재난정보를 처리하고 해석하는 사람들과 컴퓨터로 이루어진 시스템이다. 지능형 재난 재난정보시스템의 구조를 기반으로 다양한 종류의 재난에 이용되는 인공지능기술을 예방, 대비, 대응, 복구, 지원 단계별로 알아봄으로써 향후 재난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의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Policy and Strategy for Intelligence Information Education and Technology (지능정보 교육과 기술 지원 정책 및 전략)

  • Lee, Tae-Gyu;Jung, Dae-Chul;Kim, Yong-Kab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6 no.8
    • /
    • pp.359-368
    • /
    • 2017
  • What is the term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which is a term that has been continuously discussed recently? This means that the automation beyond the limits of human ability in the whole societies based on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s a universalized social future. In particular, it is a concept that minimizes human intervention and continuously pursues evolution to data (or big data) -based automation. For example, autonomous automation is constantly aiming at unmanned vehicle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key element. However, until now, intelligent information research has focused on the intelligence itself and has made an effort to improve intelligence logic and replace human brain and intelligence.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place the human labor force, we have continued to make efforts to replace workers with robots by analyzing the working principles of workers and developing optimized simple logic. This study proposes important strategies and directions to implement intelligent information education policy and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strategy by suggesting access strategy, education method and detailed policy road map for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strategy and educational service. In particular, we propose a phased approach to intelligent information education such as basic intelligence education, intelligent content education, and intelligent application education. In addition, we propose education policy plan for the improvement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ntelligent education contents, and intelligent education system as an important factor for success and failu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centered on intelligence and automation.

A Study on the Simulation/Simulator Development us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HLA/RTI Oriented) (지능형 정보기술을 활용한 시뮬레이션/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HLA/RTI 중심))

  • 김화수;박영철;이경원;곽남선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91-200
    • /
    • 2002
  • 오늘날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첨단 정보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시뮬레이션/시뮬레이터의 표준으로 확고히 자리를 잡고 있는 HLA(High Level Architecture)는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과 상호운용성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미 국방성에 의해 개발되어 이제는 분산 시뮬레이션의 표준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능정보 기술이 시뮬레이션/시뮬레이터 기술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으며, 어떻게 사용될 것인가에 대한 개념 연구와, 시뮬레이션/시뮬레이터모델 내에서 첨단 정보기술들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도출하였다. 또한, HLA와 HLA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중 하나인 RTI(Run Time Infrastructure)의 최신 버전과 RTI가 지원하는 서비스에 대해 고찰하였다. HLA 페더레이션 개발자들이 HLA 페더레이션 개발시 지침이 되는 여섯 단계의 페더레이션 개발 절차인 FEDEP(Federation Development and Execution Process) 모델을 따랐으며, RTI의 최신 버전(RTI-NG 1.3v4)을 사용하여 HLA를 따르는 지능정보형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 PDF

지능형 서비스 로봇 기술표준화 및 시장전망

  • Jeong, Yeon-Gu
    • TTA Journal
    • /
    • s.101
    • /
    • pp.16-21
    • /
    • 2005
  • 로봇 산업은 향후 IT, BT에 버금가는 시장을 형성할 잠재력이 있다. 또한 로봇산업은 지능화와 시스템화 기술로서 타분야에 미치는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기계, 전자 등 부품·소재기술부터, S/W 기술, 문화콘텐츠까지를 망라하는 통합기술의 결정체라 할만 하다. 정보통신부는‘지능형 서비스 로봇’을“인간과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의 명령 및 감정을 이해하고 반응하며, 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인간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번 호는 우리 기업들이 도전하고 개척해야 하는 거대 시장인‘지능형 서비스 로봇’산업 선점을 위한 핵심 요소인 표준화 및 시장동향을 국내 표준화를 선도하는‘TTA 지능형 서비스 로봇 프로젝트그룹’의장으로부터 들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