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능망

Search Result 1,626,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지능망(IN) 기술 표준화 동향

  • 정만상
    • TTA Journal
    • /
    • s.66
    • /
    • pp.48-65
    • /
    • 1999
  • 본 고는 전기통신망에서 유연한 서비스 제공 구조인 지능망 기술의 표준화 동향을 분석한다. 먼저 지능망 기술 개념과 지능망 관련 국제/지역 표준화 관련 기관을 살펴보고, ITU-T SG11을 중심으로 한 지능망 국제 표준화 결과인 IN CS-1,2,3의 주요 내용을 요약 정리한다. 그리고 최근의 지능망 표준화의 주요 이슈인 지능망에서의 인터넷 지원을 위한 지능망-인터넷 연동 표준화 동향과 IMT-2000에서의 지능망 표준화 동향을 전망하기 위하여 현재 진행 중인 IN CS-4 표준화 동향을 분석한다. 향후 무선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기반인 IMT-2000에서의 지능망 표준화 동향을 전망하기 위하여 유럽과 북미의 지역 표준화 기구에서 추진 중인 무선 지능망 기술 규격인 CAMEL과 WIN의 표준화 동향도 분석한다. 끝으로 국내 지능망 표준화 현황을 정리하고 향후 국제 표준화 추세 등을 고려한 국내 표준화 추진 전략을 제안해 본다.

  • PDF

CS-2 AIN SSP based on TDX-10A (TDX-10A 기반의 CS-2 AIN SSP 기능 구현)

  • Kim Hyun-Sook;Chang Su-Mi;Yang Hyung-Yeol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8a
    • /
    • pp.233-237
    • /
    • 2002
  • 차세대 지능망은 지능망서비스교환기(SSP:Service Switching Point), 지능망서비스제어 시스템(SCP:Service Control Point), 지능형정보제공 시스템(IP:Intelligent Peripheral)간의 시스템 연동으로 구성되며, 각 망 요소들은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요 기능들을 지원한다, 현재 KT는 ITU-TCS(Capability Set)-1 기반의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다양한 종류 즉, 회의통화 서비스나 선불카드 서비스에서 다자간의 호연결 기능 등이 요구될 때 그 한계점을 갖는다. CS-2 기반의 지능망으로 발전하면서 SSP는 CPH(Call Party Handling) 기능이 추가된다. CPH는 하나의 호에 대해 다자간 호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런 CPH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CS-2 기반으로 발전된 차세대 지능망은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은 CS-2 기반의 차세대 지능망 서비스의 기능에 대해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을 도식화 하였다. 또한 회의통화서비스를 분석된 지능망 기능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SP in Intelligent Platforms (지능망 플랫폼상의 SSP의 설계 및 구현)

  • 우시남;박우진;김연중;이지영;안순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c
    • /
    • pp.165-167
    • /
    • 2000
  • 지능망은 서비스의 독립적인 구현과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하고 서비스를 분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통신망 구조로 오늘날 전기통신의 급속한 기술발전과 신규 전화 가입자의 둔화, 통신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 통신 사업자들의 경쟁으로 인하여 지능망 기술에 대한 관심은 커져가고 있다. 그리고 다양하고 고품질의 서비스를 추구하는 지능망은 통신미디어의 고속화와 광대역화 등의 통신매개체의 발달로 인하여 지능망은 더욱 발전하고 있다. 또 전달층이 분리되어 있는 지능망을 구축하면 기존망에 영향을 주지 않고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지능망 플랫폼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호에 대한 처리와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Service Switching Point(SSP)의 구현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ITU-TIN CS-2의 SSF-CCF model을 기반으로 해서 SSP에 대한 설계와 구현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PDF

The Analysis of Standardization in Intelligent Network Capabilities Sets Adapted Directory Technologies (디렉토리 기술이 도입된 세대별 지능망 표준화동향분석)

  • Yun, K.O.;Kang, T.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0 no.2 s.36
    • /
    • pp.59-71
    • /
    • 1995
  • 본 고에서는 디렉토리 기술이 도입된 세대별 지능망의 표준화 동향을 분석한다.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분야(ITU-T)의 지능망 관련 표준화를 제 1세대, 제 1세대 보강, 제 2세대, 제 3세대, 최종적인 지능망 형태 등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 하였으며, 지능망이 도입되면서 제공되는 종합 개인 통신 (UPT)을 설명하고, 종합 개인 통신을 위해 디렉토리 기술이 필요한 이유와 디렉토리의 표준화 동향을 분석하고, 지능망과 종합 개인 통신, 디렉토리 등과의 관계를 분석, 설명하였다.

A Design of Virtual Private Network Service IMT-2000 (IMT-2000상에서의 가상 사설망 서비스 설계)

  • 김정일;노봉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279-281
    • /
    • 1998
  • 기존 이동통신 시스템은 단말 및 개인 이동성의 결여, 저조한 데이터 전송율, 그리고 서비스 도입 및 호환성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IMT-2000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IMT-2000은 기본적으로 지능망에 근간한 구조를 지향하며, 다양한 서비스들의 실현 및 신속한 도입을 위하여 지능망이 IMT-2000의 기능 모델 표준으로 채택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IN CS-2의 목표서비스(target service) 의 하나로서 가상 사설망 서비스는 기존 사설망의 독립적인 망 운영을 유지하면서, 공중망의 자원을 이용하여 기존 사설망의 과다한 초기 투자 비용을 해소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IMT-2000의 서비스 제어를 위해 IMT-2000의 망 구종에 도입된 지능망 모델을 분석하고 IMT-2000상에서 특히 기존 고정/이동 통신망과 달리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개인 이동성을 고려하여 지능망의 서비스 제어 모델에 따라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설계한다.

  • PDF

Comparison of IN and TINA from the Engineering Viewpoint (기술 측면에서의 지능망과 TINA 비교)

  • Baek, Y.S.;O. Miyagishi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0 no.2 s.36
    • /
    • pp.73-86
    • /
    • 1995
  • 통신망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효율적인 보수, 운용의 추구 및 통신사업의 자유화와 동반하여 멀티미디어화, 통신 및 정보 분야의 전략 산업화에 의한 멀티벤더화 등에 의해 점점 복잡해 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ITU-T(구CCITT)에서는 국제회의를 통하여 지능망 (Intelligent Network) 및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에 관한 권고를 만들고 있는 중이다. 이와는 다른 방향으로 TINA(Telecommunications Information Networking Architecture)에 대한 작업이 진행중에 있다. TINA는 지능망과는 달리 컨소시엄(TINA-Consortium)을 구성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적용 기술에 있어서도 다른 각도에서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지능망과 TINA는 아직 모든 문제를 완전히 해결한 것은 아니지만 점차 통신망의 고도화에 기여하고 있다. 차세대 통신망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TINA는 분산처리 및 객체 지향 기술과 같은 고도의 정보 처리기술을 통신 기술에 적용한 구조이다. 몇몇 연구에서는 지능망에서 TINA로의 진화등에 관해 기술하고 있지만, 지능망과 TINA의 차이점을 부분적인 기술의 관점에서 기술하고 있기 때문에 진정한 차이점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망과 TINA의 차이점을 기술 측면에서 비교함으로써, 현재 연구중인 TINA의 관계정립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Intelligent Network Service Provision using Vistor Location Registor in IMT-2000 Network (IMT-2000에서의 Visitor Location Register를 사용한 지능망 서비스 제공 방안)

  • Kim, Hyeon-Suk;Song, Ju-Seok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5 no.4
    • /
    • pp.507-515
    • /
    • 1999
  •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고정망 뿐만 아니라 이동망에서도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게 생각되고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 논문은 이동망에서의 지능망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에서는 MSC/SSP와 SCP/HLR 사이의 두 가지 신호 구조를 고려한다. 이러한 모델에서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보이기 위하여 먼저 VLR을 사용한 지능망 서비스의 제공 방안을 제시한 후, 두 가지 모델에서의 지능망 서비스 관리에 관한 성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방법은 SCP에 저장된 지능망 서비스 프로파일들을 VLR로 다운로드 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지능망 서비스 요청시에 SCP로의 연결을 줄이는 것이다. 제시한 방법은 SCP/HLR의 부하를 감소시켜 지능망 서비스 관리면에서 IMT-2000 보다 훨씬 더 나은 성능을 보인다.Abstract As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IN service in the mobile network as well as the fixed network and many researches are in progres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network model to efficiently provide IN service in the mobile network. There are two signaling architectures between MSC/SSP and SCP/HLR. To show that it is efficient to provide the IN service in the proposed model, we propose IN service provision method using VLR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IN service management in two architectures. These methods are to download the IN service profiles that are saved in SCP to VLR and to decrease the connection to SCP when the user requests the IN service. The proposed methods show that the load of SCP/HLR is decreased and our method is better than IMT-2000 in the aspect of IN service management.

Design of an SSP Emulator for the Simulation of Intelligent Network Platforms (지능망 플랫폼 시뮬레이션을 위한 간이 SSP 설계)

  • 송상철;김연중;이지영;최한옥;안순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599-601
    • /
    • 1999
  • 다양한 통신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로 말미암아, 이를 지원하기 위한 지능망 서비스의 도입이 활발해 지고 있으며, 이를 용이하게 하는 지능망 서비스 플랫폼의 개발 역시 중요한 이슈로 자리잡아 왔다. 이 때, 이러한 지능망 서비스 플랫폼 개발시, 그 성능을 미리 평가해 보기 위해 실제 교환기에 바로 적용하는 데에는 많은 환경상의 제약이 따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적인 간이 SSP를 설계함으로써, 개발하는 지능망 플랫폼의 물리 실체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 PDF

PR Focus-지능망, 모바일 기반의 핵심기술

  •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 Venture DIGEST
    • /
    • s.60
    • /
    • pp.20-20
    • /
    • 2004
  • 유∙무선 통신서비스 이용자들에게 다양하고 편리한 음성기반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능망은 한마디로 이동통신망의‘두뇌’이다. 지능망을 사용할 경우 스위칭장비를 다시 디자인하거나 도입하지 않아도 새로운 서비스를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080서비스, 평생번호서비스 등이 바로 이 지능망이며 이동통신망의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 PDF

지능망의 동향분석

  • O, Jung-Min;Kong, Nam-Soo;Ko, Byeng-Do;Lim, Young-Hwan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 no.4
    • /
    • pp.103-113
    • /
    • 1988
  • 본 고에서는 지능망의 배경, 망제공자의 역활, 지능망 구조 그리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 등에 대해 조사 분석하고, 통신 선진국의 지능망 현황 및 계획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현재 정립되어 있지 않은 앞으로 해결되어야 할 연구 논제에 대하여 언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