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구 관측 위성

Search Result 60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tatus of Remote Sensing and Data Policy in Japan (일본의 원격탐사 활용 실태 및 정책 동향)

  • Yoon, Bo-Yeol;Jang, Hee-Wook;Kim, Youn-Soo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9 no.1
    • /
    • pp.45-54
    • /
    • 2011
  •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data apply to various fields and global satellite imagery market continues to expand with increasing the scale according to the developed satellites. Sudden natural disasters frequently have occurred in Japan. ALOS satellite data support to repair the damaged area and mitigate the disasters in Japan as well as all around the world. In this paper, the status of remote sensing and data policy in Japan are described. In addition, satellite-based remote sensing technology effectively contribute to the public sector and related support to establish the infra system of satellite application promotion has been investigated.

  • PDF

과학기술, 그 뿌리와 현주소 - 기상학(하)

  • Hong, Seong-Gil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3 no.4 s.371
    • /
    • pp.20-23
    • /
    • 2000
  • 기상관측기술은 2차 세계대전을 통해 등장한 레이더와 57년에 발사된 인공위성이 지구선회에 성공함으로써 획기적인 발전을 거듭해 왔다. 이제는 기상관측은 물론 기상상태를 조절하는 기술이 발달하여 필요에 따라 마음대로 비나 눈도 내리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는 기상위성을 통해 입체적으로 대기를 관측하고 또 슈퍼컴퓨터의 발달이 기상관측의 새로운 장을 열어 줄 것이다.

  • PDF

PROPAGATION OF CME IN MULTI-SATELLITE OBSERVATIONS (다중 위성 관측을 이용한 CME 전파 과정에 대한 연구)

  • 성숙경;이동훈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15 no.2
    • /
    • pp.307-320
    • /
    • 1998
  • We investigate the propagation of Coronal Mass Ejections(CMEs) near the earth with multi-satellite observations. Among the CMEs observed in the near-earth between Nov. 1994 and Nov. 1997, we select two events of Jan. 6-11,1997 and Nov. 4-7, 1997 which were observed by more than 3 satellites when these satellites were located apart with a sufficient distance from each other. We determine the speed and propagation of the two CMEs b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each satellite in various coordinates and the onset time of each ev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speed of CMEs becomes significantly reduced when the perturbation arrives in the magnetosphere.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propagation of the CMEs is approximated as the -x direction in GSE coordinates in the near-earth space.

  • PDF

인공위성 동시 관측을 이용한 위치 결정 가능성 연구

  • Kim, Jeong-Mi;Kim, Sam;Yoon, Jae-Hyuk;Yoon, Yo-Na;Lim, Hong-Seo;Moon, Hong-Kyu;Han, Won-Yong;Byeon, Yong-Ik;Kang, Yong-Woo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4.04a
    • /
    • pp.65-65
    • /
    • 2004
  • 국가지정연구실 사업인 “인공위성 및 지구접근천체 감시연구(NEOPAT)”에서는 인공위성에 대한 거리 정보를 광학 관측으로부터 결정하기위하여 2개의 관측소에서 동일한 시각에 동일한 위성에 대한 관측을 진행하는 스테레오 관측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전에 위치한 한국천문연구원의 60cm 광시야 망원경과 천안 연세대 관측소의 50cm 광시야 망원경 그리고 200mm NIKON 렌즈에 2K CCD로 구성된 소형 위성관측 시스템(KASAT) 2기를 사용하여 2003년부터 2004년까지 고도별 위성들에 따른 동시 관측을 시도하였다. (중략)

  • PDF

미소진동에 의한 지구관측위성 영상품질 영향평가

  • Im, Jae-Hyeok;Kim, Hong-Bae;Kim, Gyeong-Won;O, Si-Hwan;Hwang, Do-Sun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28.2-28.2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미소진동이 인공위성 영상품질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지구관측위성은 임무수행 시 영상의 지상전달 등을 위해 다양한 구동장치를 가동하며, 이로 인해 미소진동에 노출된다. 이러한 미소진동은 광학탑재체를 가진하여 초점면(Focal Plane)상의 영상운동을 야기하며, 이로 인해 영상품질이 저하된다. 특히, 고해상도 관측위성일수록 미소진동에 의한 영상품질의 저하가 커지므로, 위성개발 시에 영상품질에 대한 영향평가는 필수적이다. 이를 해석하기 위해서 키슬러플랫폼 위에서 진동원의 가진력을 측정 및 그 동특성을 분석한다. 이 가진원은 임무수행형상의 유한요소모델에 적용하여 광학탑재체 초점면의 영상운동을 계산하며, 최종적으로 영상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 PDF

An inversion algorithm for estimating soil moisture using satellite-based microwave observation (마이크로파 위성관측자료를 이용한 토양수분 산출 알고리즘)

  • Suh, Ae-Sook;Shin, In-Chul;Park, Jong-Seo;Hong, S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95-95
    • /
    • 2011
  • 토양수분은 전 지구 및 기후 모델 연구, 전 지구 환경 감시, 기후변화, 대기-지표의 물과 에너지 상호교환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수동형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하여 토양수분을 탐지하고 있으며, NASA는 공식적인 전구 토양수분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AMSR-E(Advand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on EOS)의 6 GHz 영역에서 산출된 토양수분은 지표 토양층(0~5 cm)의 높으 정확도의 토양 수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위성관측을 이용한 토양 수분 알고리즘은 복잡한 선행모델과 관측된 경험식을 바탕으로 한다. 이 연구의 제안한 알고리즘은 위성에서 관측된 휘도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역변환 방법을 이용하여 토양수분을 산출할 수 있기에, 복잡한 선행모델 사용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토양수분 산출 알고리즘은 각 채널(6.9 및 37 GHz)의 특성을 이용하여 거친 표면의 반사도를 산출한 후, 편광비율 특성을 이용한다. 아울러 반사도는 Hong 근사식을 이용하여 지표면 거칠기, 물질의 특성을 나타내는 유전상수를 산출하고 두 변수 사이의 관측된 경험적 관계식를 이용하여 전 지구적인 토양수분이 산출한다. 이 결과는 NASA에서 산출한 토양 수분과 현장관측 (SMEX03)의 오클라호마, 조지아 지역 관측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수준 (<0.06g/$cm^3$)의 정확도를 만족시킨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토양수분 알고리즘은 단순성, 정확성, 물리적 기반을 바탕으로 하기에 현업용으로 그 활용 가치가 높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국외 토양수분산출 전용 위성들인 SMOS(Soil Moisture and Ocean Salinity)와 SMAP(Soil Moisture Active/Passive) 자료들을 생산하는데 활용된다면, 전 지구적 토양수분 정보제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산된다.

  • PDF

Current Development Status of Payload Data Handling Unit for Earth Observation Satellite (지구관측 위성용 탑재체자료처리장치 개발 동향)

  • Lee, Jong-Tae;Lee, Sang-Gyu;Yong, Sang-Soon;Yi, Ho-Sang;Lee, Seung-Kun;Song, Jin-Huan;Kwak, Sin-Ung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9 no.1
    • /
    • pp.90-101
    • /
    • 2011
  •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he technologies and trend of technical evolution of Payload Data Handling Unit (PDHU) for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As well, we review the efforts for the Koreanization of PDHU so far, and conclude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work.

  • PDF

위성 광학탑재체 개발용 열진공챔버 설계

  • 이상훈;조혁진;서희준;문귀원;최석원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4.04a
    • /
    • pp.68-68
    • /
    • 2004
  • 국가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에 따르면 2003년부터 2015년 까지 다목적실용위성 7기, 과학위성 4기, 통신해양기상위성을 포함한 정지궤도 위성 4기 등 총 15기의 위성 개발 계획을 갖고 있다. 이러한 위성들은 지구의 대기, 해양, 기상 등을 관측하고, 우주환경의 측정 및 각종 실험 등을 수행하며, 안정적인 통신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특히 다목적실용위성의 경우, 위성체의 눈 역할을 하는 위성탑재체인 고해상도 과학관측카메라를 탑재하고 있는데, 현재까지는 외국과의 기술협력을 통해 자립개발을 꾀하고 있다. (중략)

  • PDF

Validation of Satellite Altimeter-Observed Sea Surface Height Using Measurements from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자료를 활용한 인공위성 고도계 해수면고도 검증)

  • Hye-Jin Woo;Kyung-Ae Park;Kwang-Young Jeong;Seok Jae Gwon;Hyun-Ju Oh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5_1
    • /
    • pp.467-479
    • /
    • 2023
  • Satellite altimeters have continuously observed sea surface height (SSH) in the global ocean for the past 30 years, providing clear evidence of the rise in global mean sea level based on observational data. Accurate altimeter-observed SSH is essential to study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SSH in regional seas. In this study, we used measurements from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ORS) and validate SSHs observed by satellite altimeters (Envisat, Jason-1, Jason-2, SARAL, Jason-3, and Sentinel-3A/B). Bias and root mean square error of SSH for each satellite ranged from 1.58 to 4.69 cm and 6.33 to 9.67 cm, respectively. As the matchup distance between satellite ground tracks and the IORS increased, the error of satellite SSHs significantly amplified. In order to validate the correction of the tide and atmospheric effect of the satellite data, the tide was estimated using harmonic analysis, and inverse barometer effect was calculated using atmospheric pressure data at the IORS. To achieve accurate tidal corrections for satellite SSH data in the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t was confirmed that improving the accuracy of tide data used in satellites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