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구 관측 위성

Search Result 60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우리나라의 지구관측용 광학위성 개발의 현주소

  • Choe, Hae-Jin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32.6-33
    • /
    • 2010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고해상도 광학관측위성인 다목적실용위성 3호(EO), 3A호(EO/IR)를 개발 중에 있으며, 이들의 개발 현황과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함. 지구표면의 정밀/광역 관측에 큰 장점을 지닌 관측위성은 많은 기술적 난관이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위성 본체 및 대구경 광학계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일반 천문 망원경용 광학계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다목적실용위성 3호, 3A호의 위성광학계 설계의 특징과 현재 개발 중인 위성용 카메라의 조립 시험에 대한 현황을 위주로 향후 우리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한 고찰이 있을 예정이다. 또한 위성의 운영 특성과 운영 시 필요한 검보정 (Cal/Val) 과정에 대한 준비 상황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Investigation on Thermal Effect for a Low Earth Orbit Satellite during Imaging Maneuvering (지구 저궤도 위성의 영상임무 자세에 따른 열적 영향 고찰)

  • Kim, Hui-Kyung;Lee, Jang-Joon;Hyun, Bum-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6 no.12
    • /
    • pp.1216-1221
    • /
    • 2008
  • A low earth orbit satellite with a fixed solar array always has a sun-pointing attitude during daylight, and changes into a nadir-pointing attitude for a imaging mission. Since external heating sources to the satellite panels are Earth irradiation and Albedo during most of daylight in a sun-pointing attitude, the thermal environment condition is relatively stable. However, direct sunlight which is the greatest environmental heating has an affect on the satellite panels during a mission period (10% of one orbit) in a nadir-pointing attitude. In satellite thermal design, thermal effects of a nadir-pointing mission attitude due to this thermal environment change need to be evaluated although the duration of a nadir-pointing attitude is short. Therefore, a nadir-pointing attitude during a mission is incorporated into thermal model and by the thermal analysis result, thermal effects on the satellite are investigated.

Feasibility Study on Soil Moisture Retrieval using GNSS Reflected Signal (GNSS 반사신호를 이용한 토양수분 산출 가능성 연구)

  • Sin, Dae-Yun;Dinesh, Manandhar;Ryosuke, Shibasa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80-80
    • /
    • 2016
  • GPS로 대표되는 위성항법시스템(GNSS :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은 지구 주위를 돌면서 연속적으로 항법신호를 보내고 있다. 그 중 지구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항법신호를 수신하고 해석함으로써 지구표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가 있다. GPS로 대표되는 항법신호는 L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토양수분의 변화 등에 대한 반사강도의 감도가 비교적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토양수분 측정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량화, 소형화하기 쉬운 점, 능동적 마이크로웨이브 리모트센싱시스템(Active Microwave Remote Sensing System)과 달리 스스로 신호를 발사하지 않기 때문에 관측의 스텔스성(Stealth)dl 뛰어난 점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향후 10년 이내에 준천정위성(QZSS), Galileo, COMPAS, IRNSS 등 많은 위성항법시스템이 본격 운용되어 GPS와 함께 120기 정도의 항법위성이 항법신호를 송신할 예정이므로 이용 가능성은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한편, 항법위성을 이용한 바이스테이틱 리모트센싱은 반사파의 강도가 상당히 미약하기 때문에 정량적 계측모델의 구축은 미미한 상태이다. 즉, 지상 타워에서의 관측, 항공기에서의 관측, 소형 위성에서의 관측 등이 수행되고 있으나, 타워관측과 같이 지상의 거의 동일한 장소를 계속적으로 관측하는 경우를 제외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토지의 피복상황이나 토양수분 등의 상관관계를 제시하는 수준으로써 정량적인 계측방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GPS위성으로부터의 항법신호를 이용하여 지구표면에 관한 정보를 얻는 바이스테이틱 리모트센싱(Bi-static Remote Sensing) 기술을 바탕으로 육지면과 해면의 판별에 신호특성이 어떻게 유효한가를 실험적으로 밝혔다. 이러한 기술은 토양수분 측정 등 수자 원인자를 추출하는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수면의 고도 측정, 해상풍 산출 등에도 응용 가능하다.

  • PDF

확장칼만 필터를 이용한 인공 위성의 궤도 추정에 관한 모의 실험

  • 손건호;최규홍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1993.04a
    • /
    • pp.19-19
    • /
    • 1993
  • 위성의 실제 궤도를 실시간하에서 추정(real-time estimation)하기 위해 지구 비대칭 중력장, 지구 대기의 저항력,그리고, 태양과 달의 위성체에 대한 섭동의 영향을 받는 지구 근방의 위성을 동력학적 모델로 선택하였다. 위성 관측소에서 얻게될 가상의 위성 궤도 자료들은 실제 관측에서 나타날 수 있는 관측 잡음(measurement noise)뿐 아니라 추적소 고도 등의 불확실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또한 수치 모델에서 고려치 못한 섭적 난수에 의해 만들었다. 확장 칼만 필터(Extended Kalman Filter)의 특성을 알아 보기 위해 일차원에서의 자유낙하체에 대한 거리와 속도 추정의 모의 실험을 비교하였고, 뱃치추정 알고리즘, 순차 추정 알고리즘의 모의 실험이 거리변화율의 자료를 이용하여 확장 칼만 필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확장 칼만 필터 알고리즘은 빠른 수렴 속도를 갖는 특성을 가지며, 실시간하에서 완전하지 못한 수치 모델로 실제 궤도를 결정하고 궤도 요소를 추정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저궤도지구관측 위성용 태양전지판 전개 시험

  • Jeon, Jong-Hyeop;Eun, Hui-Gwang;Im, Jong-Min;Lee, Dong-U;Mun, Nam-Jin;Mun, Gwi-W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36.1-136.1
    • /
    • 2012
  • 저궤도지구관측 위성의 태양전지판은 위성이 궤도에 진입하고나서 전개된 후 위성에 전력을 공급하는 임무를 전담하는 중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이 정상적인 임무 수행을 위해서는 우주 환경에서의 원활한 전개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위성은 발사이전 개발과정에서 태양전지판에 대한 전개성이 완벽히 검증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무중력 조건을 모사하는 별도의 시험 장치를 활용하여 태양전지판의 전개 시험이 실시된다. 본 논문에서는 저궤도지구관측위성용 태양전지판의 비행모델에 대하여 실시한 전개 시험 방법 및 분석 내용을 소개하고자한다.

  • PDF

GPS 위성과 천체 역학을 이용한 위치 결정

  • 김형규;최규홍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1993.10a
    • /
    • pp.9-9
    • /
    • 1993
  • GPS는 지구 중심으로부터 GPS 위성의 거리와 위성과 관측자사이의 의사거리(pseudorange)를 이용해서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이다. 1993년 6월 12일 연세대학교에서 3시간동안 관측하여 연세대학교의 위치를 구하였다. 이 위치는 WGS-84 타원체이므로 Bessel타원체로 좌표변환하였다.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위성의 위치와 의사거리에 미치는 잡음(noise)을 제거해야 한다. GPS 위성의 위치 결정에는 지구 비대칭중력항에 의한 섭동, 태양, 달에 의한 섭동, 태앙 복사압에 의한 섭동, 지각, 해양의 조석력에 의한 섭동, 태양빛의 지구 반사도(albedo)에 의한 섭동을 고려해야하며 이를 위해서 위성의 Telemetry를 분석하여 구해 보았다 의사거리의 잡음중 가장 큰 요소인 이온층, 대류층에 의한 지연(delay)에 대해 연구 하였고 각각 Kiobuchar모델, Hopfield모델을 써서 보정을 하였다. 자료 처리를 P모델, PV모델을 만들어 칼만 필터에 적용하였고 RV모델이 P모델보다 더 정확하였나, 위치 결정의 정확도를 알아 보기위해서 국립 천문대부설 GPS관측소에서 결정한 위치와 비교,분석하였다.

  • PDF

Optical Design of the STSAT-3 Secondary Payload: COMIS (Compact Hyperspectral Imager) (과학기술위성3호 부탑재체 영상분광기COMIS 광학 설계)

  • Lee, Jun-Ho;Kim, Yong-Min;Jang, Tae-Seong;Yang, Ho-Sun;Lee, Seung-U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8.02a
    • /
    • pp.71-72
    • /
    • 2008
  • 과학기술위성3호 부탑재체로 영상분광기(COMIS, Compact Hyperspectral Imager)가 선정되어 2007년 5월부터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COMIS는 2010년 과학기술위성3호에 탑재 발사되어, 위성 궤도 700km 상공에서 해상도 30m을 가지고, 30km 폭의 지표면 또는 대기를 관측할 수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개발된 위성탑재 지구관측카메라가 흑백이거나 다분광(3파장)으로 지구관측을 하는 것에 반하여 COMIS는 가시광 및 근적외선 영역에서 16${\sim}$62대역(4${\sim}$15nm 파장 분해능)의 초분광 관측을 수행하게 된다. 초분광 영상은 관측 대상 물성의 상세 구분이 가능한 관계로 군사적 활용을 포함한 원격 탐사의 주요 활용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과학기술위성3호 부탑재체로 개발되는 영상분광기인 COMIS(Compact Hyperspectral Imager)의 전반적인 개념, 활용 과학을 먼저 소개하고 상세 광학 설계를 발표한다.

  • PDF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ree Dimensional Display

  • Son, Jung-Young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v.4 no.1
    • /
    • pp.24-24
    • /
    • 2000
  • 위성에 탑재된 지구관측용 카메라는, 지상의 망원경과 같은 원리로, 우주상공에서 지표면 관측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고 관측정보를 지상으로 전달해 주는 장치다. 이용 목적에 따라 카메라의 해상도 또는 분해능, 관측대역, 관측폭, 위성의 궤도 등의 규격이 결정된다. 고해상도는 카메라 관련 제반 기술 및 경험이 부족한 국내의 여건에 적합한 소형 위성용 고해상도 카메라의 규격을 제시하며 이에 따른 광학 설계와 제작, 조립 및 측정오차를 제시한다.

A Study on a Project Management Improvement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Geostationary Earth Observation Satellite System (차세대 정지궤도 지구관측 위성시스템 개발 사업관리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Choi, Won Jun;Eun, Jong Won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10 no.4
    • /
    • pp.95-100
    • /
    • 2015
  • These days, satellite core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as a way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by considering simultaneously sending, wide area covering, highly precide, and anti-disaster technologies. Not only global positioning, and image but also space launcher, satellite bus, satellite payload, earth station are being convergently developed in a different technological field. Especially, it is required a lot of initial investing expenditure to provide the Earth observation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space technologies. Such a trend and change of satellite technologies Korea has realized the necessity for the domestic independent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and are preparing the profound items such as a detailed implementation plan for the efficient development project. Like the satellite advanced countries, it should be transparently carried out that an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ing target related to the geostationary earth observation satellite development, establishment of technological auditing function and quality assurance system, implementation plan, progressing courses and results of the satellite development program by way of planning, evaluation and management. For these things cited above, it is necessary to operate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the professional structural system by the governmental department in order to control the geostationary earth observation satellite development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improvement method of the Korea next generation geostationary earth observation satellite based on the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system of the domestic geostationary satellite system.

A Study of GEO Satellite Identification Using Optical Observation

  • Oh, Youngseok;Jin, H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9 no.1
    • /
    • pp.53.1-5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고궤도 및 원거리 우주물체의 추적 및 관측이 용이한 광학관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지궤도위성을 관측하였고, 광도곡선 분석을 통해 식별정보를 획득하였다. 정지궤도 위성은 자세에어 방법에 따라 회전 안정화 위성과 3축 안정화 위성으로 나뉘며, 3축 안정화 위성은 다시 통신위성과 지구관측 위성 등으로 나뉜다. 회전 안정화 위성의 식별 연구를 위해 중국의 FY-2 위성을 관측대상으로 선정하였고, 3축 안정화 위성의 식별을 위해 한국의 COMS-1 위성을 관측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회전안정화 위성은 Sidereal Tracking Mode로 관측하면 위성의 궤적이 선 모양으로 나타난다. 이때 나타난 궤적의 pixel value 값을 확인하면 일정한 주기로 밝기가 변화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FFT를 수행하면 위성의 회전율과 회전 주기를 구할 수 있다. 3축 안정화 위성은 Stare Mode로 관측하여 측광하면 광도곡선을 획득할 수 있다. 위성의 형상을 결정하는 본체, 안테나, 태양전지판을 모델링하여 광도곡선 시뮬레이션결과와 비교하면 각각의 형상이 광도곡선에 미치는 영향과 특징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얻은 FY-2위성과 COMS-1 위성의 식별정보를 제시하고 향후 우주물체 식별 연구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