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구화

Search Result 1,692, Processing Time 0.04 seconds

Liberty as Non-domination and Cosmopolitanism : An Essay on Cosmo republican Liberty in a Global Age (비지배 자유와 세계시민주의: 지구화 시대의 세계시민공화주의적 자유 연구)

  • Rehi, Sang-hwan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46
    • /
    • pp.193-217
    • /
    • 2018
  • Following the lead of Isaiah Berlin, many liberals favor a negative conception of liberty because it limits the amount of interference and coercion that the state has in individual's lives. Such moves leave individuals to place value on their life choices or step back and revise them if desired. It is one thing, however, to argue that modern republicanism characterized by liberty as non-domination contains an alternative conception of liberty.

A Study on the Trend of Korea's Media Press on National Competitiveness (국가경쟁력에 대한 한국언론보도 경향 연구)

  • Choi, Chul-ho;Chae, Young-gil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0 no.1
    • /
    • pp.97-111
    • /
    • 2019
  • This study discuss how the meaning and role of the state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are defined by the media and how the regulation is related to the ideology and value inherent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Specifically, we tried to examine how the meaning and role of neoliberal state, which characterizes globalization process, is justified and reinforced by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inant globalization process inherent in the discourse of national competitiveness by analyzing how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dex report released by the World Economic Forum is reported by the media every year. In addition, we sought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the state in the globalization process by examining what areas are emphasized and excluded from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dex composed of economic infrastructure, economic efficiency, and enterprise innovation activities.

Hierarchical Analysis of Astronomical Concepts Using the Knowledge Space Theory (지식공간론을 활용한 천문학 개념의 위계 분석)

  • Yun, Ma-Byeong;Kim, Hui-Su;Lee, Hang-Ro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31-31
    • /
    • 2010
  • 고등학교 지구과학에서 다루는 천문학 개념의 위계를 밝히고, 그에 따른 교수-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지식공간론을 활용하여 학습과제 속에서 내재되어 있는 학습자의 지식상태를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학생들의 천문학적 공간개념에 대한 구성 요인 간 위계는 '공간위치 $\rightarrow$ 공간추리 $\rightarrow$ 공간변화' 순이었다. 학습자의 천문학적 공간개념 점수가 같아도 개념의 구조화( 지식상태 )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학습자에 따라 개별화 학습의 처방이 달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천체관측 개념의 위계는 '지구운동 $\rightarrow$ 천구좌표계 $\rightarrow$ 천체관측( 망원경 원리 $\rightarrow$ 망원경 설치 $\rightarrow$ 망원경 관측 )'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2007개정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순서와는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생들의 천체관측 개념에 대한 지식상태 분석에서 개념의 구조화가 잘 이루어진 학생의 경우에는 하위 위계를 이루는 지구운동과 천구좌표계, 망원경 원리에 관한 문항을 잘 맞추었고, 상위 위계에 있는 망원경 설치와 관측 문항에서 정답률이 낮았다. 그러나 개념의 구조화가 덜 이루어진 학생의 지식상태는 하위 위계를 이루는 지구 운동 관련 문항에서 더 많이 틀렸고, 최상위 위계( 망원경 설치, 관측 )를 이루는 문항에 대한 정답률이 높았다. 지구과학I의 천체관측 단원에 대하여 학습자의 심리적 위계와 교과서의 논리 위계에 따라 학습과제를 제시하여 교수-학습한 결과, 개념의 형성률은 심리적 위계에 따라 수업한 경우가 유의미( p & .05 )하게 더 높았다.

  • PDF

Locational Trend of Software Industry and the Formation of an Industrial District in Seoul (소프트웨어 산업의 입지와 산업지구에 관한 연구)

  • 황주성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1
    • /
    • pp.121-139
    • /
    • 2000
  • 본 연구는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의 새로운 집적지로 떠오르는 강남·서초지역이 과연 산업지구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지를 이론적·경험적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연구로부터 산업지구의 성격과 발달에 관한 다섯 가지 차원-국지화, 네트워킹, 착근성·제도적 집약, 잡단학습, 혁신 시너지-을 도출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업체의 입지변화와 창업의 공간적 분포를 살려보았으며,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강남·서초지역이 타 지역에 비해 어떤 산업지구 차우너이 발달하였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강남·서초 지역은 산업지구의 최소 요건인 물리적 집적에서는 상당한 발전을 보였으며, 혁신의 결과인 창업에 있어서도 여타 지역과는 차별화된 성과를 나타냈다. 설문분석 결과 강남·서초지역은 서울시내 타 지역에 비해 '국지화', '착근성과 제도적 집약', 그리고 '집단학습' 등의 측면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비해, '혁신 시너지'는 타 지역과 유사하였으며, '네트어킹'은 오히려 미흡한 결과를 보였다.

  • PDF

Utilization of Database in 3D Visualization of Remotely Sensed Data (원격탐사 영상의 3D 시각화와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 Jung, Myung-Hee;Yun, Eui-Ju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5 no.3
    • /
    • pp.40-46
    • /
    • 2008
  • 3D visualization of geological environments using remotely sensed data and the various sources of data provides new methodology to interpret geological observation data and analyze geo-information in earth science applications. It enables to understand spatio-temporal relationships and causal processes in the three-dimension, which would be difficult to identify without 3D representation. To build more realistic geological environments, which are useful to recogniz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of geological objects, 3D modeling, topological analysis, and database should be coupled and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an integrated configuration of the system. In this study, a method for 3D visualization, extraction of geological data, storage and data management using remotely sensed data is proposed with the goal of providing a methodology to utilize dynamic spatio-temporal modeling and simulation in the three-dimension for geoscience and earth science applications.

Effect of maintenance of drainage ditches for various uses of paddy fields (논의 다각적 활용을 위한 용배수로 정비 효과)

  • Yi, Hya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14-514
    • /
    • 2022
  • 쌀 공급과잉이 사회적 문제가 되면서 논에 타작물 재배를 위한 논의 다각적 활용 시스템 구축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논의 다각적 활용을 위해 2020년에 우리나라 최초의 농지범용화 시범사업 지구를 선정하였다. 전북 김제시 옥성지구는 농지범용화 시범사업 지구로 선정되어 용·배수로 정비가 실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북 김제시 옥성지구 용배수로 정비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시범사업 전후의 주요 영농여건 변화 실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농업경영체 DB, 흙토람 등을 이용해 옥성지구 일대 수혜 필지와 비수혜 필지를 추출하고, 각 필지별 실제 경작자 명단을 작성 후 1:1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옥성지구 농지범용화 시범사업 면적은 총 50.4ha인데, 169개 필지로 구성되었다. 이 중에서 129개 필지의 총 69명의 경작자 명단이 작성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조사에 총 30명이 참여했고, 이 가운데 수혜구역과 비수혜구역의 논을 동시에 경작하고 있는 9농가를 대상으로 논의 다각적 활용을 위한 용·배수 정비 전후의 성과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9농가는 모두 논콩을 재배하고 있다. 이들의 평균 논콩 재배면적은 2020년 1.76ha에서 2021년에는 2.22ha로 증가했다. 그리고 논콩 10a 당 생산량을 살펴보면, 2020년 355.8kg/10a에서 2021년에는 567.2kg/10a로 사업 전후 논콩 단수가 211.4kg/10a 증가했다. 평균 우리나라 전국 콩의 생산량이 203kg/10a, 전북 248kg/10a(2021년 기준)인데 반해 농지범용화 시범사업 지구의 논콩 생산성은 전국 평균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논의 다각적 활용을 위한 용배수로 정비를 통해 평균 단수는 211.4kg/10a 증가하기 때문에, 용배수로 정비는 논타작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논의 다각적 활용을 위한 용배수로 정비 이전에 평균 침수 시간은 24시간 이내였다. 이러한 침수로 인해 논콩 재배농가들은 대부분 논타작물 재배의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용배수로 정비 후 평균 침수 시간은 3시간 이내로 단축되었다. 이러한 침수시간 단축은 논콩 생산비 절감으로 이어져 용배수로 정비 후 시범사업 수혜 농가들의 논콩 직접생산비는 10a당 210,200원으로 전년 대비 34,250원/10a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