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구시민권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study about Expert's Opinions for Establishing the Korean Disaster Prevention Village (한국형 방재마을 구축을 위한 전문가 의식조사 연구)

  • Lee, Ji-Hyang;Shin, Ki-Beom;Shin, Ho-Joon;Back, Min-Ho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13-113
    • /
    • 2011
  • 방재마을만들기는 지역방재개념을 도입하여 마을단위에서 자치단체와 주민들의 참여를 통해 지역자율 방재의식을 고취시키고, 마을에 조성되어 있는 환경적 영향을 고려하여 재해로 인한 취약요인을 조사하고 취약요인이 유사/인접되어 있는 마을을 대상으로 취약요인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재해예방사업의 추진이 필요하다. 방재시범마을만들기 구축사업의 계획범위는 동/리 행정구역 단위로 실질적인 생활권 단위로, 생활권 단위에서의 방재관련 사업의 패키지화를 통하여 지역의 자주적 방재역량이 향상되도록 하는 사업으로 현재 방재시범마을은 조성/운영중에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역방재 실무 담당자, 대학교수, 연구원 등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식조사를 실시하여 현 실태조사를 토대로 한국형 방재마을 구축 방안에 대해 도출하고자 한다. 전문가 설문결과 현 지역의 방재대책은 전반적으로 미미하며, 구조적인 부분과 비구조적인 부분 모두 보강되어야함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지역주민의 방재에 대한 관심부분은 상당히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방재마을이라는 사업의 이미지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재해위험지구의 정비사업 혹은 지역단위의 종합적 방재대책이라는 의견이 다수였으며, 방재마을 전반에 대한 의견으로는 지자체의 추진의지, 방재마을관련 법 제도 정비, 사업예산의 지속적인 확보, 방재마을 홍보 및 주민참여 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지자체의 추진의지가 어느 정도냐에 따라 사업의 형태를 갖추고 성공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사업이 추진될 수 있는 방안 및 사업의 안정적 확보방안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한국형 방재마을 조성을 위해서는 주민참여가 바탕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방재마을 사업을 시민들의 풀뿌리 방재활동과 연계하여 추진하는 것도 요구된다.

  • PDF

Rethinking 'the Indigenous' as a Topic of Asian Feminist Studies (토착성에 기반한 아시아 여성주의 연구 시론)

  • Yoon, Hae Lin
    • Women's Studies Review
    • /
    • v.27 no.1
    • /
    • pp.3-36
    • /
    • 2010
  • This paper is based on the certain point that 'the indigenous', which have long been occupied by the Asian patriarchy or the local communities, now calls for the repositioning in the feminist context. 'The indigenous', in one part, generally refer to the matured long-standing traditions and practices of certain regional, or local communities, as a mode of a place specific way of endowing the world with integral meaning. In the narrow definition, it points to the particular form of placed based knowledge for survival, for example, the useful knowledge of a population who have lived experiences of the environment. In the other part, 'the indigenous' could be criticized in the gender perspectives because it has been served as an ideological tool for patriarchy and sexism, which have undermined women's body and subjectivity in the name of the Asian traditional community. That's why the feminists with sensitivity to the discourses of it, may perceive it very differently, still hesitating dealing with the problem. However, even if there are tendencies that the conservatives romanticize local traditions and essentialize 'the indigenous', as it were, it does not exist 'out there'. Then, it could be scrutinized in the contemporary context which, especially, needs to seek the possibility towards the alternatively post - develope mental knowledge system. In the face of global economic crisis which might be resulted from the instrumentalized or fragmented knowledge production system, it's holistic conceptions that human, society, and nature should not be isolated from each other. is able to give an insightful thinking. It will work in the restraint condition that we reconceptualize the indigenous knowledge not as an unchanging artefact of a timeless culture, but as a dynamic, living and culturally meaningful system towards the ecofeminstic indigenous knowledge. And then, indigenous renaissance phenomena which empower non-western culture and knowledge system and generate increased consciousness of cultural membership. Thus, this paper argues that the indigenous knowledges which have been underestimated in the western-centered knowledge-power relations, could be reconstructed as a potential resources of ecological civility transnationally which reconnect individuals and societies with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