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증형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4초

중풍의 증형 진단을 위한 판별모형

  • 신양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7권2호
    • /
    • pp.283-287
    • /
    • 1996
  • 본 연구는 중풍에서의 한의학의 풍부한 임상자료들에 대한 객관적이고도 논리적인 자료처리방법 및 변증으로부터 증형을 추론할 수 있는 통계적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중풍 전문의에 의해 수집된 65명의 환자들의 임상자료로부터 다변량 자료 분석의 하나인 판별분석을 이용하여 증후로부터 증형을 판단할 수 있는 수리적 판별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은 중풍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가 될 것이다.

  • PDF

총순환정지후 혈중 크레아티닌 카이네이즈 BB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Plasma Creatinine Kinase-BB after Total Circulatory Arrest)

  • 이석재;김용진;김오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0호
    • /
    • pp.945-951
    • /
    • 1998
  • 개심술시 총순환정지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나 뇌손상등 부작용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뇌손상의 분석에 유용한 지표로서 뇌 허혈성 손상의 특이한 효소인 크레아티닌 카이네이즈 BB(CK-BB)의 유용성을 재고하고 뇌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총순환정지를 이용하여 개심술을 시행한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다시 비청색증형 심기 형군과 청색증형 심기형군으로 나누어 각각 6명과 12명으로 하였다. 각 환자에서 총순환정지전 및 후 15, 30, 60, 120, 240, 480, 720분에 동맥혈을 채취하여 CK-BB분획을 측정하였고 이와 동시에 혈색소농도, 이 온화 칼슘농도, 혈당량 등을 측정하였다. 총순환정지시간과 CK-BB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채혈시간은 찾을 수 없었다. 또 총순환 정지전의 문제로 인한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각각의 측정치에서 총순환정지전의 측정치를 뺀 값을 구하 여 각기 CKBBD15, CKBBD30....등으로 표시하고 상관관계를 구하였으나 역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 지 않았다. CKBB30과 CKBBD30값은 비청색증형 군과 청색증형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CK-BB농도와 혈색소 농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일 채혈에 의한 CK-BB농도의 지표는 순환정지시간과 유의한 관계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청색 증형 심질환군이 총순환정지에 의한 뇌손상에 비청색증형 심질환군에 비해 더 취약하지는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청색증형 선천성 심질환에 동반된 갈색세포종 (Pheochromocytoma associated with cyanotic congenital heart disease)

  • 정승준;이영아;신충호;양세원;배은정;노정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호
    • /
    • pp.93-97
    • /
    • 2008
  • 갈색세포종은 부신 수질과 크롬친화성 조직에서 발생하는 소아기에는 드문 종양이다. 갈색세포종은 저산소증 상태와 연관이 있어, 단심실성 심장질환 수술 후에도 청색증이 지속되는 환자에서 병발하는 경우가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갈색세포종의 증상이 애매할 뿐만 아니라 심장 질환 또는 치료 약제에 의하여 전형적인 증상들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청색증형 선천성 심질환 환자에서 갑작스런 고혈압, 심장 상태의 악화, 또는 당뇨병 등을 포함한 애매한 증상들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갈색세포종을 감별 진단하여야 한다. 저자들은 선천성 단심실성 심장질환과 갈색세포종이 동반된 2례를 보고한다.

Mycobacterium avium complex 폐질환 환자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Mycobacterium avium Complex Pulmonary Disease)

  • 고원중;권오정;강은해;전익수;편유장;함형석;서지영;정만표;김호중;한대희;김태성;이경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1호
    • /
    • pp.33-44
    • /
    • 2003
  • 연구배경 : M. avium complex(MAC)는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로 의한 폐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다. 본 연구는 MAC 폐질환 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7년 미국흉부학회의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 폐질환 진단기준을 만족하는 24명의 MAC 폐질환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미국흉부학회의 분류에 따른 상엽공동형과 결절기관지확장증형의 MAC 폐질환에서 임상적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결과 : 24명의 환자는 남자 14명(58%), 여자 10명(42%)이었고, 진단시 연령의 중앙값은 61세(범위 46-75세)였다.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항체 양성자는 없었다. 원인균은 M. intracellulare이 16례(67%), M. avium이 7례(29%), M. avium-intracellulare 1례(4%)이었다. 증상은 기침(92%), 객담(88%), 객혈(29%) 등이 많았다. 과거 폐결핵 치료력이 20명(83%)의 환자에서 있었다. 객담 항산균 도말양성 환자가 17명(71%)이었다. 증상 발생부터 진단까지 36개월(6-156개월)이 소요되었다. 상엽공동형이 14명(58%), 결절기관지확장증형이 10명(42%)이었다. 상엽공동형과 결절기관지확장증형은 성별(남성 86% vs. 20%, p=0.003), 흡연력(현재 또는 과거 흡연자 79% vs. 10%, p=0.008), 기저질환 유무(동반 64% vs. 20%, p=0.036) 등의 임상적 특징과 %FVC(71%, 범위 45-108% vs. 88%, 범위 73-108%, p=0.022), % $FEV_1$(69%, 범위 39-100% vs. 89% 범위 70-114%, p=0.051) 등 폐활량 그리고 단순흉부방사선촬영에서 양측성 병변(29% vs. 90%, p=0.005) 등 방사선학적 특징이 차이를 보였다. 증상 발생부터 진단까지의 기간이 결절기관지확장증형(중앙값 72개월, 범위 8-132개월)이 상엽공동형 (중앙값 22개월, 범위 6-60개월)에 비해 길었다(p=0.046). 결론 : MAC 폐질환은 증상 발생부터 진단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만성 폐질환으로 외국의 보고와 유사한 빈도로 상엽공동형과 결절기관지확장증형의 두 가지 형태가 국내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MAC 폐질환의 보다 빠른 진단을 위해서는 MAC 폐질환의 다양한 임상상에 대한 이해와 임상적 의심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비단과 당내량 손상(IGT) (脾瘅与糖耐量受损(IGT))

  • 이경림;김명주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31-133
    • /
    • 2011
  • 비단은 비만을 기초로 한 당뇨병의 초기상태이며, 당내량 손상(IGT)은 당대사가 정상과 당뇨병 사이에 있는 아건강 상태를 말한다. 비단의 병인병기와 임상특징은 당내량 손상과 기본적으로 일치한다. 당내량 손상은 비만환자가 비단을 거쳐 당뇨병으로 발병되는 자연발전과정으로 비단과 당내량 손상의 공통적인 발병인소는 비만이며, 그 병리중심은 비위(脾胃)기능실조로 인한 당내량 이상으로 중의(中醫) 증형(證型)에 있어 허실(虛實)변화가 있다. 비단과 비만형 IGT 증후, 병리방면에서의 발생과 발전의 작용을 탐구하여 조기에 중약(中藥)을 사용하면 체중을 감소시키고 더 나아가 당뇨병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임상의의가 있다.

전염성 감염병에 대한 신속변증 시행을 위한 팔강복합증형 표준안 연구 (Studies on the Standard Measure of Compound Patterns of Eight Principles for Rapid Pattern Differentiation against Epidemic Contagious Diseases)

  • 지규용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47-154
    • /
    • 2022
  • In order to secure practising rapid pattern(證, zheng) differentiation against acute infectious diseases like corona virus disease-19(COVID-19) showing rapid variation and contagion, a simplified classification of stages centering on the exterior-interior pattern identification with 2 step-subdivision by cold, heat, deficiency, excess pattern and pathogens is proposed. Pattern differentiation by compound patterns of 8 principles is made for the non-severe stage of general cold and the early mild stage of epidemic disease. Compound pattern's names of 8 principles about external infectious diseases are composed of three stages, that is disease site-characters-etiology. Based on early stage symptoms of fever or chilling etc., exterior, interior and half exterior and half interior patterns are determined first, and then cold, heat, deficiency, excess patterns of exterior and interior pattern respectively are determined, and then more concrete differentiation on pathogens of wind, dryness, dampness and dearth of qi, blood, yin, yang accompanied with constitutional and personal illness factors. Summarizing above descriptions, 4 patterns of exterior cold, exterior heat, exterior deficiency, exterior excess and their secondary compound patterns of exterior cold deficiency and exterior cold excess and so on are classified together with treatment method and available decoction for a standard measure of eight principle pattern differentiation.

호흡실조와 증형간 연관성 연구: 한열, 담음, 음허, 노권 및 네이메헨 설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reathing Disorders and Pathological Patterns Based on the Cold-Heat, Phlegm-, Yin Deficiency-, Lao Juan (勞倦)-Pattern Questionnaires and the Nijmegen Questionnaire)

  • 홍한나;오환섭;박영배;박영재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15-221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thological patterns and hyperventilation syndrome, using pathological pattern and Nijmegen questionnaires. Methods: 33 healthy adul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Cold-Heat-, Phlegm-, Yin deficiency, and Lao Juan (勞倦)-pattern questionnaires, the Chalder fatigue scale, and the Nijmegen questionnaire at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We performed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the pathological pattern questionnaires and the Nijmegen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several factors. Therefore, each factor and Nijmegen questionnaire score were also analyzed. Results: All of the pattern questionnaire scor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ijmegen questionnaire score. The phlegm pattern, in particular, and the LaoJuan (勞倦) questionnaire scores ha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coefficient for the phlegm pattern was 0.856 and the coefficient for the LaoJuan (勞倦) pattern questionnaire was 0.855. Conclusions: The results mean that the pathological pattern questionnaires could be one of the reference materials to evaluate hyperventilation syndrome. Furthermore, improvement of pathological patterns may be helpful for treating hyperventilation syndrome, together with conventional therapies including breathing training.

청색증형 선천성 심질환아의 고식적 수술 이후 EBT에 의한 폐혈관계이 비침습적 추적 검사 (Non-invasive Fdlow-up of Pulmonary artey by EBT Other Palliatrve Shunt Operatin)

  • 김민정;박영환;홍유선;이종균;최규옥;조범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호
    • /
    • pp.7-19
    • /
    • 2000
  • Background :To assess the accuracy of Electron-Beam Tomography(EBT) in following evaluation of the pulmonary vascular system after a shunt operation in the cyanotic con-genital heart disease with pulmonary stenosis or pulmonary atresia. Material and Method : Sixteen patients(M:F=11:5) who received Blalock-Taussig(n=8) bidirectional cavo-pulmonary shunt(n=10) and unifocalization (n=2) were ncluded in the study. We evaluated the patency of the shunt the morphology of intrapericardial and hilar pulmonary arteries(PA) peripheral pulmonary vascularity by background lung attenuation and the abundance of arterial & venous collateral. Angiography(n=12) and echocardiography(n=20) were used as the gold standard for the comparison of EBT results. Result: EBT was consistent with angiogram/ echo in 100% of the evaluation for the patency of the shunt and in 12(by angiogram 100%) and 19(by echo 95%) for the detection the hypoplasia stenosis or interruption of central PA In measuring of PA EBT and angiogram corrlated(r=0.91) better than EBT-echo(r=0.88) or echo-angiogram(r=0.72) Abundant systemic arterial collateral were noted in 4 and venous collateral in 3 cases. In evaluating the peripheral pulmonary vascularity the homogenous and normal-ranged lung attenuation(m=6) decreased but homo-genous attenuation(n=1) segment-by-sgment heterogeneous attenuation(n=3) homogenous but asymmetrical attenuation(n=3) segment-by-segment heterogeneous attenuation(n=3) homogenous but asymmetrical attenuation(n=3) and venous congestion(n=2) were observed nd 12 of them were compatible with the blood flow pattern revealed by cardiac catheterization. Conclusion: EBT was accurate in the integrated evaluation of the pulmonary vascular system after the shunt including the patency of the shunt operaion the morphology and dimension of the central and hilar PAs and the loco-regional pulmonary flow in the lung parenchyma. It suggests th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need of secondary shunt operation the proper timing time for total repair and the need of interventional procedure prior to total repair.

  • PDF

수술 전 청색증 정도에 따른 성인 활로씨 4징증의 임상 양상 (Surgical Outcome of Tetralogy of Fallot in Adolt -Implication of Preoperative Cyanosis-)

  • 김상화;박순익;박정준;송현;이재원;서동만;송명근;송종민;강덕현;송재관;장완숙;김영휘;윤태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4호
    • /
    • pp.271-276
    • /
    • 2005
  • 활로씨 4징증의 전교정술이 성인 연령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술 전 상태에 따른 수술 방법 및 술 후 경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8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총 33명의 성인 환자가 활로씨 4징증에 대한 전교정술을 받았다. 환자의 성비는 18:15로 여자가 많았고 연령은 $15\~54$세(중간값 34세)였다. 수술 전 심도자 시 대동맥 산소포화도에 따라 청색증형(1군: 산소포화도 $94\%$ 이하, 16예)및 비청색증형(2군: 산소 포화도 $95\%$ 이상, 17예)으로 나누었고, 각각의 술 전 혈색소치의 중간 값은 17.5g/dL 및 15g/dL로 1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수술 후 외래 관찰 기간은 1개월에서 94개월(670 patient-month, 중간 값 14개월)이었고, 이 기간 중 총 63예의 심초음파가 시행되었다 걸과: 양군에서 조기 및 만기 사망은 없었다. 수술 시 경판륜 포편 및 우심실-페동맥 간 도관이 필요했던 경우는 각각 7예$(21\%)$, 3예($9\%$)였으며, 이들 환자들은 모두 1군에 해당하였다. 수술 시 체외순환시간, 대동맥 차단시간, 중환자실 체류기간, 재원일수 등은 모두 1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수술 후 강심제의 투여량도 1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1군의 한 환자에서 심방성 부정맥이 관찰되었으나 삼첨판막 및 폐동맥 판막 치환술 후 소실되었으며, 심실성 부정맥은 양 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외래 관찰 기간 중 운동 시 호흡곤란, 초음파 상 잔존 우심실 유출로 협착 및 페동맥판 폐쇄부전, 삼첨판막 폐쇄부전 등은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얼었다. 결론: 성인 활로씨 4징증은 술 전 청색증이 심한 경우 수술 시보다 적극적인 우심실 유출로 재건 방법을 요하고, 술 후 관리도 비청색증형에 비해 주의를 요한다. 하지만 외래 추적 시 증상 및 심초음파 소견에 의한 중기 성적은 수술 전 청색증의 정도와 무관하게 양 군 모두 우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