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증식밀도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2초

작약재배지 뿌리혹선충의 발생생태에 관한 연구 (Annual Phenology of Root-knot Nematode in the Medicinal Herb (Paeonia lactiflora) Field)

  • 박소득;박선도;최부술;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59-162
    • /
    • 1994
  • 경북의성 약용작물재배지에서 뿌리혹선충에 대한 발생생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기별 발생소장과 토성에 따른 선충의 증식정도, 토양심도 다른 뿌리혹선충의 서식밀도를 1991년부터 1992년까지 2개년간 조사한 결과는다음과 같다. 뿌리혹선충(M.hapla)의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유충발생 최성기는 4월초순, 6월중순, 7월하순, 8월하순 등 4회였다. 토성과 뿌리혹선충과의 관계를 보면 사토와 사양토에서 뿌리혹선충의 난관 유충이 가장 많았고 식토에서는 밀도가 낮았다. 토양심도별 M.hapla 유충밀도는 작약포장에서 토심 15cm까지가 1,064~1,486마리로 가장 높았으며 50cm이상에서도 검출되었다.

  • PDF

매개진딧물 밀도와 감자바이러스 이병율간의 상관관계 (1) -서해 안 내륙 및 고령지에 있어서의 감자바이러스 매개진딧물의 밀도- (Correlation Between the Vector Densities and the Rate of Potato Virus Infections (I) Number of Flying Aphid Vectors of Potato Viruses in West Coast, Inland and Alpine Areas.)

  • 백운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8권
    • /
    • pp.7-9
    • /
    • 1969
  • 거의 모든 국가에서 생산된 씨감자는 감자바이러스 이병율을 검사해서 합격품만을 농민에 분배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딴 씨감자 생산국과는 사정이 달라 고령지에서 씨감자를 생산하고 있는 관계로 감자밭의 필수는 전국적으로 막대한 수에 달한다. 우리나라에서의 감자바이러스 김정은 원원종에 한하고 있으나 농민에 분배되는 씨감자도 바이러스 검정을해서 합격품만을 나누어주어야 국가의 체면이 서겠다. 그러나 현재의 시설로는 이를 감당 할 수 없어 이에 대치 될 만한 실제적 방법의 하나로 매개진딧물 밀도와 감자바이러스 이병율간의 상관관계를 밝혀 번잡한 바이러스 검정법 대신 매개진딧물의 공중밀도를 조사하여 해지점의 감자바이러스 이병율을 추산 할 목적으로 본 시험에 착수하였다. 본 보고에서는 진딧물조사 결과만을 발표하고 18개소에서 행한 포장시험결과는 1970년에 행할 바이러스 검정을 마치면 종합결과를 발표 할 예정이다. 표 1에서와 같이 서해안, 내륙, 및 대관령에서의 매개진딧물과 일반진딧물의 수는 각각 8/31, 179/680 및 50/237이었으며 필자가 행한 1967, 1968년의 조사성적을 뒷받침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필자는 씨감자 부족량 약 60,000톤의 조속한 충족을 위해 씨감자의 증식 단계에서는 서해안 일모작 답을 환용 할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바이다.

  • PDF

배추과 녹비작물의 클로버씨스트선충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Brassicaceae Cover Crops against Clover Cyst Nematode, Heterodera trifolii)

  • 고형래;김세종;이재국
    • 식물병연구
    • /
    • 제26권2호
    • /
    • pp.116-119
    • /
    • 2020
  • 녹비작물을 이용한 선충 방제 기술 개발을 위해 클로버씨스트선충이 감염된 정선군 배추 포장에서 기름무 6품종과 백겨자 4품종의 녹비작물을 재배하였다. 2개월 후 트랙터 로터리를 이용하여 녹비작물을 토양에 환원시키고 1개월 동안 부숙시켰다. 이후 배추를 정식하고 70일이 경과한 다음 씨스트 선충에 대한 알 증식률과 배추의 생체중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름무 Adios와 Anaconda 품종을 재배한 처리구의 토양에 존재하는 씨스트 내부의 알 밀도 감소율(Pf/Pi)은 각각 0.04, 0.02로 가장 낮았다. Adios와 Anaconda 처리구의 암컷의 증식수는 토양 300 ㎤당 각각 2.5마리, 3.5마리로 무처리를 비롯한 다른 처리구들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추 3포기 생체중은 Adios와 Anaconda 처리구에서 각각 7.67 kg, 7.35 kg으로 나타나 무처리 5.64 kg보다 높았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배추과 녹비작물인 기름무 Adios와 Anaconda 품종은 클로버씨스트선충의 친환경적인 방제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고아밀로오스전분의 섭취가 흰쥐의 지방대사 및 면역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Amylose Starch on Lipid Metabolism and Immune Response in Rats)

  • 설소미;방명희;최옥숙;김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50-457
    • /
    • 2003
  • 본 연구는 SD계 흰쥐를대상으로 전분을 식이 무게의 50%로 주면서 일반 옥수수전분을 고아밀로오스 옥수수전분으로 대치시 켜 RS양을 증가시켰을 때, 지방대사와 면역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식이섭취량이나 식이 효율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최종 체중은 대조군에 비해 HA100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맹장무게와 하루 변배설량은 식이내 HAS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맹장내용물의 pH는 식이 내 HAS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장 내 총 지방,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량은 HAS섭취가 증가하면 감소하였으나 HDL-콜레스테롤량과 간내 총 지방, 중성 지방, 콜레스테롤량은 HAS섭취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변을 통한 총 콜레스테롤의 배설량은 HA50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면역 기관인 흉선과 비장의 무게와 혈장의 Ig G와 $C_3$농도는 식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비장세포의 증식 능력을 보았을 때 PHA에 의한 자극에는 식이의 영향이 없었으나 저용량의 Con A로 자극하였을 때 HA25, HA50에서 증식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배양액 내 PGE$_2$의 생산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종합해보면, HAS의 섭취는 체중감소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맹장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맹장 내 pH를 낮추고, 혈액내 지방성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나무류(類)의 원형질체(原形質體) 분리(分離) 및 융합(融合)에 영향(影響)을 끼치는 요인(要因)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Isolation and Fusion of Protoplasts of Quercus Species)

  • 현정오;김재헌;장석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66-73
    • /
    • 1985
  • 본(本) 연구(硏究)는 국내(國內) 삼림생태계(森林生態係)의 우점수종(優占樹種)으로서 생태적(生態的) 및 경제적(經濟的)으로 유망(有望)한 참나무류(類)의 육종(育種) 및 우량(優良)크론의 대량증식(大量增殖)을 저해(低害)하고 있는 인공교잡(人工交雜)과 무성번식(無性繁殖)의 난점(難點)을 타개하기 위한 세포배양(細胞培養) 및 체세포(體細胞) 교잡(交雜)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획득하기 위하여 실시(實施)되었다. 주요시험결과(主要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미경화엽(未硬化葉)과 왕성(旺盛)한 성장(成長)을 보이는 Callus가 지속적인 원형질체(原形質體) 공급원(供給源)으로 적합(適合)하며 2) 원형질체(原形質體) 라출(裸出)을 위(爲)한 효소용액(酵素溶液)의 조성(組成)은 Cellulase Onozuka R-10($20g/{\ell}$), Macerozyme R-10($10g/{\ell}$), Pectinase($250units/{\ell}$), $CaCl_2$, $2H_2O$(14mM), $MgSO_4{\cdot}7H_2O$(1.8mM), $KNO_3$(1.0mM), $H_3BO_3$(1.0mM), $KH_2PO_4$(0.2mM), KI($1.0{\mu}M$), 1.4-dithiothreitol(0.1mM), mannitol(0.6M)을 조합(組合)한 것의 성적(成績)이 가장 좋았다. 3) 세포융합율(細胞融合率)이 가장 높았던 원형질체(原形質體)의 밀도(密度)는 $2{\times}10^5/ml$이었다. 이는 본(本) 시험(試驗)에 채용(採用)된 원형질체밀도중(原形質體密度中) 가장 높은 밀도(密度)였다. 4) 세포융합유도(細胞融合誘導)를 위(爲)한 polyethylene glycol 처리(處理)의 적정농도(適正濃度)와 처리시간(處理時間)은 각각(各各) 29%(w/v)와 5~10분(分)으로 나타났다.

  • PDF

곤충병원세균(Xenorhabdus nematophila) 유래물질의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 장내세균 증식억제 및 살충효과 (Antibiotic and Insecticidal Activities of Metabolites Derived From an Entomopathogenic Bacterium, Xenorhabdus nematophila, Against The Bean Bug, Riptortus clavatus)

  • 서삼열;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1-259
    • /
    • 2010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의 장내세균이 분리되었다. 형태학적 분석과 생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세균이 Staphylococcus succinus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동정되었다.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이러한 동정 결과를 뒷받침했다. 페니실린G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성충에게 경구투여 하였을 때 장내세균 밀도 감소와 치사 효과를 유발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곤충병원세균(Xenorhabdus nematophila)의 세 가지 대사물질(benzylideneacetone, proline-tyrosine, and acetylated phenylalanine-glycine-valine)을 처리하였을 때,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장내세균의 밀도감소와 치사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장내세균이 Staphylococcus sp.이며, 곤충병원세균 대사물질의 항균 활성이 장내세균과 궁극적으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생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본논초기 해충군과 비래성 멸구류의 밀도억제를 위한 살충제의 체계적 처리에 관한 연구 (A Systematic Application of Insecticides to manage Early Season Insect Pests and Migratory Planthoppers on Rice)

  • 배윤환;이준호;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70-280
    • /
    • 1994
  • 우리나라의 본농초기 해충군과 비래성 멸구류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살충제의 체계적 처리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이앙직접 carbofuran 토양혼화처리후에 벼멸구 비래시기와 buprofezin 처리시기 및 처리약량을 달리하였을때의 벼멸구 밀도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이앙직전 carbofuran (3G) 토양혼화처리의 효과로부터 벗어난 7월중 비래 벼멸구에 대한 buprofezin (25% WP)의 적정처리시기는 7월말~8월초이었다. 이때 buprofezin 의처리약량은 관행처리량보다 훨씬 낮은 수준인 7.0 g a.i./10a으로도 벼멸구의 증식밀도를 효과적으로억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carbofuran 토양혼화처리와 buprofezin 처리는 흰등멸구에 대해서도 탁월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멸구류를 천적인 거미밀도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않았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수도해충 발생특성을 고려할 때 carbofuran 과 buprofezin을 이용한 살충제 체계적 처리 즉, 이앙직전 carbofuran 토양혼화처리후 7월말-8월초 bupro-fezin처리는 본 논초기 발생해충들 및 비래성 멸구류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제체계로 생각된다.

  • PDF

더덕에 발생하는 당근뿌리혹선충의 증식억제 식물 탐색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to Suppress Population of Meloidogyne hapla in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 임주락;황창연;김대향;최정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39-346
    • /
    • 2006
  • 비름과 쇠무릎등 총 36과 81속 90종의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당근뿌리혹선충의 감염 여부를 조사한 결과, 쇠무릎 등 70종의 식물에서 당근뿌리혹선충 감염을 확인하지 못했고, 이들 70종 중 42종의 식물을 당근뿌리혹선충에 의한 더덕의 피해가 많았던 포장에 심고, 감염여부를 조사한 결과, 쇠무릎 등 26종은 당근뿌리혹선충에 거의 감염되지 않았고, 지치 등 16종은 감염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42종의 식물중 30종의 식물을 Pot 재배를 통하여 당근뿌리혹선충 접종밀도별 뿌리혹수와 토양 내 유충밀도를 조사한 결과 패랭이, 원추천인국, 기린초, 아주까리, 지모, 해변아욱, 애기똥풀, 흑참깨, 짚신나물, 큰뱀무, 오이풀, 현삼 등 12종은 당근뿌리혹선충에 거의 감염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더덕은 당근뿌리혹선충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뿌리혹수가 많아지고, 토양 내 유충밀도 역시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더덕의 생육은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나빠지는 경향이었다.

한국 식물상에 새로이 추가되는 벼과 갯보리속의 2개 미기록 분류군: 둔치개밀, 여름개밀 (Two unrecorded Elymus taxa (Poaceae) newly added to Korean flora: E. humidus and E. shandongensis)

  • 최승세;김종환;박유철;김철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94-304
    • /
    • 2021
  • 한국산 갯보리속은 개밀속과 혼돈하여 사용하여 온 바, 형태적으로 갯보리속의 범주 및 특성을 재검토하였고, 이때까지 한반도 식물상에 기록된 바 없는 갯보리속의 2개 미기록 분류군, 둔치개밀과 여름개밀을 각각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에서 채집된 표본을 근거로 보고하였다. 둔치개밀은 강가 주변의 생육지, 항상 곧추서는 꽃차례, 화서에 밀착된 소수, 지상부 아래쪽 마디에서 새로운 개체를 무성적으로 증식하는 점에서 다른 분류군과 구별되고, 여름개밀은 개밀과 비슷하지만 개화시기가 여름철이고, 옆으로 약간 휘는 꽃차례, 포령의 맥수, 화서에 밀착된 소수와 같은 특징에 의해 구별되었다. 한국산 두 미기록 분류군에 대한 기재, 사진 및 근연 분류군간의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암묵지전이 활성화를 위한 BSKT(Brokering Systems for tacit Knowledge Transfer)개발 (Development of BSKT For Cultivating Tacit Knowledge Transfer)

  • 홍종의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39-48
    • /
    • 2016
  • 암묵지는 전이를 통해 증식되며, 가치 또한 증대된다. 암묵지 전이는 조직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암묵지 전이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암묵지 전이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암묵지 전이를 방해하는 장벽이 암묵지 전이를 저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암묵지 전이를 방해하는 장벽은 지식과 지식전문가에 대한 이해부족, 업무 가중 및 미흡한 보상, 신뢰부족과 지식 접착성(Knowledge Stickiness)이다. 암묵지 전이의 장벽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암묵지 지식전이를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대리인이 필요하다. 지식중개자는 암묵지 전이를 위한 근간이며, 효율적인 지식네트워크의 구축은 암묵지 전이를 위한 핵심성공요소이다. 그러나 지식네트워크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는 네트워크의 근접성과 밀도, 중심성 등 기초지표를 활용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암묵지 전이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지식중개인 진단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연결망분석을 기반으로 조직관점 및 지식근로자관점의 암묵지 전이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BSKT 구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