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증발 특성

Search Result 1,24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진공증발법을 이용한 CZTSe 광흡수층 박막 제조 및 태양전지 특성 분석

  • Jeong, Seong-Hun;Gwak, Ji-Hye;Yun, Jae-Ho;An, Se-Jin;Jo, A-Ra;An, Seung-Gyu;Sin, Gi-Sik;Yun, Gyeong-Hu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42.1-42.1
    • /
    • 2011
  • 높은 광흡수 계수를 갖는Cu(In,Ga) $Se_2$ (CIGS) 화합물 박막 소재는 고효율 태양전지 양산을 위해 가장 전도유망한 재료이나 상대적으로 매장량이 적은 In 및 Ga을 사용한다는 소재적 한계가 있다. $Cu_2ZnSnSe_4$ (CZTSe) 혹은 $Cu_2ZnSnS_4$(CZTS)와 같은 Cu-Zn-Sn-Se계 화합물 반도체는 CIGS 내 희소원소인 In과 Ga이 범용원소인 Zn 및 Sn으로 대체된 소재로써 미래형 저가 태양전지 개발을 위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데, 그 화합물 조합에 따라 0.8 eV부터 1.5 eV까지의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퍼터링법에 기반한 2단계 공정에 의해 3.2%의 CZTSe 및 6.7%의 CZTS 태양전지 효율 달성이 보고된 바 있으며, 최근 비진공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된 $Cu_2ZnSn(S,Se)_4$ (CZTSSe) 태양전지가 9.6%의 변환효율을 생산하여 세계 최고기록을 갱신한 바 있다. 반면, 동시진공증발법에 의한 Cu-Zn-Sn-Se계 연구는 박막 조성 조절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공개된 연구결과의 양이 적으며 그 효율에 대한 보고는 특히 미미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시진공증발법에 의한 CZTSe 박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n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진공증발 공정을 최적화하였으며, 이를 통해 CZTSe 박막 태양전지를 제조하고 그 특성분석을 통해 5% 이상의 변환효율을 달성하였다.

  • PDF

CIGS 박막 태양전지를 위한 $(In,Ga)_2Se_3$ 전구체 제작 및 분석

  • Jo, Dae-Hyeong;Jeong, Yong-Deok;Park, Rae-Man;Han, Won-Seok;Lee, Gyu-Seok;O, Su-Yeong;Kim, Je-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285-285
    • /
    • 2010
  • $Cu(In,Ga)Se_2$ (CIGS) 박막 태양전지 제조에는 동시증발법 (co-evaporation)으로 Cu, In, Ga, Se 각 원소의 증발을 세 단계로 제어하여 CIGS 박막을 증착하는 3-stage 방법이 널리 이용된다[1]. 3-stage 중 1st-stage에서는 In, Ga, Se 원소 만을 증발시켜 $(In,Ga)_2Se_3$ 전구체 (precursor) 박막을 성장시킨다. 고효율의 CIGS 태양전지를 위해서는 $(In,Ga)_2Se_3$ 전구체 증착의 공정 변수와 이에 따른 박막 특성의 이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Mo 박막이 증착된 소다석회유리 (soda lime glass) 기판에 동시증발장비를 이용하여 280 380 의 기판 온도에서 In, Ga, Se 물질을 증발시켜 $(In,Ga)_2Se_3$/Mo/glass 시료를 제작하였으며 XRD, SEM, EDS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XRD 분석 결과 기판 온도 $280{\sim}330^{\circ}C$에서는 $(In,Ga)_2Se_3$ 박막의 (006), (300)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기판 온도가 증가할수록 (006) 피크 세기는 감소하였고 (300) 피크 세기는 증가하였다. $380^{\circ}C$에서는 (110)을 포함한 다수의 피크가 관찰되었다. 그레인 (grain) 크기는 기판 온도가 증가할수록 커지며 Ga/(In+Ga) 조성비는 기판 온도에 따라 일정함을 각각 SEM과 EDS 측정을 통해 알 수 있었다. $(In,Ga)_2Se_3$ 전구체의 (300) 배향은 CIGS 박막의 (220/204) 배향을 촉진하고[2], 이것은 높은 광전변환효율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In,Ga)_2Se_3$의 (300) 피크의 세기가 가장 큰 조건인 $330^{\circ}C$를 1st-stage 증착 온도로 하여 3-stage CIGS 태양전지 공정을 수행하였으며, $MgF_2$/Al/Ni/ITO/i-ZnO/CdS/CIGS/Mo/glass 구조의 셀에서 광전변환효율 16.96%를 얻었다.

  • PDF

3단계 동시진공증발공정에 의해 성장된 CIGS 광흡수층 박막에 대한 Se Flux의 영향

  • Lee, Min-Ji;Gwak, Ji-Hye;Yun, Jae-Ho;An, Se-Jin;Jo, A-Ra;An, Seung-Gyu;Sin, Gi-Sik;Yun, Gyeong-Hun;Kim, Do-Ji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43.1-43.1
    • /
    • 2011
  • Cu(In,Ga)$Se_2$, $CuInS_2$ 등의 CIS계 화합물 박막 소재를 활용한 태양전지는 높은 광흡수 계수, 상대적으로 높은 변환 효율 및 미래의 잠재적 변환 효율, 화학적 안정성, 도시적인 미관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활발한 연구 및 양산화가 진행 중에 있다. CIGS 박막 태양전지 내에서 광생성된 캐리어들의 재결합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태양에너지의 변환 중 에너지 손실을 더욱 줄이기 위해서는 CIGS 태양전지의 결함 특성에 대한 규명이 중요하며, 이차상의 분리, 셀렌화, Na 확산 등과 같이 CIGS 화합물 박막이 성장하는 동안 일어나는 현상들과 결함발생 사이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수적이다. 특히, CIGS 박막 성장 공정 중 Se flux는 CIGS 막의 성장과 소자의 전기적 파라미터에 영향을 미치므로, Se 조절 및 이에 관련된 결함들을 이해하는 것은 CIGS 박막 태양전지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3단계 동시증발공정을 이용하여 CIGS 박막 태양전지를 제조 분석하여, 공정 중기판온도 및 Se flux가 CIGS 박막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한 공정조건 최적화로 CIGS 박막 태양전지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고효율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Preparation of PVDF/PDMS Composite Membrane and Separation of n-butanol/water Mixtures by Pervaporation (PVDF/PDMS 복합막의 제조와 투과증발을 이용한 n-부탄올/물 혼합물의 분리)

  • Lee, Yong-Taek;Jee, Ki-Yong;Jeon, Eun-Joo;Kim, No-Won
    • Membrane Journal
    • /
    • v.19 no.3
    • /
    • pp.212-221
    • /
    • 2009
  • This study focuses on preparation of PVDF/PDMS composite membranes to effectively separate butanol from water-butanol mixture using pervaporation. We prepared various composite membranes by changing PVDF concentration of support layer and PDMS cross-linking condition of active layer. Pervaporation performance was tested by measuring butanol flux and separation factor with various cases of butanol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flow rate of feed. As results, performance of our novel PVDF/PDMS membranes surpasses that of PVDF/POMS membrane, manufactured by GKSS (Germany), in term of butanol flux, permeate concentration, and separation factor.

Current status of site observations for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content in the K-water dam watershed (K-water 댐 유역 증발산량 및 토양수분량 관측 현황)

  • Cho, Younghyun;Kang, Tae Ho;Lee, Yo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67-67
    • /
    • 2022
  • 국가 물관리 측면에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량은 자연계 손실로서 국내 수자원 총량의 약43%(563억 m3/년)를 차지하며, 수자원의 계획과 개발, 물순환 과정 규명 및 다양한 수재해 분석 등을 위한 수문 요소이다. 정부는 2005년 「수문조사 선진화 5개년 계획」과 2008년 「제1차 수문조사기본계획(2010~2019년)」을 통해 2019년까지 증발산량과 토양수분량 관측소 확대(각각 25개 지점) 기반을 마련하였고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년 공인 수문 자료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량을 측정하고 있다. 증발산량과 토양수분량은 댐 유역의 정밀한 물순환 해석에도 매우 중요한 정보로서 현재 K-water에서의 관측은 일부 시험유역(용담댐 유역)의 flux tower에 의한 에디공분산법(Eddy Covariance Method) 및 토양수분 센서(TDR, Time Domain Reflectometery)에 의한 지점 자료의 생산만 각각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water 댐 유역의 증발산량 및 토양수분량 관측 현황과 그간 관측된 자료의 특성을 각종 경향성 분석 등과 함께 소개하고자 한다, 증발산량의 경우는 2개소의 flux tower를운영(덕유산 지점 2011년 이후, 용담 지점 2017년 이후)하고 있으며, 토양수분량은 총 7개소(계북, 천천, 상전, 안천, 부귀, 주천 지점 2013년 이후, 장계 지점 2017년 이후)에 TDR센서를 설치, 계측 운영 중이다. 이렇게 관측된 자료는 매년 홍수통제소 주관 관련 전문가 공인심사를 통해 일자료 기준으로 한국수문조사연보에 수록되고 있으며, K-water에서도 연보를 통해 공개된 자료를 기준으로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 등과 연계하여 온라인 자료 서비스 중이다. 한편, 최근 2020년 「제2차 수문조사 기본계획(2020~2029년)」에서는 수자원 위성 개발연구와 연계하여 위성을 활용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량 산정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살펴본 지점 자료만으로는 댐 유역을 포함한 광역단위의 시계열 공간정보를 생산하기 한계가 있으며, 댐 유역과 국내 전 지역의 공간 시계열 증발산량 및 토양수분량 자료 산정과 활용 방안에 대해 정립하고, 나아가 위성영상을 활용한 댐 유역 증발산량·토양수분량 관측 가이드라인 마련 등을 위해서는 국가적으로 많은 재원의 투입과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 PDF

Basic Study of Evaporative Characteristics of Emulsified Fuels (에멀젼연료 증발특성에 관한 기초 연구)

  • Yeom, Jeong Kuk;Yoon, Jeong Hwa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9 no.9
    • /
    • pp.917-922
    • /
    • 2015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application of alternative blended fuel to diesel engine. In this study, as the test fuels, we use a blended fuel mix of diesel and hydrogen peroxide. As the primary variable, we vary the mixing ratio of diesel and hydrogen peroxide in the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We perform an evaporative behavior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emulsified fuel using the Schlieren method. The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al analysis using the commercial code(ANSYS CFX). Consequently, we found that the micro-explosion depends on the frac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we propose a numerical method for the quantitative evaporation analysis of emulsified fuel droplets using the calculation of the volume fraction in the oil domain.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Spray Behavior and Flow Characteristics of Urea-Water Solution Injected into Diesel Exhaust Pipe (디젤 배기관에 분사된 우레아 수용액의 분무 거동 및 유동 특성에 관한 연구)

  • An, Tae Hyun;Kim, Man Yo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8 no.1
    • /
    • pp.41-48
    • /
    • 2014
  • A urea-SCR system suffers from some issues associated with the ammonia slip phenomenon, which mainly occurs because of the shortage of evaporation and thermolysis time, and this makes it difficult to achieve an uniform distribution of injected urea. A numerical study was therefore performed by changing such various parameters as installed injector angle and application and angle of mixer to enhance evaporation and the mixing of urea water solution with exhaust gases. As a result, various parameters were found to affect the evaporation and mixing characteristics between exhaust gas and urea water solution, and their optimization is required. Finally, useful guidelines were suggested to achieve the optimum design of a urea-SCR injection system for improving the DeNOx performance and reducing ammonia slip.

Pervaporative Recovery of Bio-butanol through Dense- and Composite-type PDMS Membranes (PDMS막을 이용한 바이오 부탄올 분리정제와 투과증발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Jeong-Hoon;Ryu, Bi-Ho;Chang, Bong-Jun;Kim, Woo-Nyon
    • Membrane Journal
    • /
    • v.19 no.2
    • /
    • pp.157-164
    • /
    • 2009
  • Bio-butanol recovery by pervaporation was performed with dense and composite polydimethylsiloxane (PDMS) membranes. The pervaporative behavior of the membranes was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operation temperature $(20{\sim}40^{\circ}C)$ and membrane thickness $(100{\sim}1{\mu}m)$ using a series of aqueous BtOH model solutions $(1{\sim}5wt%)$. With the increment of the BtOH concentration in feed, the Butanol concentration in permeate, pervaporation selectivity of Butanol over water and Butanol permeation flux increased. As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feed solutions increased, the BtOH concentration in permeate, pervaporation selectivity and permeation flux increased markedly. As the thickness of the PDMS membrane decreased, permeation flux increased but pervaporation selectivity decreased. These results were explained in terms of high solubility and low diffusion resistance of BtOH over water toward hydrophobic and rubbery PDMS membranes.

Preparation of Organic/Inorganic Siloxane Composite Membranes and Concentration of n-butanol from ABE Solution by Pervaporation (Siloxane 유-무기 복합막 제조와 투과증발법을 이용한 Acetone-Butanol-Ethanol (ABE) 용액에서 부탄올의 분리)

  • Jee, Ki Yong;Lee, Yong Taek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1 no.5
    • /
    • pp.580-586
    • /
    • 2013
  • In this paper, polymer composite membranes and ceramic composite membranes were prepared in order to compare differences in pervaporation performances relative to the support layers. PVDF was used for the polymer support layers, and $a-Al_2O_3$ was used for the ceramic support layers. For active layer was coated for PDMS, which is a rubbery polymer. The characterization of membranes were analysed by SEM, contact angle, and XPS. We studied performances relative to the composite membrane support layers in the ABE mixture solutions. The results of the pervaporation, the flux of the ceramic composite membrane was shown to be $250.87g/m^2h$,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polymer composite membranes, at $195.64g/m^2h$. However, it was determined that the separation factor of the polymer composite membranes was 31.98 which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eramic composite membranes, at 20.66.

An Experimental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of R134a in a Small Diameter Tube (세관내 R-134a의 유동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on, Chang-Hy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8 no.6
    • /
    • pp.1307-1312
    • /
    • 2007
  • The flow characteristics of R-134a in a small diameter tube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An experimental apparatus was consisted of a magnetic gear pump, an evaporator, a sight-glass, a condenser and a measurement instruments. The sight-glass for flow pattern observations was located at the inlet and outlet of the evaporator.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how the flow characteristics of R-134a in a small diameter tube. Mass flux of refrigerants was ranged from 100 to 1000 $kg/m^2s$, the saturation temperature was $30^{\circ}C$. In the flow patterns during evaporation, the annular flow in a 2 mm inner diameter tube occurred at a relatively lower quality and mass velocity, compared to that in a 8 mm inner diameter tube. The evaporation flow pattern in a small diameter tube has been shown major deviations with the Baker, Mandhane and Taitel-Dutler's flow pattern maps but it was similar to the Dobson's flow pattern ma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