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증발효과

Search Result 42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and Landuse Change on Water Resources in the Han River (기후변화와 토지피복변화를 고려한 한강 유역의 수자원 영향 평가)

  • Kim, Byung-Sik;Kim, Soo-Jun;Kim, Hung-Soo;Jun, Hwan-D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3
    • /
    • pp.309-323
    • /
    • 2010
  • As climate changes and abnormal climates have drawn research interest recently, many countries utilize the GCM, which is based on SRES suggested by IPCC, to obtain more accurate forecast for future climate changes. Especially, many research attempts have been made to simulate localize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by using RCM with the high resolution data globally. To evaluate the impacts of climate and landuse change on water resources in the Han-river basin, we carried out the procedure consisting of the CA-Markov Chain, the Multi-Regression equation using two independent variables of temperature and rainfall, the downscaling technique based on the RegCM3 RCM, and SLURP. From the CA-Markov Chain, the future landuse change is forecasted and the future NDVI is predicted by the Multi-Regression equation. Also, RegCM3 RCM 50 sets were generated by the downscaling technique based on the RegCM3 RCM provided by KMA. With them, 90 year runoff scenarios whose period is from 2001 to 2090 are simulated for the Han-river basin by SLURP. Finally, the 90-year simulated monthly runoffs are compared with the historical monthly runoffs for each dam in the basin. At Paldang dam, the runoffs in September show higher increase than the ones in August which is due to the change of rainfall pattern in future. Additionally, after exploring the impact of the climate change on the structure of water circulation, we find that water management will become more difficult by the changes in the water circulation factors such as precipitation, evaporation, transpiration, and runoff in the Han-river basin.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amboo (Phyllostachys bambusoides Starf) Extracts Prepared with Different Methods (추출방법에 따른 대나무(왕대) 추출물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

  • Ju, In-Ok;Jung, Gi-Tai;Ryu, Jeong;Choi, Joung-Sik;Choi, Yeong-Geu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7 no.4
    • /
    • pp.542-548
    • /
    • 2005
  •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Bamboo (Phyllostachys bambusoides Starf) extracts obtained by burning, dry heating or extracting with water or 70% ethanol and were investigated. Contents of soluble solid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highest in the ethanol extract. Contents of polyphenols such as catechin,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3-hydroxy benzoic acid and ferulic acid were determined. Free sugars consisted of galactose,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Organic acids including citric, tartaric, malic, succinic, and acetic acid were present in the bamboo extracts. Antioxidant activities of dry heat and ethanol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BHA or ${\delta}-tocopherol$.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extracts ranged from 84.7 to 99.6% at pH 1.2 ana 3.0. Tyrosinase-inhibitory activity was higher in the water extract, and SOD-like and ACE-inhibitory activity were highest in tile dry kent extract.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bamboo extracts were strong against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O157, and Staphylococcus aureus.

Physiology and Nutrition of Pasture Plants (목초의 생리 및 영양)

  • 이주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12 no.3
    • /
    • pp.64-129
    • /
    • 1992
  • 최근 초지중심 사양형태의 증가와 초지면적의 확대에 따라 단순한 사료로서가 아니라 영양가치가 높고 기호성이 높은 목초생산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고위생산을 위해 다량으로 사용된 질소질비료에 의하여 질산태 중독 등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어 목초의 생리 및 영양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사료성분 혹은 영양가치에 대한 연구는 이미 일찍부터 다루어져 왔으나, 주로 야초류, 청예작물 및 농가부산물 등의 일반성분 특히, 조단백질과 조섬유함량의 연구가 주가 되었고 다년생 목초류에 대한 연구는 1975년경부터 본격화 되기 시작하였다. 그동안 한국초지학회지와 축산학회지($1972\sim1991$)에 게재된 총 151편의 생리 및 영양에 관한 연구 중에서 다년생 목초류를 취급한 것은 불과 63편에 머물고 있다. 이 분야의 연구는 각종 목초 사료작물에 대한 재배조건과 생육단계에 따른 생리생태학적 연구와 사료성분, 소화율 및 가소화양분 함량의 일반적인 변화, 경향을 검토하여 사료 가치 평가를 위한 기준으로 삼았다. 그러나 다년생 목초류는 물론 사료 작물에 있어서 육종 생리분야의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태로써 단지 발아, 생육, 저장탄수화물 및 유독성분 등 단편적인 연구만이 행해지고 있을 뿐이다. 또한 사료 성분이 가축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므로 금후 탄수화물과 미량 요소에 대한 자세한 연구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목초와 사료작물의 화학적인 조성과 가축의 생리에 관련한 여러가지 문제들도 앞으로 보다 깊이 연구되어야 할 과제라고 생각된다.권을 잡기 위해 10년지기였던 IBM과 MS사는 각각 OS/2와 윈도즈를 내세우고 양보할 수 없는 힘겨루기에 들어갔다. 또 이들 양사는 펜컴퓨터,멀티미디어등 차세대제품의 운영체제 시장을 둘러싸고 일찍부터 격전에 들어갔으며 IBM과 MS사의 혼전을 틈타 썬마이크로시스템을 필두로한 워크스테이션 업체 및 유닉스진영까지 고성능 PC시장을 겨냥한 OS를 속속 개발, 90년대의 OS 전쟁은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안개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DOS에서 32비트시대,펜컴퓨터, 멀티미디어에 이르는 차세대제품을 둘러싼 업계의 OS 쟁탈전을 통해 OS의 발전동향과 미래를 전망해 본다. results in the large change of the objective function, the sum of squares of deviations of the observed and computed groundwater levels. 본 논문에서는 가파른 산사면에서 산사태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수문학적 인 지하수 흐름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물리적인 개념에 기본하였으며, Lumped-parameter를 이용하였다. 개발된 지하수 흐름 모델은 두 모델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비포화대 흐름을 위해서는 수정된 abcd 모델을, 포화대 흐름에 대해서는 시간 지체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선형 저수지 모델을 이용하였다. 지하수 흐름 모델은 토층의 두께, 산사면의 경사각, 포화투수계수, 잠재 증발산 량과 같은 불확실한 상수들과 a, b, c, 그리고 K와 같은 자유모델변수들을 가진다. 자유모델변수들은 유입-유출 자료들로부터 평가할 수

  • PDF

A Study on Desalination Methods for Application of Outdoor Iron Artefacts (옥외 철제문화재 적용을 위한 탈염처리 방법 연구)

  • Lee, Hye-Youn;Cho, Nam-Chul;Kim, Woo-Hyun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25 no.1
    • /
    • pp.49-60
    • /
    • 2009
  • Outdoor iron artefacts are easily corroded by salts, especially $Cl^-$ion, from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acid rain because of their location, so that they need conservational treatments such as stabilization. However the conservation of outdoor iron artefacts are limited to be consolidated for the present and there are a few the studies for the desalinization. The general desalinization method is that objects are immersed in reagent such as alkaline corrosion inhibiting solutions targeting on buried iron artefacts, thus they are not available for outdoor iron artefacts. In this study, concerning those difficulties, the different desalting method is experimented that materials soaked in alkaline solutions attach to objects and they are packed by waterproof to avoid evaporation. This paper experiment burial iron artefacts at first in order to fine out an adaptable method for outdoor iron artefacts. The soaking materials are Korean traditional paper, gauze, cotton wipers, spill pads and the desalting regent is NaOH 0.1M. Additionally the exiting desalinization method which is to immerse objects in solution is performed to compare. The analyses are microscopes, SEM-EDS, X-ray diffraction, pH meter and Ion chromatography. The result is that spill pads show the best desalting effect out of other materials similar to immersing desalting method.

  • PDF

A Study on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of ancient reservoir through hydrological analysis - Cheong reservoir located Yeongcheon, southeastern part of Korea (수문학적 분석을 통한 한국 고대수리시설의 농업생산력 연구 - 영천 청제)

  • Jang, Cheol Hee;Kim, Hyeon Jun;Seong, Jeong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3-33
    • /
    • 2018
  • 농업이 기간산업이었던 고대사회에서 수리시설(水利施設)의 축조는 농업의 성패를 가늠하는 중요한 요소로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적인 대규모 사업이었다. 이에 따라 수리시설의 축조 시기와 배경, 축조 기술과 운영, 구조, 몽리(蒙利) 효과 및 보수(補修)와 수축(修築) 등에 대한 연구는 우리의 농경(農耕)문화사를 밝히는데 중요한 관건이 된다. 관개(灌漑) 수리시설의 축조와 정비는 수전(水田) 개발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제방(堤防)을 축조함으로써 주변의 수전 개발을 촉진하고, 가뭄과 홍수로부터 안전하게 전답을 유지할 수 있어 수확량을 높이게 된다. 농업생산력의 향상은 대내적 체제 정비는 물론 치열한 국가 간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데 필요한 경제적 배경이 된다. 이처럼 고대수리시설은 개인과 집단 나아가 국가의 생존을 뒷받침하는 근본이었지만, 과연 우리는 그 역사성과 의미에 대해 제대로 평가를 했던 것일까? 또한, 고대수리시설의 관개 및 치수(治水) 능력은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였으며 근대에 비하면 어느 정도였을까? 일부 수리시설에 대해 관개면적을 추정한 경우는 있으나, 그 예도 많지 않을뿐더러 시기적인 변천 양상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고대로부터 원형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수리시설 중 경북(慶北) 영천(永川)의 청제(菁堤)를 대상으로 고고학적 역사학적 입장에서 보다는 수문학적(水文學的) 농업수리학적(農業水利學的) 관점에서 저수량(貯水量) 및 관개(灌漑) 면적에 따른 농업생산력을 살펴보았다. 지형 및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를 이용하여 저수지의 규모 및 관개 면적을 추정하였으며 수문학적 해석 모형(模型)인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김현준 등, 2012)을 이용하여 저수량 및 관개 가능량을 분석하였다. CAT은 공간 단위별로 침투(浸透), 증발(蒸發), 지하수(地下水)흐름 등의 모의(模擬)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모형이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 및 홍수방재용(洪水防災用) 저류(貯留)시설 등의 저류량(貯留量) 및 방류(放流量)에 대한 모의가 가능하다(장철희 등, 2012). 고대수리시설의 저수량 및 관개 면적에 따른 농업생산력을 공학적 수문학적으로 해석하는 연구는 과거물 관리 및 생산력의 실태를 좀 더 자세히 파악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며, 역사학적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고대수리시설의 역사성 및 우수성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ing a system of reservoir operation for drought adaptation (가뭄대응 저수지 운영 시스템 개발)

  • Noh, Jaekyoung;Oh, Soohun;Lee, Jae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2-32
    • /
    • 2018
  • 최근 여러 가지 요인으로 가뭄이 빈발하고 있으며, 가뭄을 대비한 과학적 저수지 운영이 절실하다. 유입량, 관개용수량, 저수량, 하천유지유량 등 저수지 물수지를 반영하여 실제 가뭄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발하였다. 여기서, 하류 하천의 수량을 양수하여 저수량을 확보하는 양수저류를 고려하였고, 시기별 관개용수량을 간단관개, 절수관개 등의 실제 상황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또한 저수량의 장기간 변화를 관찰하여 저수지 운영의 가이드라인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고, 하류 하천의 유량 변화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근 수차례 가뭄을 겪은 충남 홍성에 위치한 대사저수지에 개발된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대사 저수지는 유역면적 $2.9km^2$, 유효저수량 137만$m^3$, 수혜면적 163ha에 이르며, 유역면적 $72.2km^2$인 하류하천의 와룡천으로부터 $0.057m^3/s$씩 양수하여 저수량을 확보하고 있다. 일별 저수율 자료가 있는 1991년부터 2016년까지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수는 1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결과를 정리하였다. 첫째, 일 저수위를 모의하여 검증한 결과 일평균하여 관측 저수위는 EL.84.58m, 모의 저수위는 EL.85.87m이었다. 이 때 강우량은 연평균 1,275.2mm, 유입량은 718.0mm, 유출률 56.3%, 수면증발량 11.5만$m^3$, 관개용수 공급량 117.5만$m^3$, 월류량 148.9만$m^3$이었다. 둘째, 양수로 인한 유입량의 변화는 양수 전에는 연평균 209만$m^3$(유출률 56.3%)에서 양수 후 276만$m^3$(74.7%)로 증가하였고, 양수량은 67.5만$m^3$(연유입량의 32.3%)이었다. 셋째, 하류 와룡천의 유량은 양수 전에는 연평균 연유출량 5,200만$m^3$(유출률 56.5%)에서 양수 후 5,120만$m^3$(55.6%)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수 전에는 일평균 저수량이 47만$m^3$에서 양수 후 76만㎥으로 증가하였고, 양수저류로 인해 이수안전도는 15.4%에서 92.3%로 개선되었다. 또한 양수로 인해 저수지 유입량은 연평균 32.3% 증가하였고, 하류하천의 유량은 1.55% 감소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로 양수저류는 가뭄대응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여건을 고려한 저수지 운영 가이드라인의 합리적 설정으로 보다 적극적인 가뭄대응이 필요하다고 본다. 물관리 현황은 지구별, 저수지별로 다양하다. 향후 현장 상황에 적합한 물관리 방법을 적극 모색해야 하며, 자연과 인간의 평등한 물 이용 환경조성에, 여기 개발한 도구가 일정 부분 유용할 것이라 판단한다.

  • PDF

Effect of Heating system on Roof garden for Turf growth (옥상 잔디녹화시 Heating system의 효과)

  • Koh, Seuk-Koo;Shin, Hong-Kyun;Tae, Hyun-Sook;Kim, Yong-Seon;Ahn, Gil-Man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23 no.2
    • /
    • pp.279-286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tilize the waste heat from office building for turfgrass culture on a roof garden. Heating system had been installed in the middle of soil profile on the turf areas in the garden plo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stallation of heating system increased the shoot density, turfgrass quality, coverage rate, and root length compared with the control plots. The surface temperature of heating plots reached at $10.9^{\circ}C$ when the control plot showed $0^{\circ}C$, however, the soil moisture content was decreased 1.9% by the heating system. When the height of the snow accumulation reached over a 15cm, the it took only 4 days to melt out completely, while the height did not changed those period at the control plots. When the water temperature in boiler increased to $60^{\circ}C$ from a proper temperature of $55^{\circ}C$ in turf growth, the desiccation from leaf tip was started to occur caused by drought stress. More detail research should be followed in stress physiology in turf management in roof garden operation.

Effect of Cosurfactants on the Release Behavior of Zaltoprofen-loaded PLGA Microspheres in In Vitro :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보조계면활성제 첨가에 따른 잘토프로펜을 함유한 PLGA 미립구의 생체외 방출 거동: 제조 및 특성)

  • Eom, Shin;Yoo, Seok-Cheol;Kim, Yong-Ki;Lee, Young-Hyun;Lee, Eun-Yong;Yu, Hyeon;Lee, Dong-Won;Khang, Gil-Son
    • Polymer(Korea)
    • /
    • v.34 no.4
    • /
    • pp.333-340
    • /
    • 2010
  • Zaltoprofen, a propionic acid derivativ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 is known to have powerful inhibitory effects on acute, subacute and chronic inflammation. We developed poly(lactide-co-glycolide)(PLGA) microspheres loaded with zaltoprofen for sustained controlled delivery using an oil-water solvent evaporation methods by varying PLGA molecular weight and cosurfactant conten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orphology of zaltoprofen-loaded PLGA microspheres were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X-ray diffraction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he size of microspheres increased with the molecular weight of PLGA and the content of cosurfactants. The increase of PLGA molecular weight and cosurfactant content decreased the porosity of microspheres, subsequently resulting in the slow drug releas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adjustment of PLGA molecular weight and the cosurfactant content allowed us to control the drug release profiles of drug-loaded microspheres.

Hydrologically Route-based Green Infra facilities assessment Model: Focus on Bio-retention cells, Infiltration trenches, Porous Pavement System, and Vegetative Swales (수문학적 추적 기반의 GI 시설 평가 모델: 생태저류지, 침투도랑, 투수성포장, 식생수로를 대상으로)

  • Won, Jeongeun;Seo, Jiyu;Choi, Jeonghyeon;Kim, Sangd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3 no.1
    • /
    • pp.74-84
    • /
    • 2021
  • Active stormwater management is essential to minimize the impact of urban development and improve the hydrological cycle system. In recent years, the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 for urban stormwater managemen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reasonable alternative. The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is actively used in urban hydrological cycle improvement projects as it provides simulation functions for various GI (Green Infra) facilities through its LID module. However, in order to simulate GI facilities using SWMM,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setting up complex watersheds and deploying GI facilities. In this study, a model that can evaluate the performance of GI facilities is proposed while implementing the core hydrological process of GI facilities. Since the proposed model operates based on hydrological routing, it can not only reflect the infiltration, storage, and evapotranspiration of GI facilities, but als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ffect of improving urban hydrological cycle by GI facilities.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proposed model with the results of SWMM. In addition, a discussion of errors occurring in the SWMM's permeable pavement system simulation is included.

Assessment of ECMWF's seasonal weather forecasting skill and Its applicability across South Korean catchments (ECMWF 계절 기상 전망 기술의 정확성 및 국내 유역단위 적용성 평가)

  • Lee, Yong Shin;Kang, Shin 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9
    • /
    • pp.529-541
    • /
    • 2023
  • Due to the growing concern over forecasting extreme weather events such as droughts caused by climate change, there has been a rising interest in seasonal meteorological forecasts that offer ensemble predictions for the upcoming seven months. Nonetheless, limit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South Korea, particularly in assessing their effectiveness at the catchment-scale.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accuracy of ECMWF's seasonal forecasts (including precipitation, temperature, and evapotranspiration) for the period of 2011 to 2020. We focused on 12 multi-purpose reservoir catchments and compared the forecasts to climatology data. Continuous Ranked Probability Skill Score method is adopted to assess the forecast skill, and the linear scaling method was applied to evaluate its impact.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seasonal meteorological forecasts have similar skill to climatology for one month ahead, the skill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forecast lead time increased. Compared to the climatology, better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Wet season than the Dry season. In particular, during the Wet seasons of the dry years (2015, 2017), the seasonal meteorological forecasts showed the highest skill for all lead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