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증발산 모형

Search Result 13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alysis of Hydrological Changes by Variation of Reservoir Environment Using SWAT Model (SWAT 모형을 이용한 저수지 환경변화에 따른 수문 분석)

  • Shin, Hyung Jin;Lee, Ji Wan;Ryu, Joon Sang;Kang, Seok Man;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05-305
    • /
    • 2018
  • 저수지 상류부 환경변화 분석을 위해 환경변화 시나리오 적용 분석할 수 있는 수문모형(SWAT)을 선정하여 수양(함동)호 유역을 포함하는 송산관측소를 유역출구로 하여 유출량 자료가 있는 2015~2016년을 대상으로 모형을 검?보정하였다. 수양(함동)호는 댐 높이 13.5m에서 15.1m로 증고 되었으며 총저수량은 7,472 천$m^3$에서 11,926 천$m^3$로 증가하였다. 모형 검증결과 모형효율이 0.9로 모형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둑높이기 사업 전(2001-2010)과 사업 후(2015-2016)을 모의하여 사업 전?후의 수문요소(강우, 유출, 침투, 증발산, 침루, 토양수분, 지하수 증발, 지하수함양) 모의결과를 정리하였다. 사업 전(2001-2010) 평균 강수량 1549.8 mm, 유출량 907.9 mm, 침투량 615.4 mm, 증발산량 624.2 mm, 침루량 241.1 mm, 토양수분 355.7 mm, 지하수 함양량 222.5 mm로 모의 되었다. 사업 후(2015-2016) 평균 강우량 1100.1 mm, 유출량 370.4 mm으로 극심한 가뭄으로 나타났다. 사업 전 비슷한 강우량을 나타낸 2006년 지하수 함양량은 186.9 mm이고 2016년은 222.9 mm로 지하수 함양량이 사업 후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Use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Long-term Evaluation of Hydrological Cycles in the Seolmacheon and Cheongmicheon Basin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설마천 유역과 청미천 유역의 장기 수문순환 평가)

  • Kim, Soeun;Yoo, Chulsang;Lee, Munseok;Song, Sungu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3 no.4
    • /
    • pp.277-286
    • /
    • 2021
  • This study compares the long-term hydrological cycles of the Seolmacheon and Cheongmicheon basin by appl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se two basins are found different especially in their land-use pattern. Both basins have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 data measured by the eddy-covariance method as well as the rainfall and runoff data. The length of the data considered in this study is nine years from 2010 to 2018. The structure of the SEM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correlations among the data as well as the general knowledge on the hydrological cycle. As a result, a total of three SEMs are applied sequentially to analyze their fittings. As irony would have it, two basins are found to be similar in the application of one SEM, but different in the application of another. Especially, when considering the feedback process between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two basins are found to be very different. That is, the feedback process between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i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Cheongmicheon basin where the portion of agricultural area (i.e., paddy) is more than 40%.

Simulation of soil moisture in Hill-slope area using GSSHA model (분포형 수문모형(GSSHA)을 이용한 산지사면에서의 토양수분 모의)

  • Jang, Cheol-Hee;Kim, Hyeon-Jun;Kim, Sang-Hyeon;Noh, S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14-1618
    • /
    • 2007
  • 분포형 수문모형은 유역을 격자단위로 세분화하여 매개변수를 부여하고, 증발산, 침투, 지표면유출, 중간유출, 지하수유출, 하도흐름 등 여러 가지 수문요소를 해석하는 종합적인 수문모형이다. 지표면에 내린 강우의 증발 및 침투, 유출은 토양수분의 함량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토양수분에 대한 적절한 모의가 분포형 수문모형의 정확도를 좌우하는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토양수분은 식물의 생장 및 가용수자원 산정 등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서 토양층 상부의 수 미터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일컫는다. 토양수분의 공간적 시간적 특성들은 증발, 침투, 지하수 재충전, 토양침식, 식생분포 등을 지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강우로 인한 지면과 지표하에서의 순간적인 포화공간의 형성 및 유출의 생성을 포함하는 과정과 증발산 등은 모두 비포화대(vadose zone) 혹은 토양층에서의 토양수분의 함량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이가영 등, 2005)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에 대한 정밀측정 자료가 있는 설마천 유역 범륜사 사면에 대하여 분포형 수문모형의 토양수분 해석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토양수분 모의에 사용된 격자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은 미공병단에서 개발한 GSSHA(USACE, 2006) 모형이다. 모형의 입력자료는 정밀토양도와 현장측정에 의한 토양매개변수를 반영하여 구축하였고, 강우 및 기상자료는 2003년 1월 1일 ${\sim}$ 2004년 12월 31일의 1시간 자료를 이용하였다. 모의기간 중 2003년은 초기 토양수분값 등 초기조건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웜업 (Warm-up)기간으로 설정하였고, 2004년의 모의결과를 토양수분 관측값과 비교하였다.업지역, 상업지역 등과 같이 지형적 특성에 따른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 것이다.의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자료의 조사 및 취득에서부터 물순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현황파악, 물순환 개선 기법 및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주요 착안점 및 실무에서의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세밀한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적용이 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WEP, SHER, SWMM)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국내 도시하천의 물순환 해석에 활용함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적용절차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 PDF

The water cycle analysis of Kyeongancheon-watershed by using GSSHA (GSSHA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물순환 해석)

  • Jang Cheol Hee;Kim Hyeon Jun;Noh Seong Jin;Kim Chul Gy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75-79
    • /
    • 2005
  • GSSHA(Gridded Surface Subsurface Hydrologic Analysis) 모형은 미 공병단 연구개발센터(USACE ERDC; US Army Corps of Engineers Engineering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체서 개발된 물리적인 개념의 공간 분포형(PBSD; Physically Based Spatially Distributed) 수문모형으로, CASC2D 모형(Ogden 와 Julien, 2002; Downer 등, 2002)을 개선, 확장한 모형이다. GSSHA 모형의 실행에는 Brigham Young 대학의 컴퓨터그래픽공학연구실에 의해 개발된 미 국방성 WMS(Watershed Modeling System)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이를 통해 많은 입력과 출력조건을 가지는 분포형 모형의 복잡한 모의 과정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GSSHA 모형을 이용하여 경안천 유역의 물순환 양상을 분석하였다. GSSHA 모형은 유역을 균일한 유한 차분 격자로 나누어 각각의 격자를 기본 단위로 모의한다. 모형의 주요 모의 모듈은 강우 분포, 융설, 차단, 침투, 증발산, 지표면 저류, 2차원 표면류 추적, 1차원 하도 추적, 불포화 층 모의, 2차원 포화 지하 대수층 흐름, 지표면 유사 침식, 하천 유사 추적 등이 포함된다.

  • PDF

Evaluation of near-realtime weekly root-zone Soil Moisture Index (SMI) for the extreme climate monitoring web-service across East Asia (동아시아 이상기후 감시 서비스를 위한 지면모형 기반 준실시간 토양수분지수평가)

  • Chun, Jong Ahn;Lee, Eunjeong;Kim, Daeha;Kim, Seon Tae;Lee, Woo-Seop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6
    • /
    • pp.409-416
    • /
    • 2020
  • An extreme climate monitoring is essential to the reduction of socioeconomic damages from extreme ev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the near-realtime weekly root-zone Soil Moisture Index (SMI) on the basis of soil moisture using the Noah 3.3 Land Surface Model (LSM) for potentially monitoring extreme drought events. The Yangtze basin was selected to evaluate the Noah LSM performance for the East Asia region (15-60°N, 70-150°E) and the evapotranspiration (ET) and sensible heat flux (SH) were compared with ET and SH from FluxNet and with ET from FluxCom, Global Land Evaporation Amsterdam Model (GLEAM), ERA-5, and Generalized Complementary Relationship (GCR). For the ET,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2) were higher than 0.96, while the R2 value for the SH was 0.71 with slightly lower than those. A time series of the weekly root-zone SMI revealed that the regions with Extreme drought had been expanded from the northern part of East China to the entire East China between July to October 2019. The trend analysis of the number of extreme drought events showed that extreme drought events in spring had reduced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20 years, while those in fall had a tendency to increase. It is concluded that this study can be useful to reduce the socioeconomic damages resulted from climate extremes by comprehensively characterizing extreme drought events.

Optimization of input data using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을 활용한 입력자료 최적화 연구)

  • Jun, Kyung Soo;Sunwoo, Woo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28-328
    • /
    • 2019
  • 효울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 홍수, 가뭄예측을 비롯한 수문분석이 필수적이나 입력자료 구축시스템의 한계로 인해 다양한 수문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입력자료의 안정적인 구축뿐 아니라 입력자료의 다양화 및 최적화를 통해서 수문분석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면과 지표아래의 토양 수분 상태를 개념화한 분포형 수문 모델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기상-수문 인자인 강우, 토양수분 및 증발산 데이터를 적용함으로써 입력자료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강우-유출모형의 회귀분석에서 결정계수 값이 0.8 이상으로 신뢰할 만한 수준을 보였으며, 연구지역의 유출특성이에 입력자료의 최적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강우-유출모형 입력자료의 다각화 및 최적화 연구를 통해 수문 자료 활용 가능성을 확대하고, 모형의 정확도 개선을 기대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로부터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의 안정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 PDF

The Behavior of Evapotranspiration in Youngsan Lake Watershed by Future Vegetation Change Prediction (미래 식생분포 변화에 따른 영산호 유역의 증발산량 연구)

  • Shjn, Hyung-Jin;Park, Geun-Ae;Park, Min-Ji;Park, Jong-Yoo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471-147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미래 산림식생 분포 변화를 예측하고 이를 SWAT 모형에 적용하여 영산강호유역의 증발산량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 기상관측자료(1971~2000)를 이용하여 현재의 기후를 판정하고, 기상청에서 제공한 GCM(MIROC3.2)의 통계학적 다운스케일링으로 구성된 RCM 자료를 이용하였다. 산림식생의 분포는 임상도에 의한 현존 식생군락과 환경인자(강수량, 기온, 지형인자, 토양유기물 함량 등)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상관관계가 높은 주요 환경변수들을 결정하고, 이들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항로짓모형을 구성하여 추정하였다. 이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의 주요 환경변수들을 입력, 미래 2020s, 2050s, 2080s의 우리나라 산림식생 분포를 예측하였다. 예측된 산림식생 분포를 적용하여 미래 증발산량을 분석하기 위해 남쪽의 따뜻한 지역으로서 활엽수림이 있는 영산호유역($3,455.0km^2$)을 선택하였다. 1998~2002 5년간의 유출량 자료를 이용 모형을 보정하였다. 모형의 검증은 보정 매개변수의 평균값들을 통해 2003~2008년 유출량을 모의 하였다. 예측된 미래식생분포를 이용하여 토지이용도를 재구축하였으며 재구축 결과 활엽수는 $715.2km^2$ 늘어나며 혼효림은 현재에 비해 2080s에 $167.1km^2$ 침엽수는 $548.1km^2$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영산호유역에서는 미래의 증발산량이 증가하며, 식생분포를 고려하였을 경우 2080s년에는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약 4.52mm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Evaluation of Forest Watershed Hydro-Ecology using Measured Data and RHESSys Model -For the Seolmacheon Catchment- (관측자료와 RHESSys 모형을 이용한 산림유역의 생태수문 적용성 평가 -설마천유역을 대상으로-)

  • Shin, Hyung Jin;Park, Min Ji;Kim, Seong J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12
    • /
    • pp.1293-1307
    • /
    • 2012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HESSys (Regional Hydro-Ecological Simulation System) simulated streamflow (Q), evapotranspiration (ET), soil moisture (SM), 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 and photosynthetic productivity (PSNnet) with the measured data. The RHESSys is a hydro-ecological model designed to simulate integrated water, carbon, and nutrient cycling and transport over spatially variable terrain. A 8.5 $km^2$ Seolma-cheon catchment located in the northwest of South Korea was adopted. The catchment covers 90.0% forest and the dominant soil is sandy loam. The model was calibrated with 2 years (2007-2008) daily Q at the watershed outlet and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GPP, PSNnet and 3 year (2007~2009) daily ET data measured at flux tower using the eddy-covariance technique.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and the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ME) for Q were 0.74 and 0.63, and the average $R^2$ for ET and GPP were 0.54 and 0.93 respectively. The model was validated with 1 year (2009) Q and GPP. The $R^2$ and the ME for Q were 0.92 and 0.84, the $R^2$ for GPP were 0.93.

Evaluation of MODIS-derived Evapotranspiration at the Flux Tower Sites in East Asia (동아시아 지역의 플럭스 타워 관측지에 대한 MODIS 위성영상 기반의 증발산 평가)

  • Jeong, Seung-Taek;Jang, Keun-Chang;Kang, Sin-Kyu;Kim, Joon;Kondo, Hiroaki;Gamo, Minoru;Asanuma, Jun;Saigusa, Nobuko;Wang, Shaoqiang;Han, Shijie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1 no.4
    • /
    • pp.174-184
    • /
    • 2009
  • Evapotranspiration (ET) is one of the major hydrologic processes in terrestrial ecosystems. A reliable estimation of spatially representavtive ET is necessary for deriving regional water budget, primary productivity of vegetation, and feedbacks of land surface to regional climat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provides an opportunity to monitor ET for wide area at daily time scale. In this study, we applied a MODIS-based ET algorithm and tested its reliability for nine flux tower sites in East Asia. This is a stand-alone MODIS algorithm based on the Penman-Monteith equation and uses input data derived from MODIS. Instantaneous ET was estimated and scaled up to daily ET. For six flux sites, the MODIS-derived instantaneous ET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data ($r^2=0.38$ to 0.73, ME = -44 to $+31W\;m^{-2}$, RMSE =48 to $111W\;m^{-2}$). However, for the other three sites, a poor agreement was observed. The predictability of MODIS ET was improved when the up-scaled daily ET was used ($r^2\;=\;0.48$ to 0.89, ME = -0.7 to $-0.6\;mm\;day^{-1}$, $RMSE=\;0.5{\sim}1.1\;mm\;day^{-1}$). Errors in the canopy conductance were identified as a primary factor of uncertainty in MODIS-derived ET and hence, a more reliable estimation of canopy conductance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ccuracy of MODIS ET.

The Evaluation on the Environmental Effect of Coal-Ash and Phosphogypsum as the Evapotranspiration Final Cover Material (증발산 원리를 이용한 매립장 최종 복토공법의 복토재로서 석탄재와 인산석고의 환경적 영향 평가)

  • Yu, Chan;Yang, Kee-So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6 no.1
    • /
    • pp.15-21
    • /
    • 2005
  • In this study, the utilization of coal-ash and phosphogypsum was considered as the evapotranspiration final landfill cover(ET cover) material. Cover material considered was the mixture of the weathered granite soil, coal-ash and phosphogypsum and so we sequentially performed the leaching test, column test and field model test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mixtures of coal-ash and phosphogypsum. In the leaching test, all materials had lower heavy metal concentration than the regulated threshold values. The column test and the review of related regulation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um mixing ratio(OMR) and OMR was soil(4):coal-ash(1): phosphogypsum(1) on the volume base, which was applied to field model test. Field model tests were continued from February to June, 2004 in the soil box that was constructed with cement block. It was verified that coal-ash and phospogypsum mixed with soil was safe environmentally and the mixture of both wastes could improve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of cover mater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