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증고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Flood Runoff Computation for Mountainous Small Catchments using Rainfall Runoff Model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한 소규모 산지 유역의 유출량 산정)

  • Chang, Hyung Joon;Lee, Hyo 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62-362
    • /
    • 2022
  • 최근 급증하는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인하여 소규모 산지 지역의 돌발홍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물적 및 인적 피해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재해 저감 대책 마련을 수립하고 있으나 소규모 산지 유역 같은 경우 계곡 및 하천부는 제방 증고 및 하상 정리 등과 같은 인위적인 대책수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북 지역의 소규모 산지 유역 중 우암산 및 백화산을 대상으로 유역 내 계곡 및 하천부에 대하여 WMS (Watershed Modeling System) 강우 유출모형을 활용한 침수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우암산 및 백화산 소유역에서 재현빈도 50년 이상의 강우 발생 시, 침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모의 되었으며, 등산객이 이용하는 등산로 및 시설물에 위험성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소규모 산지 유역에 대한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안전한 관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n Seepage and Seismic Behaviors of Poorly-Compacted Raised Reservoir Levee (다짐시공이 불량한 증고 저수지 제체의 침투 및 동적거동 해석)

  • Lee, Chung-Won;Park, Sung-Yong;Oh, Hyeon-Mun;Kim, Yong-S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7 no.4
    • /
    • pp.85-99
    • /
    • 2015
  • It is urgent to redevelop the superannuated reservoir levee through the levee raising for countermeasure to climate change and improvement of storage capacity of reservoir. However, low compaction degree of the raised reservoir levee owing to poor construction condition leads to degradation of the stability of the reservoir levee on seepage and earthquake. In this study, seepage and seismic behavior of raised reservoir levee with low compaction degree was evaluat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 From the simulated results, water level raising possibly induces crack and/or sinkhole on the surface of the poorly-compacted raised reservoir levee owing to the increase of the subsidences at the crown and the front side of that. In addition, relatively larger displacement and acceleration response at the front side of raised reservoir levee in seismic condition may degrade overall stability of reservoir levee. Therefore, reasonable construction management for the compaction of the raised reservoir levee is required for ensuring long-term stability on seepage and earthquake.

Evaluation on Hydrological Safety of Large Dams in Korea (국내 대댐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 Kim, Kyung-Duk;Kwon, Ji-Hye;Ryu, Keu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73-177
    • /
    • 2005
  • 2005년 2월 10일 파키스탄 남서부 발루치스탄 주에서 샤키도르 댐붕괴 사고로 1800명 이상의 사망자와 실종자가 발생하였고 댐이 무너지면서 1만 8,000채의 가옥이 부서지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홍수는 2월 3일부터 10일까지 일주일간 폭우가 내리면서 발생하였다. 과연, 남의 나라의 문제이고 우리나라의 경우와는 상관이 없는 것일까?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이하 공단)에서는 1996년부터 현재까지 1종 댐 시설물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 수문학적 안전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그에 따른 구조적인 홍수대책방안으로 댐 증고, 보조여수로 신설, 여수로 확장 및 상류에 홍수조절용 댐 신설 등의 대책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적인 대책은 경제성, 시공성, 그리고 환경적인 측면에서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기상이변에 따른 댐붕괴 가능성이 상존하므로 이러한 어려운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충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번 파키스탄에서 발생한 호우와 같이 장시간 발생한 호우사상(2002년 태풍 간무리)의 경우에 대하여 한강유역 댐들의 수문학적 안전성을 불리한 조건으로 모의하여 댐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공단에서 수리, 수문학적 안전성을 평가한 1종 댐들의 설계보고서, 정밀안전진단 등 준공 후 현재까지 시행된 용역결과들을 토대로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기준에 대한 변화양상을 비교$\cdot$분석하였다.

  • PDF

Behavior Characteristics of Poorly-Compacted Raised Reservoir Levee with Water Level Raising (다짐시공이 불량한 증고 저수지 제체의 수위상승시 거동)

  • Lee, Chung Won;Kim, Jung Myeon;Moon, Yong Bae;Kim, Yong S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6 no.6
    • /
    • pp.113-119
    • /
    • 2014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behavior of poorly-compacted raised reservoir levee with water level raising by using centrifugal model test. From the test results, it seems that the hydraulic fracturing at the core of the raised reservoir levee with low degree of compaction possibly occurs due to the drastical increase of pore water pressure by water level raising. Additionally, the continuous infiltration may induce crack and/or sinkhole on the surface of the poorly-compacted raised reservoir levee owing to the increase of the subsidences at the crown and the front side of that. Therefore, reasonable construction management for the compaction of the raised reservoir levee is needed.

Analysis of Flood Control Effects of Heightening of Agricultural Reservoir Dam (농업용 저수지 증고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분석)

  • Lee, Gwan Jae;Park, Ki Wook;Jung, Young Hun;Jung, In Kyun;Jung, Kwang Wook;Jeon, Ji Hong;Lee, Ji Min;Lim, Kyoung 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5 no.4
    • /
    • pp.83-93
    • /
    • 2013
  •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of Korea is 1,277 mm and around 2/3 of annual precipitation and 74 %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occurred during monsoon period. In recent years, many agricultural reservoirs have been heightened to increase flood control capacity, reduce flooding damage at downstream areas, and provide sustainable environmental flow during drought period. Thus in this study, the flood control effects of heightening of reservoir banks were simulated with HEC-ResSim and HEC-RAS models. These modes were applied to Bonghak reservoir and it was found that flood control effects were 3~4.5 % with 7 -m heightening. Also, with proper operation (1 m lower of full water level) of reservoir right before the monsoon period, flooding at downstream could be prevented even with design storm of 80 -year recurrence interval. As shown in this study, heightening of agricultural reservoir provides positive effects in flood control and flood damage reduction.

Automatic Rainfall and Waterlevel Downstream Flood Warning Techniques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Data Mining 기법을 이용한 자동우량과 자동수위에 의한 하류 홍수예경보 기법)

  • Choi, Chang-Jin;Lee, Jeong-Hun;Yeo, Un-Ki;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96-300
    • /
    • 2012
  •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이상 기후변화로 인해 게릴라성 집중호우와 같은 다양한 강우패턴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집중호우의 빈도 및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하도의 정비, 댐 건설, 제방의 증고와 같은 구조적인 대책과 홍수예경보, 홍수보험, 통합홍수관리와 같은 비구조적인 대책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미래 기후변화에 대한 예측의 한계와 구조적 대책의 물리적 한계를 감안할 때 구조적 대책에 의한 방법만으로 변화하는 기후에 대응하여 홍수재해를 완벽하게 대처하기에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비구조적 대책에 의한 홍수피해저감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수문개발계획 대표유역인 낙동강유역에 위치한 위천유역을 연구대상으로 선택하였고 이러한 중소규모의 유역에서 홍수예경보의 한계를 극복하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홍수유출시에 일어나는 유역내의 복잡한 물리적인 현상을 직접 고려하지 않고 입력자료와 출력자료의 관계로부터 학습과 추론을 통해 결론을 도출해내는 신경망, 퍼지, 유전자 알고리즘과 같은 Date Mining 기법을 사용하여 자동우량과 자동수위에 의한 하류 홍수예경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수위를 예측하였다.

  • PDF

Analysis of Hydrological Changes by Variation of Reservoir Environment Using SWAT Model (SWAT 모형을 이용한 저수지 환경변화에 따른 수문 분석)

  • Shin, Hyung Jin;Lee, Ji Wan;Ryu, Joon Sang;Kang, Seok Man;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05-305
    • /
    • 2018
  • 저수지 상류부 환경변화 분석을 위해 환경변화 시나리오 적용 분석할 수 있는 수문모형(SWAT)을 선정하여 수양(함동)호 유역을 포함하는 송산관측소를 유역출구로 하여 유출량 자료가 있는 2015~2016년을 대상으로 모형을 검?보정하였다. 수양(함동)호는 댐 높이 13.5m에서 15.1m로 증고 되었으며 총저수량은 7,472 천$m^3$에서 11,926 천$m^3$로 증가하였다. 모형 검증결과 모형효율이 0.9로 모형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둑높이기 사업 전(2001-2010)과 사업 후(2015-2016)을 모의하여 사업 전?후의 수문요소(강우, 유출, 침투, 증발산, 침루, 토양수분, 지하수 증발, 지하수함양) 모의결과를 정리하였다. 사업 전(2001-2010) 평균 강수량 1549.8 mm, 유출량 907.9 mm, 침투량 615.4 mm, 증발산량 624.2 mm, 침루량 241.1 mm, 토양수분 355.7 mm, 지하수 함양량 222.5 mm로 모의 되었다. 사업 후(2015-2016) 평균 강우량 1100.1 mm, 유출량 370.4 mm으로 극심한 가뭄으로 나타났다. 사업 전 비슷한 강우량을 나타낸 2006년 지하수 함양량은 186.9 mm이고 2016년은 222.9 mm로 지하수 함양량이 사업 후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ydraulic model test on piano key weir (Piano Key Weir의 수리실험 연구)

  • Jang, Eun Cheul;Shin, Choong Hun;Jang, Jeong 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83-83
    • /
    • 2019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홍수 및 집중호우 대비 댐 및 저수지의 보조 여수로로서 국내 최초로 적용되는 Piano key weir에 대한 수리모형실험 연구이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로 국지성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가 빈번히 발생하고, 댐 설계홍수량의 설계기준 200년 빈도 홍수량에서 가능최대홍수량(Probably Maximum Flood)으로 변경됨에 따라 과거 건설된 대부분의 댐 및 저수지들이 현재의 설계기준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이유로 규모가 작은 저수용량 100만톤 이상의 댐들에 대해서도 비상대처계획(EAP) 수립을 의무화하고 있으나 홍수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 수립 및 예산지원은 미미한 수준이다. 치수능력증대를 위한 구조적인 보강대책으로 댐 증고, 보조여수로 신설, 여수로 확장, 상류에 홍수조절용 댐 신설 등의 방안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불갑저수지에서는 치수능력확대사업의 일환으로 Piano key weir와 수문 2련을 복합적으로 운영하는 보조여수로를 건설하는 것을 계획하였다. Piano key weir는 국내에서는 프랑스, 벨기에, 베트남 등에서는 실제 많은 적용사례를 확인할 수 있지만,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도입되는 여수로 형식으로 레버런스 웨어와 같이 월류언의 길이를 길게 연장함으로서 월류 수심이 낮은 경우에 일반적인 웨어 형식에 비해 많은 유량을 통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갑저수지에 신설되는 Piano key weir 형식의 보조여수로에 대한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여 Piano key weir의 수위별 방류량, 접근흐름, 월류 유황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PMF홍수량에 대해 충분한 방류가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접근흐름, 월류 유황이 매우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The Stability Evaluation of Concrete Face Rockfill Dam(CFRD) Using Settlement Measured at the Dam Crest and Kelvin Model (계측자료 및 Kelvin 모델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CFRD)의 안정성 평가)

  • Lee, Heeman;Lim, Heuidae;Cho, Gyechun;Song, Kii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4 no.11
    • /
    • pp.33-46
    • /
    • 2013
  • Recently, the projects which are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flood control are being actively performed because of the abnormal climate changes throughout the country. In this study, th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both Kelvin model and the real settlement measured at the crest of the existing concrete face rockfill dam(CFRD) to estimate the long-term deformation behavior characteristics such as creep which occurs without additional load. In addition, the effects on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E, G, K) of the dam construction materials by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 dam were evaluated, and the reasonable stability analysis method of the dam was proposed to obtain the long-term stability considering the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induced by the long-term deformation behavior in case of heightening the existing dams.

A Study on the Irrigation Reservoir to prevent Drying Stream (건천화방지를 위한 농업용수 개발방안)

  • Choi, Nag-Weon;Choi, Hyun-Il;No, Hwang-Won;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90-394
    • /
    • 2009
  • 우리나라의 강우특성 및 지형여건상 최근 농촌지역 하천의 건천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전통적인 농촌지역 하천의 기능이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건천화 원인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은 극히 저조하다. 농촌지역 소하천의 건천화 원인은 다양하게 존재하고, 각각의 원인에 따라 방지 대책이 달라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일률적인 방지책을 시행하고 있어 그 효율성이 불확실한 상태이다. 농촌지역 소하천 건천화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는 기존 저수지 유지수량 미확보, 유휴지 난개발, 지하수 과다사용, 무분별한 하천개수, 하천 퇴사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원인분석 없기 때문에 개략적인 방지 대책이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중소하천의 생태환경 건전성을 위해서 농업저수지를 비롯한 농업용수의 하천유지용수 공급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정한 농업용수의 하천유지유량 공급방안 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농촌 소하천 유역에서 상류에 위치한 농업용 저수지는 우선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함에 따라 소하천들은 수문순환 과정이 인위적으로 단절되어 심각하게 건천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안정적인 하천유지용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농촌 소하천의 건천화에 따른 하천수의 부족은 용수확보의 불가능, 수질오염의 심화 등의 문제를 초래함으로써 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은 손실을 가져오고 있으며 하천이 갖추어야할 친수공간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많은 주민들이 여가 활용과 휴식공간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농업용저수지의 시설규모를 확장하여 추가적으로 하천유지용수를 확보함으로써 하천의 건천화를 예방하고 향후 확장 가능한 농업용수 전용저수지의 설계방향을 제시코자 한다. 기존저수지의 지역적 요소 및 환경적 요소를 감안하여 저수지 증고에 의한 재개발 방향을 검토 분석하여 물부족에 의한 하천 건천화를 예방하고 추가 용수량의 확보를 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겠다.

  • PDF